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성을 위한 ━━/치유영성회복

훌륭한 상담자 - 게리 콜린스 - 집단 상담의 효과

Joyfule 2008. 4. 2. 00:34
훌륭한 상담자 - 게리 콜린스 -   집단 상담의 효과

 

  심리학자들은 여러 해 전에 그룹 상담의 효과를 발견했다.

불결한 수용소에 묶여 있던 정신병 환자들이 온정과 친절로 치료를 받았을 때에

극적인 향상을 보이는 것이 발견되었다.

"도덕적 치료"라고 일컫는 치료 노력의 일환으로, 병원 관리자들과 직원들이

환자들과 식사를 같이하며 생활하는 가운데 병원이 형무소와 같은 곳이 아닌

치료적인 집단사회가 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주3. J. S. Beckeven, Moral Treatment in American Psychiatry(New York: Springer, 1963))


  이러한 아이디어는, 맥스웰 존스(Maxwell Jones)

(주4. M. Jones, The Therapeutic Community(New York: Basic Books, 1953))라는

영국의 정신병 의사가 환자의 일상적인 활동이 그의 회복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치료적인 집단사회의 경험에 대해 발표했던 때인 제 2차 세계 대전 이후에 더욱 확대되었다.

 "환경 치료"(milieutherapy)가 바로 이러한 종류의 치료를 지칭하는 말로 쓰여졌다.

일대일의 상담도 치료의 일부였으나 똑같이 중요한 것은
직원으로부터의 일상적인 지원과 도움 및 격려 그리고 환자 상호간의 지원과 격려였다.

 

    환경 치료
  환경 치료는 상담 관계에 대하여 몇 가지 재미있는 가정을 가지고 있다.

(주5. 이 문단은 R. N. Rapaport, Community as Doctor: New Perspective on

a Therapeutic Community (London: Tavistock Publications, 1960)에서 번안한 것이다.)

 

첫째, 이 치료법은 함께 생활하고 함께 일하며 함께 오락활동에 참여하는 등의 활동

    그 자체가 매우 치유적인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가정했다.

둘째로, 환자들에게 병원을 청소하고 병동 활동을 계획하고 병원 정책을 결정하고

    서로 상대방의 증상을 평가하는 등의 책임이 부여되어야 한다고 가정했다.

셋째는, 직원 모두가 똑같이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는 것이었다.

    병동 보조원의 영향이나 의견이 정신과 의사의 의견과 똑같은 비중을 지녀야 한다는 것이다.

넷째로, 병동의 분위기가 개방적이고 솔직하고 따뜻하고 서로 받아주고 돌보아 주는 분위기일 때
    환자들의 병세가 호전된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끝으로, 환자와 직원들 사이에 개방된 상호 의사 소통이 이루어진다는 것이었다.

    의견의 불일치는 공개적으로 드러내 놓고 직설적으로 처리되어야 했다.

 

  치료적인 집단
  개인적인 상담을 지원하거나 때로 대체시키기 위한 치유적인 집단을 형성한다는 이 아이디어는

최근 치유 집단(The Healing Community)이라는 제목으로 출간된 저서에서 한층 더 확충되었다.

(주6. R. Almond, The Healing Community(New York: Jason Aronsen, 1974))

저자는 여기서 그룹이 환자로 하여금 상처를 표현하고 행동을 바꾸고

집단의 보다 경험이 있고 성숙한 일원의 본을 따르고 결합력이 있는

치유 집단의 일원이 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방법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이들 심리학 저서를 내는 분들 중 많은 분들이 간과하고 있는 것은
예수님과 신약의 저자들이 이미 여러 세기 전에 이상적인 치유 집단의 모델을 제시했다는 것이다.

도덕적 치료 또는 환경적 치료의 가설들은 먼저 성경에 발표되었었다.

그러나 알 수 없는 이유로 그리스도인들은 성경적인 모델을 따르는데 실패했던 것이다.

그 결과로 교회는 치유하고 돕는 집단사회로서의 구실을 소홀히 했다.

오히려 교회는 상담을 목사나 몇 명의 평신도에게 일임하는 맥풀린 기관으로 변모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도움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이 적극적으로 교회에 참여하는 교인이 아니거나

독특한 버릇이 있는 사람일 경우에는 그런 사람들을 무시하거나 거절하는 경향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