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성을 위한 ━━/기독교자료

기독교 기본교리 제7장 천사론.

Joyfule 2022. 7. 30. 15:54


 

 

 

    기독교 기본교리 제7장 천사론.

 

II. 성경의 계시성

1. 계시의 정의

계시에 해당하는 두용어는 아포칼립시스(ἀποκάλψις)와 파네로시스 (φανέρωσις)이다. 아포칼립시스는 ' 베일을 벗겨보여주다’, ‘숨긴 것을 폭로시켜 밝히다'는 뜻이고 파네로시스는 '덮혀있던 뚜껑을 제거하여 내용물을 꺼내보인다'는 뜻이다. 이렇듯 계시라는 용어 자체가 이미 무엇인가 인간이 알 수 없었던, 나아가 알 수 없도록 감추어졌던 것을 의도적으로 드러내 알려주는 행위를 가리키고 있다. 이 단어가 기독교의 계시에 적용될 때의 의미도 기본적으로는 같으나 성경 전체의 맥락에 비추어 다음 사실이 더 고려되어야 한다. 즉 계시의 대상인 인간은 본질적으로 피조된 그리고 유한한 존재라는 사실이다. 따라서 자신의 존재, 즉 어디에서 어디로 가는 인생인가 하는 문제, 우주의 비밀 그리고 구원 등의 기독교 계시의 주요 내용에 대하여 자신의 힘으로 탐구해서는 도저히 알수가 없다. 그리하여 계시의 유일한 주체이신 하나님께서 당신의 사랑하시는 인간에게 창조행위, 우주의 보존 섭리, 구속사의 전개, 인간의 양심과 성경 등 여러 종류의 계시를 통하여 이 모든 문제에 대한 해답과 당신의 뜻을 보여 주실 필요성이 발생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때로는 사건으로 때로는 직접적인 말씀으로 당신의 뜻을 보여 주시는 행위가 바로 계시인 것이다.

인간에게는 근본적으로 자신의 힘으로 알 수 없는 영역의 진리가 있는데 이것을 하나님께서 계시를 통하여 인간에게 알려 주신다는 것이다.

2. 계시의 종류

물론 계시는 여러가지 방법과 기준으로 나눌 수 있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것은 그 계시 내용의 성격과 목적에 따라 구분하는 것이다. 이 기준에 따르면 계시는 일반계시와 특별계시로 나뉘어진다.

1. 일반계시

인간에게 자연인으로서 우주와 조화하여 그의 생존을 유지하고 발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우주 자연의 질서와 법칙, 인간의 도덕적 이성적 본성 등을 통하여 주시는 모든 계시이다(창 1:26 : 행 17:29 롬 1:18~21; 8:28, 골 1:17), 이 일반 계시를 통하여 인간은 하나님의 존재, 도덕적 의무, 인간의 본질 등에 대한 기본적 각성을 받을 수 있다. 이 계시는 항구적으로 인간 자신과 인간이 존재하면서 필연적으로 관계를 맺는 모든 자연 세계에 내재하여 있으므로 자연 계시라고도 한다. 혹자는 맹목적으로 편재된 이 일반계시를 어째서 일반계시라고 할 수 있는가 하는 의구심을 가질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하나님께서 창조때부터 당신을 기본적으로, 또 항구적으로 밝히실 목적으로 인간의 내면과 우주의 질서를 의도적으로 조치하셨으므로 엄연한 계시이다.

2. 특별계시

인간의 타락사건으로 말미암아 이성이 흐려졌고 또 구원의 길에 대한 새로운 진리의 필요로 주어진 것으로서 택하신 자만 따로 구원하시기 위하여 직접적이고도 비(非)한 방법으로 주신 계시이다. 따라서 일반계시를 통하여 인간은 우주에 대한 이해와 하나님의 존재 사실은 알 수 있으나, 인간 구원의 구체적 방법과 하나님의 성품과 의지에 대한 정확한 사실은 오직 특별계시를 통해서만 알 수 있다.

3. 특별계시와 성경의 관계

그러면 성경과 특별계시는 어떠한 관계에 있는가?

