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성을 위한 ━━/세상보기

[ESSAY] 미국 시골 대학 캠퍼스에서 마주친 韓流

Joyfule 2013. 3. 18. 03:48

 

 

 

[ESSAY] 미국 시골 대학 캠퍼스에서 마주친 韓流

2012052402658_0.jpg

이성청 미국 핀리대 교수·종교철학


입력 : 2012.05.24 23:12
오하이오 백인 90%인 작은 대학 아시아 문화엔 무관심하던 곳 '내가 제일 잘나가' 한국말에 '2NE1이다' 손뼉 치며 환호성,
순식간에 세계 휩쓴 K팝 열풍 귀중한 한국 가치도 함께 전하길.....


나는 미국 중서부 오하이오주의 조그만 도시 핀리(Findlay)의 사립대학에서 종교와 철학을 가르치고 있다.
학생 열 명 중 아홉 명은 백인이다.
아시아의 문화와 지리에 대해서 '무지'하다기보다는 '무관심'했던 곳이다.

그러니 4년 전 이 학교에 부임했을 때부터 한국이란 나라에 대해서 아는 학생이 있으리라고는 기대도 하지 않았다.
적어도 올봄 학기가 되기 전까지는 그랬다.

이번 학기 초 불교학 수업 시간이었다.
석가모니의 탄생 얘기를 하던 중  '천상천하(天上天下) 유아독존(唯我獨尊)'의 뜻에 대해 설명해야 했다.
"자신이 곧 우주의 진리(dharma)라는 형이상학적인 의미입니다…."  따분해하는 학생들 표정이 눈에 띄자 나는 이렇게 덧붙였다.
"한국에서는 가끔 자기가 제일 잘났다고 자랑하는 사람들이 이 말을 잘못 쓰기도 하지요."
몇 명이 솔깃하다는 듯 고개를 들어 나를 쳐다봤다.

내친김에 좀 더 재미있게 풀어나갔다.
"아이 엠 더 베스트(I am the best), 한국말로는 '내가 제일 잘나가(naega jeil jalnaga)'가 되겠지요."
내가 가끔 칠판에다 한국말을 알파벳으로 적는 이유는
사실 교수로서는 좀 유치한 행동이지만, 학생들이 모르는 외국어를 양념처럼 쓰면 교수를 우러러보는 듯한 느낌을 받아서였다.

그런데 그 순간 전혀 예상치 못했던 일이 벌어졌다.
"와우!" 학생들이 돌연 손을 들어 서로 하이파이브를 하고 환호성을 지르는 것이었다.
어안이 벙벙해져 "왜들 그러느냐"고 물어봤더니 한 학생이 활짝 웃으며 대답했다.

"그거 2NE1 노래잖아요. 교수님은 교수님 나라 노래도 모르세요?" 미국 중서부 지역에서만 자란 학생들이 한국의 걸그룹 가요 덕분에 '내가 제일 잘나가'라는 한국말을 알고 있었던 것이다.

학교에서도 어렵고 지루하기로 정평이 난 종교학과 철학을 가르치는 나는 하루아침에 'K팝(POP) 전도사'가 돼 버렸다.
수업이 끝난 뒤 한 학생에게서 이메일이 왔다.
'오늘부터 교수님이 갑자기 다르게 보이기 시작했어요.
소승불교 경전을 읽다가 2NE1을 만나게 될 줄은 꿈에도 몰랐네요. 다음 시간에도 한국말 좀 가르쳐 주세요'.

며칠 뒤 수강생들이 나를 '최고의 교수'로 뽑았다는 말을 들었다.
웃어야 할지 울어야 할지 난감했다. 훌륭한 강의나 논문 때문이 아니라 단지 2NE1 때문에 주가가 올라간 것이니 한류(韓流)의 덕을 톡톡히 본 셈이다.  아시아 전역과 유럽·남미는 물론 북미 도시 지역의 마니아층을 통해 확산하고 진화하는 '코리안 웨이브(Korean Wave)'에 대해 익히 들은 바 있지만, 시골이나 다름없는 이 작은 도시에서 내가 직접 그것을 마주치게 될 줄은 몰랐다.

2012052402658_1.jpg

일러스트=이철원 기자 burbuck@chosun.com

한류 붐은 봄 학기 내내 계속됐다.
한국 학생회가 해마다 여는 '한국 영화의 밤(Korean Movie Night)'에는 참가 인원이 2배 이상으로 늘었다.

김아중이 주연한 영화 '미녀는 괴로워'를 본 많은 학생이 한국에 관해 더 알고 싶어했고, 실제로 한국말을 배우려고 문의하는 학생도 늘기 시작했다.
그제야 캠퍼스를 더 자세히 들여다보니 그 파장은 생각보다 훨씬 컸다.
외국어로 일본어를 선택한 학생 대부분이 정작 음악과 드라마·영화 같은 아시아 문화 중에서 푹 빠져 있는 곳은 한류였다.

열성적인 K팝 팬인 그들은 스스로를 'VIP'(빅뱅 팬) '블랙잭(Blackjack)'(2NE1 팬) 'SONE'(소녀시대 팬) 'ELF'(슈퍼주니어 팬)라고 불렀다.
"제일 좋아하는 K팝 노래가 무엇이냐"는 질문에 "전 클래식이 좋아요. H.O.T의 '캔디'예요"라고 대답하는 학생 앞에서는 그만 말문이 막혀버렸다.

이런 생각도 들었다.
'지금 같은 한류 현상은 과도한 게 아닐까?
그저 반짝 유행으로 끝나는 건 아닐까?'
몇 주 전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온 유학생과 상담을 한 뒤에야 이런 의문이 어느 정도 풀렸다.

