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감성을 위한 ━━/젊은이에게

성공적인 삶을 위한 적극성 기르기

Joyfule 2018. 2. 24. 00:32
    
      <성공적인 삶을 위한 적극성 기르기> 
    불가능하다는 생각보다는 ‘나는 할 수 있다, 가능성이 충분하다', 
    그리고 창피하다는 생각보다는 '남의 평가가 뭐가 그리 중요해? 
    내가 좋아하고 하고 싶은 일을 하면 되지’ 라는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생각으로 인식의 방 향을 돌린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도 “우리의 인생은 우리의 사고에 의해서 만들어진다” 라고 말했다. 
    즉, 즐거운 생각을 하다면 즐거울 것이요, 불행한 생각 을 한다면 불행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무서운 생각을 한다면 무서워질 것이요, 
    실패를 생각한다면 실패하게 될 것이라는 뜻이다. 
    그러므로 생각하 기에 따라 이 세상을 행복하게도, 불행하게도 만들 수 있다. 
     자신감이 없을수록 자신 있게 행동한다
    ․ 가슴을 펴고 빠른 걸음으로 걸어 본다.
    ․ 악수할 때는 상대방보다 힘차게 잡는다.
    ․ 말할 때는 동작을 크게 해 본다.
    ․ 엘리베이터를 타지 않겠다는 마음가짐만으로도 심신의 자신이 생긴다.
    ․ 일주일에 한두 번은 다른 코스로 귀가해 본다. 
     남보다 일 보 앞서 보면 적극성이 생긴다
    ․ 인사나 전화는 남보다 먼저 한다.
    ․ 일주일에 한 번 정도는 누구보다 먼저 출근해 본다.
    ․ 자기의 시계는 좀 빠르게 맞추어 놓는다.
    ․ 회의석에서 말이 잘 안 나오더라도 마지막에 한 마디 한다. 
    말씨나 화법을 바꾸면 적극성이 생긴다 
    ․ 잘 모르는 화제나 내용은 질문을 한다.
    ․ 평소에 말을 구체적으로 하도록 노력한다.
    ․ 자신이 없는 일도 결단을 내려서 시도해 본다.
    ․ 사람들 앞에서 말할 때는 거울로 자기의 표정을 점검한다.
    ․ 평소부터 마음에 든 격언이나 명문구를 준비했다가 말의 서두로 사용한 다.
    ․ 할 말이 없을 때는 맞장구라도 치며 열심히 응대한다. 
     아무런 도전을 하지 않는다면 물론 실패도 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도전하지 않고서는 작은 성공도 기대할 수 없다. 
    성공한 사람들은 실패한 사 람들이 하기 싫어하는 것을 하는 습관을 가지고 있다. 
    그들 역시 그것을 하기 싫기는 마찬가지가 아니었을까? 
    그러나 그들은 싫은 감정에 앞서서 강력한 목적의식을 지니고 실천했기에 성공한 것이다.
     - 출처: 한경리크루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