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성을 위한 ━━/Leadership

경청(傾聽) 리더십의 동과 서 

Joyfule 2011. 8. 12. 02:36

 

  교내연수

 

경청(傾聽) 리더십의 동과 서

 

 

  최근 소통이 기업문화와 리더십의 주요 화두로 부각되면서 그 시작점인 ‘경청’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超경쟁, 超스피드의 시대에 상대방의 말을 귀 기울여 듣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특히 리더가 자신보다 직위가 낮은 사람의 말에 귀를 기울인다는 것은 더욱 어려운 일이다.

이렇게 경청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만큼 효과적인 경청을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는데,

 

서양에서는

- ‘경청‘을 리더와 구성원 간 소통의 시작점으로 보고, 정보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기능적 관점 및

상호 간 공감대 형성을 위한 선행 단계로 인식

․ “공감적 경청이란 상대의 내면에 들어가 그의 방식대로 세상을 바라보면서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것” (스티브 코비, 리더십 석학)

․ “내가 만일 경청의 습관을 갖지 못했다면 나는 그 누구도 설득하지 못했을 것” (피터 드러커, 석학/미래학자)

 

동양에서는

- 수직적 상하관계를 중시하는 동양의 ‘경청‘은 듣고 이해하는 단계를 넘어 리더와 구성원 간의 상호작용과 관계형성으로 확대

․ ‘以聽得心(이청득심)’은 ‘귀를 기울여 들으면 사람의 마음을 얻을 수 있다’는 의미로 경청을 통한 공감과 신뢰 형성을 내포

․ 報任少卿書(보임소경서)에서 사마천은 ‘士爲知己者死(사위지기자사)’라는 말을 통해 자신을 알아주고

신뢰를 주는 사람에 대한 강한 충성과 몰입을 시사

 

□ 경청리더십이란 구성원의 의견을 마음으로 경청하고 권한과 기회를 제공해 자발적 몰입을 촉진하는 Win-Win 리더십

- 리더의 경청은 귀로 듣고 공감하는 직원을 넘어 구성원에 대한 신뢰를 쌓고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

- 구성원은 리더의 경청과 신뢰에 대한 보답으로 자발적 몰입과 기대 이상의 성과를 창출

 

□ 동양철학을 통해 경청의 리더십과 이에 따른 시너지 효과를 재조명

- 『장자(莊子)』의 목계(木鷄) 고사는 세 가지 시사점을 통해 경청리더십의 시너지 효과를 제시하고 있음

- 장인(匠人)의 의견을 경청하고 기회를 부여한 선왕(宣王)의 ‘경청 리더십’

- 최고의 성과를 위해 지속적 몰입을 보여준 장인의 德

- 덕을 갖추면 싸우지 않아도 이길 수 있는 목계의 威容

 

□ 선왕은 경청을 통해 장인에 대한 신뢰를 쌓게 되자 기회를 제공하였고, 그 결과 장인은 몰입을 통해 최고의 성과를 창출

 

 

『장자(莊子)』의 “달생(達生)”편 목계(木鷄) 故事

 

▷ 닭싸움(鬪鷄)을 좋아하는 주(周)나라 임금 선왕은 쓸만한 투계가 생기자 ‘기성자’라는 당대 제일의조련사를 찾아 최고의 투계를 육성해 줄 것을 부탁

- 10일 후 선왕이 “닭이 싸우기 충분한가?‘라고 묻자, 기성자는

“아닙니다. 닭이 강하나 교만하여 아직 자신이 최고인 줄 알고 있습니다. 교만을 떨치 지 않는다면 투계용으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라고 답했다.

- 다시 10일 후 묻자, “상대방의 소리와 그림자에 너무 쉽게 반응합니다.”

- 다시 10일 후 묻자, “상대방을 노려보는 눈초리가 너무 공격적입니다.”

- 또다시 10일 후 묻자, 기성자는 “예, 닭이 완전히 마음의 평정을 찾아 마치 목계 같 이 보입니다. 닭이 덕을 완전히 갖추어 어느 닭이라도 그 모습만 봐도 도망칠 것입니 다.” 라고 대답했다.

 

(자료 : 『장자(莊子)』, “달생(達生)”편)

 

 

 

 

- 출처 : SERI 경영노트 - 제61호(2010.06.24) 삼성경제연구소 주세영 수석연구원

 

목차 1. 경청 리더십이란?

       2. 경청 리더십의 긍정적 연쇄효과

         ① 신뢰 형성: 리더와 구성원 간의 공감대

         ② 기회 제공: 새로운 도전을 위한 초석

         ③ 자발적 몰입: 성과를 이끌어내는 창조적 원동력

      3. 시사점

 

 

첨부 : 원문.pdf  

20100624 목계를 만드는 경청리더십.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