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성을 위한 ━━/건강관리

손가락 톡톡 10초에 ○번 못하면 신체 기능 적신호

Joyfule 2023. 2. 9. 00:57






  손가락 톡톡 10초에 ○번 못하면 신체 기능 적신호


이슬비 기자

    입력 2022.11.22 16:19

    20초 이상 한 발로 균형을 맞추지 못하거나, 40cm 의자에서 한 발로 일어나지 못하거나,

    손가락 두드리기를 10초간 30회 이상 못한다면 신체 기능에 이상이 있는 것일 수 있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손가락을 움직이거나, 균형을 맞추는 등 간단한 동작에도 생각보다 많은 신체 능력이 동원된다.

    이런 간단한 동작을 수행하는 능력이 떨어진다면 신체 기능에 적신호가 켜진 것은 아닌지 살펴봐야 한다.

    ◇손가락으로 두드리기, 10초에 30회는 해야
    10초 동안 책상을 30회 두드리지 못한다면 뇌나 신체 근육에 이상이 있다는 신호일 수 있다.

     

    분당서울대병원 재활의학과 백남종 교수팀이 65세 이상 노인 433명을 대상으로 손가락을 움직이는 횟수와

    신체기능 사이 상관관계를 조사했다. 연구팀은 노인에게 1분간 검지로 측정 판을 두드리게 했다.

     

    그 결과, 손가락 두드림 횟수가 많은 상위 50%에 속하는 그룹이 손가락 두드림 횟수가 적은

    하위 50%에 속하는 그룹보다5년 후 낙상, 조기 사망 위험이 무려 2.2배 낮았다.

     

    백남종 교수는

    "손가락을 움직이는 것은 뇌나 근육 등 신체의 여러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나타나는 활동"이라며

    "손가락을 빨리 움직이지 못하는 것은 운동 명령을 내리는 대뇌나 신체를 움직이는 근육의 기능, 인지 기능이 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근육 기능이 떨어지면 지구력, 균형 감각이 떨어져 낙상 위험이 커지고, 면역력이 감소해

    각종 질환 발병 위험도 커진다. 백남종 교수는 "손가락을 10초간 두드린 횟수가 30회 이하라면 신체 기능이 떨어지지

    않도록 유산소 운동과 근력 운동을 하루 30분씩 일주일에 5회 이상 해야 한다"고 말했다.

    ◇40cm 의자에서 한 발로 일어나야
    양손은 팔짱을 낀 채로, 한 발로 40cm 높이의 의자에서 일어나지 못한다면 운동기능저하증후군 초기다.

    우리 몸에서 가장 큰 근육인 허벅지 앞쪽 대퇴사두근과 엉덩이 근육이 제대로 발달하지 않았다는 뜻이기 때문.

     

    최대 보폭으로 두 걸음 걸은 총길이가 자신의 키의 1.3배 미만이어도 운동기능저하증후군을 의심해야 한다.

    보폭이 작으면 종아리 근육 약화가 시작된 것이다. 운동기능저하증후군은 뼈, 척추, 관절, 신경, 근육 등 운동과

    관련된 기관이 약해, 차후 관절의 이동 범위가 줄어들고 뼈의 정렬이 불량해져 걷기 어려워지는 질환을 말한다.

     

    활동량이 적으면 근육부터 빠지기 시작해 뼈, 관절, 척추에 문제가 생긴다.

    운동기능저하증후군이 의심된다면 바로 운동을 시작해야 한다.

    운동기능저하증후군 개선을 위한 운동법으로 '로코모션 훈련법(locomotion training)'이 있다.

     

    ▲다리를 번갈아 가며 1분씩 3회 눈 뜨고 한쪽 다리로 떠 있기

    ▲매일 3회 5~15개 스쿼트하기

    ▲매일 3회 10~20회 똑바로 서서 발뒤꿈치를 천천히 들었다 내리기

    ▲매일 3회 10~20회 런지하기 등을 하면 된다.

    너무 무리하지 말고 땀이 살짝 날 정도의 강도로 매일 운동하는 것이 좋다.

    ◇한 발로 서서 20초 버텨야
    한 발로 20초 이상 못 서 있다면 뇌에 심각한 이상이 있는 것일 수 있다.

    일본 교토대 연구팀이 약 1300명을 대상으로 한쪽 다리를 들고 눈을 뜬 상태로 60초간 버티게 하면서 자기공명영상(MRI)을

    찍었다. 그 결과, 뇌 병변이 2곳 이상 발견된 사람 중 34.5%, 한 곳에서 나타난 사람 중 16%가 20초를 넘기지 못했다.

     

    실험 대상에게 나타난 병변으로는 무증상 뇌졸중, 열공성 뇌경색 등이 있었다.

    무증상 뇌졸중은 뇌혈관이 막히거나, 출혈이 나는 중증 질환인 뇌졸중이 특별한 증상 없이 나타나는 질환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뇌졸중은 얼굴 한쪽이 마비되거나,

    말을 잘하지 못하거나, 균형을 못 잡는 등 눈에 보이는 특이 증상이 나타난다.

    열공성 뇌경색은 뇌 심부 고혈압으로 미세 동맥이 막히는 질환이다.

     

    일부 뇌세포가 마비돼도 두통 등 미비한 증상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연구팀은 "균형을 유지하는 능력이 떨어진 사람은 향후 뇌가 크게 손상되거나, 인지 기능이 낮아질 위험이 크다"고 말했다.

     

    Copyright ⓒ 헬스조선 & health.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