2025/07/02 10

웃음에 관한 글 모음

* 웃음에 관한 글 모음61. 웃음은 두 사람 사이의 가장 가까운 거리이다 62. 우리는 우리가 행복하기 전에 먼저 웃어야 한다우리가 웃기전에 죽을까 두렵기 때문이다 63. 아무것도 두려워하지 않는 사람도 웃음은 무서워한다 64. 주름살은 단지 미소가 있던 곳의 이력서가 되어야 한다 65. 인생은 힘들면 힘들수록 웃음이 필요하다 66. 유머는 믿음에 서곡이고 웃음은 기도의 출발이다 67. 유머 그 자체의 은밀한 공급처는 기쁨이 아니라 슬픔이다그러므로 천국엔 웃음이 없다 68. 의약에는 별로 재미있는 것이 없지만 웃음에는 대단히 많은 의약이 있다 69. 내가 좋아하는 사람들의 공통점은 그들 모두 나를 웃게 만든다는 것이다 70. 웃음은 행복의 보증수표다 71. 인생의 많은 고통을 평행시키기 ..

암 환자의 한숨…”라면·피자·치킨 먹을 수 있나요?”

암 환자의 한숨…”라면·피자·치킨 먹을 수 있나요?”[김용의 헬스앤]입력 2024.03.19 17:10김용 기자면역력이 약해진 암 환자가 라면 등 가공 식품을 먹어도 될까? 국가암정보센터에 따르면 암 환자도 치킨, 피자, 라면과 같은 음식을 먹어도 된다. 다만 이런 음식들은 소화가 어렵고 열량과 염분 함량이 높아 자주 먹지 않는 것이 좋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암은 여전히 무서운 병이다. 과거보다 생존율(5년 상대 생존율)이 향상됐지만 암은 암이다.무엇보다 ‘암’이란 단어가 주는 정신적 충격이 상당하다. 환자 본인은 물론 가족, 지인들도 걱정한다.초기에 발견해도 독한 항암치료를 받으면서 메스꺼움, 구토, 식욕 상실, 탈모 등으로 고통받는다.일부 유방암 환자는 가슴을 절제하기도 한다. 일찍 발견한 암은 만..

엄상익 변호사 에세이 - 너도 도둑이지만 윗놈들이 더 도둑이야

엄상익 변호사 에세이 - 너도 도둑이지만 윗놈들이 더 도둑이야 삼십년전 맡았던 대도 사건은 나에게 현실사회에 대한 구조적인 인식을 가지게도 했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추상적으로 법을 알지만 나는 구체적으로 무대 뒤에서 법을 가지고 노는 사람들의 그림자를 본 것 같다. 정의는 강물같이 흐르지 않는지도 모른다. 악마는 예수에게 이 세상은 자신의 지배하에 있다고 했다. 자기 앞에 무릎을 꿇어야 부와 권력을 주겠다고 했다.천구백팔십삼년 언론을 들끓게 한 대도 사건의 공소장을 보면 허망한 느낌이 들었다. 그냥 좀도둑을 조금 넘어서는 정도라고 할까. 피해자 몇 명도 평범한 사람들이다. 알맹이가 빠져나간 벌레의 빈 껍질 같다고 할까. 함께 잡혀 들어갔던 대도의 장물아비 정씨로 부터 들은 당시의 수사상황은 상..

말의 법칙 75가지

말의 법칙 75가지 바르게 잘 써야 탈이 없는 ‘말의 법칙’1. 따져서 이긴다고 이긴 것이 아니다.2. 사랑이라는 이름으로 잔소리를 해도 내 욕심일 뿐이다.3. 좋은 말만 한다고 해서 좋은 사람이라고 평가받는 것은 아니다4. 말에는 에너지가 있어 말한대로 현실이 된다.5. 말이 너무 많으면 쓸 말이 없다.6. 유머에 목숨을 걸지 말라. 유머가 답은 아니다.7. 반드시 답변을 들어야 한다고 생각하면 필시 화를 자초 한다8. 상대는 내가 아니므로 다 아는 것처럼 말로 남의 인생 간섭 말라.9. 설명이 부족한 것 같을 때쯤 말을 멈춰야 상대가 움직인다.10. 앞에서 할 수 없는 말은 뒤에서도 하지 말라.11. 농담이라고 해서 다 용서되는 것은 아니다.12. 표정의 파워를 놓치지 말라. 말의 힘이 생긴..

종교인과 신앙인

◆ 종교인과 신앙인 ◆ 하나님을 믿는 사람에 두 가지의 부류가 있습니다.종교인과 신앙인...종교인은 말 그대로 종교인일 뿐입니다.신앙인은 하나님의 자녀를 말합니다.종교인은 다른 종교인을 인정합니다.신앙인은 다른 것을 믿는 것을 인정하지 않습니다.종교인은 좋은 게 좋은 거라 말합니다.신앙인은 아닌 것에 대해 분명히 아니라고 말합니다.종교인은 선을 말합니다.신앙인은 복음을 말합니다.종교인은 다른 것에서도 구원이 있다고 말합니다.신앙인은 오직 예수님만이 구원의 유일한 길이라고 말합니다.종교인은 부흥을 교인이 많아지는 것을 말합니다.신앙인은 부흥을 악은 심판되어지고, 하나님의 말씀만이 남는 것을 부흥이라 말합니다.종교인은 전도를 교회로 사람을 데려 오는 것이라고 말합니다.신앙인은 전도를 복음을 전함으로 하..

3.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3.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1. 자녀교육의 불확실성과 두려움- 경험적 비유: 디즈니랜드의 대관람차와 자녀교육의 불확실성 비교- 불안정성과 공포: 자녀교육에서의 불확실한 결과에 대한 부모의 두려움2. 자녀교육에서의 율법과 은혜- 율법에 대한 의존: 자녀교육에서 성공을 위한 수단으로 율법에 의존하는 경향- 은혜의 필요성 인식: 자녀교육에서 하나님의 은혜와 믿음의 중요성 강조3. 자녀교육의 실제적 적용- 율법 대신 은혜로의 전환: 자녀교육에서 율법적 접근에서 벗어나 은혜 중심으로 전환- 부모의 역할 재정의: 자녀의 성공과 구원이 부모의 노력이 아닌 하나님의 손에 달려 있음을 인식4. 하나님의 주권과 자녀교육- 하나님의 주권 인정: 자녀의 마음 변화와 구원은 전적으로 하나님의 주권에 달려 있음- 부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