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성을 위한 ━━/Speech

선의의 거짓말은 잘못되었는가? 2.

Joyfule 2024. 10. 29. 12:03

     
    
       선의의 거짓말은 잘못되었는가? 2.    
    
    
    애굽 산파와 기생 라합성경은 이웃의 생명을 보호하려는 
    좋은 의도에서 행한 소위 '선의의 거짓말'을 정죄하지 않는다.
    유대인이 남아를 출산하면 죽이도록 한 애굽 왕의 명령을 거부하고
    아이들을 살려 준 애굽의 산파 십브라와 부아에 관한 기사나
    이스라엘의 정탐꾼을 살려 주기 위해 가나안의 군사들에게 거짓말을 하였던 
    기생 라합에 관한 기사는 이에 관한 대표적인 예이다(출 1:15-21 ; 수 2:4-6).
    
    성경은 산파와 라합을 정죄하기는커녕 오히려 칭찬한다.
    출애굽기에서는 산파의 거짓말이 하나님에 대한 두려움에 근거한 것이었고
    그 결과는 하나님의 축복이었다고 말하고 있다(출 1:20, 21).
    
    히브리서는 라합이 정탐꾼을 평안히 영접한 것을 믿음의 행위로 칭찬하고 있고(히 11:31),
    특히 야고보서는 정탐꾼을 다른 길로 나갈 수 있도록 한 기생 라합을 가리켜
    "행함으로 의롭다 함을 받았다"고 말하고 있다(약 2:25).
    만약 라합이 군사에게 진실을 말했다고 하면 정탐꾼은 다른 길로 빠져나가지 못했을 것이다.
    
    위의 경우와 같은 거짓말은, 이웃의 생명을 보호하기 위해 하는 거짓말이기에
    윤리학 용어로 '봉사의 거짓말'(mendacium officiosum) 또는 '필요한 거짓말'이라고 하는데
    이 용어의 라틴어 뜻은 이웃의 유익을 위해 하는 거짓말이라는 것이다.
    이 거짓말은 기독교 윤리적으로 문제가 되는 것이거나 계명을 저촉하는 것으로 보지 않는다.
    
    그 이유는 이웃의 생명을 구하기 위한 행위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모든 종류의 거짓말이 다 도덕적으로 잘못된 것은 아니다.
    이는 마치 전쟁 당시에 행하는 군사적인 거짓 행위도
    성경에서는 잘못된 것으로 간주하고 있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이다(수 8:1-26).
    
    아브라함과 이삭이 자기 생명을 위해 아내를 누이라 속이는 거짓말과 달리,
    이웃의 유익을 위해 행하는 라합과 십브라와 부아의 거짓말과 같은
    선의의 거짓말, 곧 필요의 거짓말은 기독교 윤리적으로는 정당화될 수 있다.
    
    죽어 가는 환자에 관련된 거짓말도덕적으로 판단하기 쉽지 않은 또 다른 
    거짓말 유형은 남을 돕기 위한 사랑의 동기에 의해 하는 거짓말이다.
    이는 의사가 중병으로 회복될 가능성이 없는 환자에게
    환자의 상태에 대해말해 주어야 할 것인지 말아야 할 것인지와 관계된다.
    대부분의 의사들은 이런 경우 가족들에게 환자의 상태를 알려 준다.
    그래서 환자 자신에게 진실을 말해야 하는가의 여부에 대한 판단은 
    대부분 가족들의 몫이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과연 가족들은 죽어 가는 환자에게 정확한 상태를 말해야 할 도덕적 의무가 있는 것인가?
    아니면 거짓말을 해도 괜찮은가?
    
    실제로 이와 같은 경우에 처하면 가족들은 진실을 알리지 않는 경우가 많이 있다.
    진실을 말하게 될 때 환자가 엄청난 충격을 받아 
    건강 상태가 급격히 악화되는 해악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암으로 곧 죽게 될 사람이 생존 가능한 기간이 얼마인지를 비로소 알게 되었을 때,
    환자는 망연자실하게 되어 그나마 갖고 있던 희망의 끈을 완전히 놓게 될 가능성이 있고,
    때로는 극심한 우울증에 빠져 죽음을 재촉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된다면 진실을 말해 주는 것은 파괴적인 살인 무기를 사용하는 것과 같아질 수 있다.
    그런 경우가 예상될 때에도 진실을 말해야 하며 또 그것을 감추는 것은 도덕적으로 잘못된 것인가?
    반면에 예상되는 정신적 영향을 우려하여 진실을 말해 주지 않는 것 역시 
    환자에게 상당한 해악을 가져다 줄 수 있다.
    이 거짓말은 환자에게 자신이 처한 정확한 현실과 상태를 파악하고 
    직시하게 할 수 잇는 기회와 자유를 박탈한다.
    
    그래서 환자는 의미 있는 죽음을 맞기 위해 생을 정리할 여유를 갖지 못하게 된다.
    환자는 자신과 가족에 대해 그리고 자신이 이때까지 추구해 온 일에 대해
    어느 정도 정리할 수 있는 순간을 확보해야 할 권리가 있고,그렇게 하기를 원할 수도 있는데,
    진실을 알지 못하므로 정작 본인은 아무런 준비 없이 마지막을 맞이하게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어떤 면에서 환자를 성숙한 성인으로 대하기보다는 
    미숙한 유아처럼 대하는 것이라 할 수 있고,
    그렇게 함으로 결국 환자가 수동적으로 
    임박한 죽음을 대면하게 하는 문제를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