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 아르메니우스파의 신학론과 도르트레히트 회의
( Dordrecht = 도르트.Dort)
1) 아르미니우스 (Arminius,1560-1609)
(1) 1560년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출생.
(2) 제네바에 유학한 후 1588년에 암스테르담 목사가 됨.
(3) 학시과 웅변이 탁월하였다.
(4) 코오른허트 (Coornhert) 설을 논박해 달라는 관의 위촉을 받고 연구하다
가 여기에 탁월하였다.
(5) 1603년 라이든 대학 교수가 되어 칼빈의 예정론을 반대함.
2) 칼빈주의와 아르미니우스주의 차이
문 제 Calvin 파 Arminius 파
인 간 완 전 타 락 자유 의지 의존
예 정 무조건 예 정 예지 예정
속 죄 제한된 선택 구원 무한 선택 구원
은 총 불가항적 은총 가향적 은총
성 도 성도의 견인 (보호) 성도의 보호 불확실.
3) 도르트레히트(Dordrecht, Dort) 회의
(1) 목적...칼빈파의 아르미니우스파의 분쟁을 종결 짓고 아르미니우스 파를
배제할 목적.
(2) 시일,장소...1618.11.13. 네덜란드 도르트레히트에서 회집.
(3) 소집자 및 회원...네덜란드 국회의원 84명,아르미니우스는 피고로 참석.
(프랑스의 불참)
(4) 결의 내용
a. 아르미니우스파 국외 추방.
b. 칼빈 신조를 채택하여 <도르트 레히트 신조>를 제정.
(5) 결과
a. <정치적 속죄론>으로 우세하던 아르미니우스파가 쇠퇴하므로 개혁파의 위
기를 막았다.
b. 드르트레히트 신조는 그후 위스트민스터 신앙고백 작성에 큰 영향을 줌.
18. 소키누스 (Socinus) 신학
삼위일체 교리를 반대하고 단일신론 (Unitarianism)을 주장하는 흐름.제세례파
와 신비주의 중에 있었다. 그러나 이것이 소키누스에 와서 구체화 되었다.
1) 소키누스 (Faustus Socinus, 1539-1604).
(1) 이탈리아 귀족으로 법률가
(2) 백부 레리오 소키누스 (Lelio Socinus, 1525-1562)의 유지를 받들어 삼위
일체설을 반대하는 것을 평생의 사명으로 삼고 폴란드로 감.
(3) 만년에 신조와 문답서를 편찬하다가 완성하지 못하고 사망하였다.
(4) 1605년에 시말쯔 (Schmalz)가 이를 완성하고 교회와 학교를 설립하였다.
(5) 1638년 예수회에 의해 폐쇠되고 추방을 당함.
2) 사상
(1) 신앙...신의 명령과 약속을 승인.
(2) 성경...교리와 도덕을 가르친 글.
(3) 기독론
a. 그리스도의 교사적 측면 강조
b. 신인 양성의 합일을 부인.
c. 기적적 탄생으로 보통 인간과 다르게 출생.
d. 전도에 착수하기 전 하늘에 올리워져서 하나님의 계시를 받았으며 부활 승
천하여 하나님 나라의 지배권을 얻음.
(4) 속죄론...대속설 반대.
그리스도는 죄의 지배에서 우리를 구원하기 위하여 죽고, 우리의 죄를 버
리게 하셨다.
(5) 삼위일체 교리를 구원에 필요치 않으나 대단히 유용하다.
19. 그리이스 교회
1) 키릴로스 루카리스(Cyrillos Lucaris)
(1) 1572년 그레데 섬에서 출생.
(2) 1602년에 알렉산드리아 대주교가 됨.
(3) 1616년 영국 캔터베리 대주교 조오지 아보트 (Georg Abbot)와 연락.
(4) 알렉산드리아 사본 (Codex Alexandrinus) 을 영국왕 차알즈 1세에게 기증.
(5) 1621년 콘스탄티노폴리스 대주교가 됨.그는 신앙 고백서를 제네바에서 출
판하여 이단으로 몰리고 5번 추방 되고 5번 복직되었다. 1638년 6월에 사
형을 당하였다.
2) 러시아의 교회
(1) 몽고의 침입으로 유럽과 교통이 끊어졌으나 기독교가 널리 전파되었다.
(2) 교회의 중심지는 키에프(Kiev) 였고 후에 모스크바 (Moskva)로 옮겼다.
(3) 주교 필라레트 로마노프 (Philaret Romanov) 가 수도원을 중심으로 국난을
막음. 그의 아들 1613년에 즉위함.
(4) 니콘 (Nikon 1652-1667)
a. 필라레트 로마노프의 후계자로서 교회 개혁을 기도...교직자 음주를 금하
고, 인쇄소를 설치하여 문서 운동을 전개, 교회 음악 개량.
(5) 페트로 대제 (1689-1725)
a. 진실한 신자.
b. 모스크바 대주교를 폐하고 성회(성회)를 설치하여 그 의장이 되었다.출처 : Joyful garden
메모 :
-
- 현재글[스크랩] 기독교근세사 17. 아르메니우스파의 신학론과 도르트레히트 회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