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난한 날의 행복 / 김소운
먹을 만큼 살게 되면 지난날의 가난을 잊어버리는 것이 인지상정인가 보다. 가난은 결코 환영할 것이 못 되니, 빨리 잊을수록 좋은 것인지도 모른다. 그러나 가난하고 어려웠던 생활에도 아침 이슬같이 반짝이는 아름다운 회상이 있다. 여기에 적는 세 쌍의 가난한 부부 이야기는, 이미 지나간 옛날 이야기지만, 내게 언제나 새로운 감동을 안겨다 주는 실화들이다.
그들은 가난한 신혼 부부였다. 보통의 경우라면, 남편이 직장으로 나가고 아내는 집에서 살림을 하겠지만, 그들은 반대였다. 남편은 실직으로 집 안에 있고, 아내는 집에서 가까운 어느 회사에 다니고 있었다.
어느 날 아침, 쌀이 떨어져서 아내는 아침을 굶고 출근을 했다.
“어떻게든지 변통을 해서 점심을 지어 놓을 테니, 그 때까지만 참으오.”
출근하는 아내에게 남편은 이렇게 말했다. 마침내 점심 시간이 되어서 아내가 집에 돌아와 보니, 남편은 보이지 않고, 방안에는 신문지로 덮인 밥상이 놓여 있었다. 아내는 조용히 신문지를 걷었다. 따뜻한 밥 한 그릇과 간장 한 종지--- 쌀은 어떻게 구했지만, 찬가지는 마련할 수 없었던 모양이다. 아내는 수저를 들려고 하다가 문득 상위에 놓인 쪽지를 보았다.
“왕후의 밥, 걸인의 찬--- 이걸로 우선 시장기만 속여 두오.”
낯익은 남편의 글씨였다. 순간, 아내는 눈물이 핑 돌았다. 왕후가 된 것보다도 행복했다. 만금을 주고도 살 수 없는 행복감에 가슴이 부풀었다.
다음은 어느 시인 내외의 젊은 시절 이야기다. 역시 가난한 부부였다.
어느 날 아침, 남편은 세수를 하고 들어와 아침상을 기다리고 있었다. 그 때, 시인의 아내가 쟁반에다 삶은 고구마 몇 개를 담아 들고 들어 왔다.
“햇고구마가 하도 맛있다고 아랫집에서 그러기에 우리도 좀 사왔어요. 맛이나 보셔요.”
남편은 본래 고구마를 좋아하지도 않는데다가 식전에 그런 것을 먹는 게 뭔지 부담스럽게 느껴졌지만, 아내를 대접하는 뜻에서 그 중 제일 작은 놈을 하나 골라 먹었다. 그리고 쟁반 위에 함께 놓인 홍차를 들었다.
“하나면 정이 안 간데요. 한 개만 더 드세요.”
아내는 웃으면서 또 이렇게 권했다. 남편은 마지못해 한 개를 집었다. 어느 새 밖에 나갈 시간이 가까워졌다. 남편은
“인제 나가 봐야겠소. 밥상을 들여요.”
하고 재촉했다.
“지금 잡숫고 있잖아요. 이 고구마가 오늘 우리 아침밥이어요.”
“뭐요?”
남편은 비로소 집에 쌀이 떨어진 줄을 알고, 무안하고 미안한 생각에 얼굴이 화끈했다.
“쌀이 없으면 없다고 왜 좀 미리 말을 못 하는 거요? 사내 봉변을 시켜도 유분수지.”
뿌루퉁해서 한 마디 쏘아붙이자, 아내가 대답했다.
“저의 작은아버님이 장관이셔요. 어디를 가면 쌀 한 가마가 없겠어요? 하지만 긴긴 인생에 이런 일도 있어야 늙어서 얘깃거리가 되잖아요.”
잔잔한 미소를 지으면서 이렇게 말하는 아내 앞에, 남편은 묵연?然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면서도 속에는 형언 못할 행복감이 밀물처럼 밀려 왔다.
다음은 어느 중로의 여인에게서 들은 이야기다. 여인이 젊었을 때였다. 남편이 사업에 실패하자, 이들 내외는 갑자기 가난 속에 빠지고 말았다.
남편은 다시 일어나 사과 장사를 시작했다. 서울에서 사과를 싣고 춘천에 갖다 넘기면 다소의 이윤이 생겼다. 그런데 한 번은, 춘천으로 떠난 남편이 이틀이 되고 사흘이 되어도 돌아오지를 않았다. 제날로 돌아오기는 어렵지만, 이틀째에는 틀림없이 돌아오는 남편이었다. 아내는 기다리다 못해 닷새 째 되는 날 남편을 찾아 춘천으로 떠났다.
“춘천에만 닿으면 만나려니 했지요. 춘천을 손바닥만하게 알았나 봐요. 정말 막막하더군요. 하는 수 없이 여관을 뒤졌지요. 여관이란 여관은 모조리 다 뒤졌지만 그이는 없었어요. 하룻밤을 여관에서 뜬눈으로 새웠지요.
이튿날 아침, 문득 그이의 친구 한 분이 도청에 계시다는 것이 생각나서, 그분을 찾아 나섰지요. 가는 길에 혹시나 하고 정거장에 들러 봤더니--- “
매표구 앞에 늘어선 줄 속에 남편이 서 있었다. 아내는 너무 반갑고 원망스러워 말이 나오지 않았다.
트럭에다 사과를 싣고 춘천으로 떠난 남편은, 가는 길에 사람을 몇 태웠다고 했다. 그들이 사과 가마니를 깔고 앉는 바람에 사과가 상해서 제 값을 받을 수 없었다. 남편은 도저히 손해를 보아서는 안 될 처지였기에 친구의 집에 기숙하면서, 시장 옆에 자리를 구해 사과 소매를 시작했다. 그래서 어젯밤 늦게서야 겨우 다 팔 수 있었다는 것이다. 전보도 옳게 제 구실을 하지 못하던 8 ,15 직후였으니----
함께 춘천을 떠나 서울로 향하는 차 속에서 남편은 아내의 손을 꼭 쥐었다. 그 때만 해도 세 시간 남아 걸리던 경춘선, 남편은 한 번도 그 손을 놓지 않았다. 아내는 한 손을 남편에게 맡긴 체 너무도 행복해서 그저 황홀에 잠길 뿐이었다.
그 남편은 그러나 6, 25 때 죽었다고 한다. 여인은 어린 자녀들을 이끌고 모진 세파와 싸우지 않으면 안 되었다.
“이제 아이들도 다 커서 대학엘 다니고 있으니, 그이에게 조금은 면목이 선 것도 같아요. 제가 지금까지 살아 올 수 있었던 것은, 춘천서 서울까지 제 손을 놓지 않았던 그이의 손길, 그것 때문일지도 모르지요.”
여인은 조용히 웃으면서 이렇게 말을 맺었다.
지난날의 가난은 잊지 않는 게 좋겠다. 더구나 그 속에 빛나던 사랑만은 잊지 말아야겠다. “행복은 반드시 부와 일치하진 않는다”는 말은 결코 진부한 일 편의 경구만은 아니다.
'━━ 감성을 위한 ━━ > 에세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음공부 / 안병욱 (0) | 2014.08.05 |
---|---|
내가 본 가장 아름다운 결혼식 - 박완서 (0) | 2014.08.04 |
새벽의 거리 / 목성균 (0) | 2014.08.02 |
어린 날의 초상 / 문혜영 (0) | 2014.08.01 |
어느 개구리의 고독 / 윤행원 (0) | 2014.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