정치학을 전공하는 아마드(Ahmad)는 이렇게 말했다.
"교수님, 저희 나라의 10대·20대도 거의 다 한류를 즐기고 한국을 동경해요. " 과거에 미국 할리우드가 주도한 서양 문화에 대한 동경이 한류로 대체되고 있다는 것이다. 좀 과장된 표현 같기도 했지만 그는 이런 말도 했다.
"지금 사우디 젊은 애들은요, 모든 종류의 선진 문물은 한국에서 찾을 수 있다고 믿어요."

앞으로 우리는 더욱 다양한 한류의 모습을 보게 될지도 모른다.
한류의 경제적 가치는 이미 입증되었다.

나는 한류가 좀 더 귀중한 한국만의 가치를 이끌어내길 바란다.
자연과 동화되고, 평화를 사랑하며, 가족을 중시하고, 성공과 발전을 열망하는 가치 말이다.
그리고 공존과 덕(德)을 존중하는 한국 특유의 시민 정신이 새로운 한류로서 세계 공동체에 이바지했으면 좋겠

The Korean Wave Met In A Small College Campus in the Midwest USA. http://www.findlay.edu/Pages/default.aspx

 

 

2012052402658_0.jpg 

by Professor SeoungChung Lee, Religion and Philosophy Dept., University of Findlay

 

 At the small university where there had been not so much interest in Asian Culture before, now speaking in Korean “I am the best, going ahead of all”, or saying “we are 2NE1”, students clap hands cheering as well.  As K-Pop sweeps the world as a whirlwind, may Korean values as well be exported.

 

I teach Religion and Philosophy at a private university located in a small city, Findlay in Ohio state, mid west of United States.  Nine out of 10 students are white. This was the place where there was rather no interest in Asian culture or geography at all than to say any knowledge at all. Ever since when I took the job at the university 4 years ago, I have not expected any student ever knowing where the country Korea is. Not until this spring session began.


It was the first Buddhism class this semester.  While talking about the birth of Buddha  Shakyamuni, I had to explain the idea of “I am my own Lord [Holy am I alone] throughout heaven and earth”.  “This is a metaphysical meaning that he himself is the dharma (truth) of the universe.” Seeing dull expressions of  students, I added, “In Korea, this phrase is often misused by those who think that they are the best.”  A few lifted up their faces showing some interest.


While I am at it, I thought I better make the subject more interesting.  “I am the best, maybe in Korean it can be said, naega jeil jalnaga.”  The reason why I sometimes write on the blackboard some Korean letters is, even though it is a cheap trick as a professor to impress students with foreign languages as a sort of some seasoning so as to get some respects from students who have no idea what’s what.


At that moment, what I have never expected happened. “Wow!” Students lifted up their palms to strike at each others', making high five and shouting. Bewildered, I asked them, “What’s this commotion?”, then a student with bright smile replied. “That’s 2NE1 song. Don’t you know the song from your own country?” Thanks to the Korean girls vocal group, these students who grew up in the mid west of United States knew the Korean words,  naega jeil jalnaga (I am the best, going ahead of all).


All of a sudden, this professor who has been known to teach religion and philosophy which are known to be such difficult and boring subject, became suddenly a K-Pop evangelist. After the class, an e-mail arrived from a student. “Since this morning on, you appear to be different, Professor. We never thought of getting to know the meaning of 2NE1 while reading Buddhist books. Please teach us some more Korean in our next classes.”


A few days later, I heard that students elected me as the “best professor”. I was helpless not knowing whether to laugh or cry about that. I really benefited from the Korean Wave having my status lifted up not because of an excellent teaching or thesis I wrote, but simply thanks to the Korean Wave. I have heard of Korean Wave being spread and evolving among the enthusiasts in the major cities of Asia, Europe, South and North America, but have never expected that I will face it myself in a small city which is like a remote country town.


2012052402658_1.jpg


Korean Wave continued all semester long.  The number attending the Korean Movie Night which Korean students’ association put out every year doubled.  Many students who watched “200 Pounds beauty” acted by Kim A-Jung wanted to know more about Korea while the number of students who actually inquired of learning Korean increased. Then I started to look into this phenomenon a bit closer  just to  realize that the wave is much greater than I thought. Many students who elected Japanese as a foreign language were generally deeply involved into the Korean Wave as they selected  Asian music and dramas.


Enthusiastic K-Pop fans call themselves as VIP (fan of Big Bang) “Blackjack (2NE1 fan) “Sone (girls’ generation fan)” “ELF (super junior fan)”.  To my question, “What is the best K-Pop you like?”, an answer made me speechless, “I love classics, such as “ Candy” by H.O.T..


A  thought such as this occurred to me, “Isn’t the current Korean Wave too excessive? Won’t  it  end abruptly after brief sparkles?”  I got my answer satisfactorily a few weeks ago after having conversation with a foreign student from Saudi Arabia.  Ahmad, a politic major said, “Professor, in my country most of 10s &  20s young kids enjoy Korean Wave and they admire Korea.” According to him, Korean Wave replaced the admiration they once had toward western culture put out by Hollywood America.  Though it sounded a bit of exaggeration,  he even said, “As for youth in Saudi Arabia, they believe that they can find anything of advanced culture and products from Korea.”


In a near future, we might be able to see more diversified Korean Wave. Economic aspect of Korean wave has been already proven.  I wish Korean Wave bring out more of the precious values which are uniquely Korean.  Such Korean values as stressing harmony with nature, loving peace, putting family first and aspiration and ambition toward success and advancement.  And  I would like to see, the unique civility of Koreans who respect and value coexistence and virtues  contribute as a new Korean Wave for the betterment of world community.


Translated into English by YouShine@youshine.com

 


내가 젤 잘 나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