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감성을 위한 ━━/명언격언

성공으로 이끄는 명언(名言)12.

Joyfule 2007. 2. 5. 01:53


 성공으로 이끄는 명언(名言)  

*자녀에게 물려 줄 최상의 유산은 자립해서 제 길을 갈 수 있는 능력을 길러 주는 것.
  ―이사도라 덩컨 
*친구에게서 나는 제2의 나를 본다. ―I.N. 
*별로 거론되지 않지만, 인간에게는 간섭으로부터의 자유가 필요하다. 
 즉 이해나 비타민, 또는 운동이나 칭찬과 마찬가지로 혼자서 즐길 수 있는 
 私的인 세계도 반드시 있어야 한다. ―필리스 먹긴리 
*참다운 자선은 그것이 면세가 되건 말건 상관하지 않는다. ―댄 베네트 
*점자를 읽는 데는 눈으로 볼 수 있는 사람들로서는 결코 맛볼 수 없는 경이, 
 즉 낱말을 만지면 그 말도 사람을 만지듯 감동시키는 경이로움이 있다. ―짐 피빅 
*권리는 그것을 지킬 용기가 있는 자에게만 주어진다. ―로저 볼드윈 
*마음은 극히 주관적인 장소이므로, 그 안에서는 지옥도 천국이 될 수 있고 
 천국이 지옥으로 될 수도 있다. ―존 밀튼 
*장미의 향기는 그 꽃을 준 손에 항상 머물러 있다. ―아다 베야르 
*사람은 자기의 꿈―과거에 대한 추억의 꿈과 미래를 향한 열렬한 꿈을 가져야 한다. 
 나는 새로운 목표를 향해 나아가기를 결코 멈추지 않으련다. ―모리스 슈발리에 
*지극한 사랑 앞에서는 그 무엇이나 제 비밀을 털어놓는다. ―조지 W.카버 
*성난 말에 성난 말로 대꾸하지 말 것. 
 말다툼은 언제나 두번째의 성난 말 때문에 비롯되니까. ―H.I.M 
*지혜는 경험에서 우러나온다. 경험은 어리석음 속에서 얻어진다. ―사샤 기트리 
*언제나 문제 해결의 최선책은 남의 돈을 들이는 것인 듯. ―튼 프리드먼 
*다른 운전자들에게서 정중한 대접을 받으려면 경찰차를 모는 수밖에 없다. ―H.C. 
*건전한 판단력은 정신의 경비원. 수상쩍은 생각이 머리 속으로 
 들어가는가 나가는가 감시하는 일이 그 임무. ―대니얼 스턴 
*자수성가한 사람 중 가장 솔직한 이는 이렇게 말할 것이다. 
"정말 힘들게 정상에 도달했지요. 한 걸음마다 게을러지려는 자신과 싸웠고, 
 나의 무지를 깨우쳐야 했거든요." ―J.T. 
*문제를 직면한다고 해서 다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직면하지 않고서 해결되는 문제는 없다. ―제임스 볼드윈 
*시대를 변화시킬 만큼 큰 인물이 아니거든 시대를 따라 변하라. ―G.T. 
*생태계 보호라는 것에도 一長一短이 있다. 
 마치 공기 중에 어느 정도 불순물이 있어야 더욱 아름다운 노을이 생기듯이. ―B.V. 
*자기의 말을 그저 들어 주기만 해도 즐거워하는 사람들도 있다. ―B.E. 
*"단 한 번의 인생"이니까 함부로 산다는 것은 말이 안 되는 변명. ―빌 코플랜드 
*임금과 물가가 맞물고 반복 인상되는 과정에서 정말 문제는 
 모두들 올라가려고만 들지 내려서려는 사람은 하나도 없다는 사실. ―H.C. 
*친구나 매일 대하는 여러 사람들의 공통적인 생각에 맞서기란 
 가장 힘든 영웅적 행위 가운데 하나. ―T.H.W. 
*자기 의무를 다하지 않는 것을 "태만"이라고 한다면, 
 어느 회사, 정부 관청, 골프클럽, 대학교수진 치고 어느 정도씩
 "태만"이 없는 데가 없을 것. ―J.W.G. 
*아이들이 잘 참는 것은 그 외에 딴 방법도 있다는 것을 모르기 때문. ―마야 안젤루 
*다수란 때로 바보들이 한쪽에 많이 몰려 있기 때문에 형성되는 것. ―클로드 맥도널드 
*나는 누구나 다 나를 좋아하기를 바라지 않는다. 
 개중에는 만일 그들이 나를 좋아하면 지금보다 나 자신이
 더 못나게 느껴질 사람들도 있기 때문. ―헨리 제임스 
*자녀가 태어나기 전부터 자녀를 갖기에 족할 만큼 성숙한 사람이 어디 있겠는가 
 결혼의 가치는 어른들이 자식을 만들어 내는 데 있지 않고 
 아이들이 어른을 만들어 내는 데 있다. ―피터 드브리스(美 작가て언론인) 
*거울은 사실을 보여 주지 詩를 보여 주지는 않는다. ―메이 사튼(美 시인) 
*큰 거짓말은 마른 땅 위에 오른 큰 물고기와 마찬가지. 
 그것은 안달을 하며 날뛰어 몹시 성가시지만 당신을 해칠 수는 없다. 
 가만히 놓아 두면 제풀에 죽고 마는 법. ―조지 크랩(英 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