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 인물사
9. 한국의 개혁주의
1) 언더우드(Underwood, Horace Grant, 1859. 7. 19~1916)
한국명 원두우(元杜尤). 런던 출생. 1881년 뉴욕대학교를, 1884년 뉴브런즈윅신학교를 졸업하였다. 1885년 H. G. 아펜젤러 목사와 함께 미국 북 장로교 선교사가 되어 한국에 와서 광혜원(廣惠院)에서 물리· 화학을 가르쳤다. 1887년 벽지전도부터 시작하고, 서울 새문안교회를 설립했으며, 1889년에는 기독교서회(基督敎書會)를 창설하였다. 성서번역위원회를 조직, 그 회장 등을 역임하며 성서의 번역 사업을 주관하는 한편, 1890년에 한영사전, 영한사전을 출판하고, 1897년에는 주간지 그리스도신문도 창간하였다. 1900년 기독청년회(YMCA)를 조직하였으며, 1915년에는 경신학교(儆新學校)에 대학부를 개설, 연희전문학교로 발전시켰다. 1916년 신병으로 귀국, 애틀랜틱시티에서 소천 하였다. 한국 개화기에 종교· 정치· 교육· 문화 등 여러 분야에 많은 공적을 남겼다.
2) 길선주(吉善宙, 1869~1935. 11)
자는 윤열(潤悅), 호는 영계(靈溪)이다. 평안남도 안주에서 태어났다. 처음에는 선도(仙道)를 공부하면서 한의학을 연구하였으나 1897년 기독교 교인이 되면서 세례를 받았다. 같은 해에 안창호(安昌浩) 등과 함께 독립협회의 평양지부를 조직하여 활발하게 활동하였다. 그 뒤 1907년 한국 최초의 기독교 신학교인 평양 장로회신학교(長老會神學校)를 졸업하였으며, 한국인 최초의 목사의 한 사람으로서 평양 장대현교회(章臺峴敎會)에서 목회를 하면서 신앙 활동으로 구국운동을 전개하였다.또한 남녀 구별의 불평등을 교회 안에서 타파하기 위하여 남녀 좌석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포장을 철거하였으며, 아악(雅樂)을 교회음악에 도입하기도 하였다. 교육 사업에도 참여하여 숭실학교(崇實學校)· 숭덕학교(崇德學校) 등을 설립하였다. 1912년 105인사건 때에도 수난을당하였고, 3·1운동 때에는 민족대표 33인의 한 사람으로서, 그리스도교를 대표하여 독립선언서에 서명하고 2년 간 옥고를 치렀다. 출옥 후에는 북간도를 포함하여 전국을 두루 돌아다니며 부흥사로 성경을 가르치면서 많은 교회를 설립하기도 하였다. 평안남도 고창교회(高昌敎會)에서 설교도중에 소천하였다. 문집에 영계 길선주목사 저서에 해타론(懈惰論), 만사성취(萬事成就),강대보감(講臺寶鑑), 말세학(末世學) 등이 있다.
3) 박형룡 (朴亨龍, 1897.3.28.~1978.10.25)
평안북도 벽동에서 출생. 호 죽산(竹山)이다. 1916년 평안북도 선천(宣川)의 신성중학교를 졸업했다. 1920년 평양의 숭실대학교, 1923년 중국 난징[南京]의 금릉[金陵]대학교를 거쳐 1926년 미국뉴저지의 프린스턴신학교에서 신학석사학위를, 이듬해 미국 켄터키 주루이스빌의 남침례교신학교에서 기독교변증학으로철학박사학위를 취득했다. 1927년 한국에 귀국하여 평양 산정현교회에서 목사안수를 받았다. 1931년 평양 장로회신학교에 교수로 취임하여 기독교변증학을 강의했다. 이후 장로회 총회의 '표준성서주석위원회' 위원장, 만주 동북신학교 교장, 부산 고려신학교교장, 서울 장로회신학교 교장 등을 역임하다가 1951년 대구 총회신학교에 부임하여 1972년 2월 퇴직했다. 그는 한국 교회의 정통적인 보수주의 교리와 개혁주의 신학을 체계화했는데, 그의 신학은 '청교도적 개혁주의 개혁신학'이라고 평가된다. 저서에 〈신학난제선평 神學難題選評〉·〈교의신학 敎義神學〉·〈비교종교학〉 등을 비롯한 다수의 논저가 있고, 1977년 〈박형룡박사전집〉 전14권을 출간했다.
4) 주기철(朱基徹,1897.11.25~1944.4.21)
호 소양(蘇羊).아명 기복(基福). 경남 창원 출생으로. 1916년 평북 정주의 오산(五山)학교를 졸업한 후 서울의 연희전문(延禧專門) 상과에 입학하였으나 곧 중퇴하였다. 그 후 웅천(熊川)에서 남학회(南學會)를 조직하여 애국사상을 고취하였으며, 3·1운동에 참가한 후 1926년 평양의 장로회신학교를 졸업하였다. 부산 초량교회(草梁敎會) 목사, 마산 문창(文昌) 교회목사를 거쳐 1936년 평양 산정현(山亭峴) 교회목사가 된 후 신사참배를 거부하고, 항일운동을 계속하다가 1938년 일본경찰에 검거되어 징역10년형을 선고받고 복역 중 옥에서 순교 하였다.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5) 한경직(韓景職,1902~2000.4.19)
평안남도 평원(平原)에서 출생하였으며, 1925년 평양 숭실 전문학교(崇實專門學校)를 졸업하였다.1926년 미국 엠포리아대학, 1929년 프린스턴 신학대학을 졸업했으며 1948년 엠포리아대학에서 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45년 서울 영락교회(永樂敎會) 목사로 부임하고 1954년에는 숭실대학 학장을 겸직하였으며, 1955년 대한예수교 장로회 총회장, 숭실대학(崇實大學) 이사장을 역임하였다. 서울여자대학 재단이사장, 영락상업고등학교 재단이사장, 대광(大光)중고등학교 재단이사장 등을 역임하였다. 1965년 아시아 전도협의회 위원장을 거쳐 1969년 국토통일원 고문에 취임하고, 기독교선명회 이사장, 홀트양자회 이사장, 영락여자신학교 이사장, 1971년에는 숭전대학 재단이사와 장로회신학대학 이사장, 1972년 아시아연합신학대학원 이사장이 되었고, 같은 해 영락교회 당회장을 은퇴, 원로목사가 되었다. 기독교방송국 재단이사장, 한국복음화운동본부 대표, 1974년 반공연맹 이사, 1975년 아시아 교회진흥원장, 1983년 기독교 선교 100주년 기념사업협의회 총재 등을 지냈다.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받고 1992년에는 ‘노벨 종교상’으로 일컬어지는 템플턴상을 받았다. 저서에 건국과 기독교, 설교집(10권), 내일을 사는 인생, 사도 바울에게 배운다. 등이 있다.
6) 박윤선(朴允善, 호:正岩, 1905.12.11~1988.6.30) 박사
호는 정암(正岩). 1905년 평안북도 철산군 백량면에서 출생한 박윤선 박사는 서당에서 한학을 배우고, 선천대동소학교, 선천신성중학교, 평양 숭실전문학교, 평양장로회신학교를 졸업하였다. 1934-36년 웨스트민스터 신학교에서 Th.M 학위를 받았다. 그곳에서 박윤선 박사는 잔 그레샘 메이천(John Gresham Machen)에게 신학을 배웠다. 1940년 만주의 봉천 오가황 교회에서 목회를 하고, 1941-43년에는 봉천신학교에서 교수를 하였다. 1944년부터 만주 안산에서 성경주석을 집필한다. 1946년에 부산고려신학교 교장서리에 취임하고 1948년 고려신학교 2대 교장이 된다. 1953-54년에는 화란 자유대학교에 유학하였고, 1960년에는 동산교회 목회를 하였고, 1963년부터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교수, 교장으로 봉직하였다. 부산 성산교회, 서울 한성교회를 개척하고 시무하기도 했다. 1979년에 총신대 대학원장으로 취임하였고 1980년에 합동신학원으로 떠나 초대원장이 되었고 1988년 6월 30일에 주님 품에 안겼다. 박윤선 목사는 해방 이후 박형룡, 한경직과 더불어 한국교회를 빛낸 가장 위대한 인물 가운데 하나로 평가받기에 손색이 없을 것이다. 교파와 교단과 신학적 입장을 초월하여 아마도 한국교회 역사를 진지하게 연구한 이들이라면 예외 없이 여기에 동의할 것이다. 정암이 남 긴 신학교육, 주석, 설교는 먼 훗날 더 놀라운 결실로 역사 앞에 다가올 것이 다
7) 강신명(姜信明,1909~1985)
경북 영주(榮州)에서 태어나서. 1934년 숭실전문학교에서 영어를 전공한 뒤 1938년 평양신학을 졸업, 목사 안수를 받고, 1949년 서울 중구 저동에 있는 영락교회의 목사가 되었다. 1953년 미국 프린스턴신학대학원을 수료하고, 1955~1979년 새문안교회 목사로 있었다. 그 사이 미국 스털링대학에서 명예신학박사 학위를 받고(1964), 연세대학교 재단이사장,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장, 삼애학원(三愛學院) 이사장 등을 역임하였다. 1981∼1985년 숭전대학 재단이사장 ·총장직에 있으면서 한국기독교선교단체협의회 회장, 세계선교사 훈련원장 등을 역임하여 한국기독교의 원로로서 종교계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국민훈장모란장을 받았고, 저서에 설교집(영혼의 닻), 동요작곡집(새서방 새색시), 아동가요곡 300곡집 등이 있다.
'━━ 영성을 위한 ━━ > 신앙인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죽음에게서조차 지배당하지 않는 신앙인 (0) | 2018.01.18 |
---|---|
교회 인물사 (0) | 2018.01.17 |
교회 인물사 - 복음주의 (0) | 2018.01.15 |
교회 인물사 - 영국 형제회 (0) | 2018.01.14 |
교회 인물사 - 신비주의자들 (0) | 2018.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