특별계시와 성경을 분리할 수는 없으나 구별해 볼 수는 있다. 특별계시란 인간 역사 뒤에서 하나님께서 인간의 구원 역사를 진행 시키시는 각 시점과 각 사건에서 주신 모든 개별적 계시 사건인 반면, 성경은 그 주요 계시 사건을 문자로서 기록 보존한 것이다. 이를 하나님의 의지를 보여 주고 받는 사건 자체, 전달 방법, 전달 내용 등 계시의 제 요소를 기준으로 보다 세부적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a. 특별계시와 성경의 같은점

- 주체 : 각 개별 특별계시를 주신 분도 그리고 성경을 기록하게 만드신 분도 다 동일한 하나님이시다. 그리고 기록 과정에서도 인간 저자에게 영감을 주시어 당신의 뜻이 오류없이 기록되게끔 만드신 분도 하나님이시므로 성경 기록 사건이 곧 하나님의 특별계시 사건이다.

- 내용 : 성경 전체의 내용이 특별계시 내용의 수집이다.

- 목적 : 각 특별계시는 비록 부분적이나마 각시점에서 인간 구원을 위한 하나님 뜻을 전달하고자 주어진 것이었다. 한편 성경은 인간 구원을 위한 하나님의 총체적 뜻을 전달하는 종합적, 결정적 방법으로 채택된 것이었다. 즉 하나님은 성경이 완료되기 이전에는 각 개별 특별계시로써, 완료 후에는 성경을 통하여 당신의 뜻을 보이셨으되 그 목적은 언제나 동일한 인간 구원의 길을 보임이었다. 한 하나님의 뜻을 부분적으로 보여 주고 있으나, 성경은 전 특별계시 사건을 망라하여 인간 구원에 관한 하나님의 종합적 의지를 보여 준다.

대상의 범위 : 특별계시는 제한된 수신자에게 당신의 뜻을 전달하신 것이나, 성경은 만세대의 수신자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시간 : 먼저 각 특별계시 사건이 있었고 그 후에 영감을 통하여 각 사건의 여러 측면이 기록되었다. 기록의 범위: 성경 전체는 특별계시이나 역사상 있었던 특별 계시 전부가 성경에 다 기록된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우리는 특별계시와 성경은 그 외적 현상은 다르나 내적 본질은 동일함을 발견한다. 한편, 성경이 완료된 교회 시대의 성도들은 성경을 매체로, 성령의 조명하심으로만 특별계시에 접하게 된다. 즉 성경을 통하여 계시 사건 자체는 진행되고 있으나 성경 이외의 계시의 매체는 이제 더 이상 사용되지 않고 있으며 또한 새로운 내용의 계시의 추가도 없다. 왜냐하면 성경이라는 종합적이고도 결정적인 완전한 계시의 방법을 주신 이후에는 이를 통하여서만 계시 사건을 진행하시는 것이 하나님의 뜻이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재는 성경만이 성도들을 위한 유일한 계시의 매체이며 내용이다. 곧 성경만이 우리의 특별계시이다. 이상이 정통 개혁 신학자들의 성경과 특별계시의 관계에 대한 견해의 요약이라 할 수 있다.

b. 특별계시와 성경의 다른점

- 양식: 특별계시란 1차적 사건 자체인 반면성경은 그것에 대한 2차적 기록이다.

- 전달경로: 특별계시는 수신자에게 직접적인전달 경로로 이루어졌다. 반면 성경은 인간저자의 문자 기록 행위가 재개되어 수신자에게 간접 전달된다.

- 전달매체: 특별계시는 각 개별 사건마다현현, 환상, 언어 행위 등의 임시적 매체를사용하였으나, 성경은 문자 기록이라는 항구적 매체를 사용하였다.

- 내용의 범위 : 특별계시는 각 경우마다 필요한 하나님의 뜻을 부분적으로 보여 주고 있으나, 성경은 전 특별계시 사건을 망라하여 인간 구원에 관한 하나님의 종합적 의지를 보여 준다.

- 대상의 범위 : 특별계시는 제한된 수신자에게 당신의 뜻을 전달하신 것이나, 성경은 만세대의 수신자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 시간 : 먼저 각 특별계시 사건이 있었고 그 후에 영감을 통하여 각 사건의 여러 측면이 기록되었다.

- 기록의 범위: 성경 전체는 특별계시이나 역사상 있었던 특별 계시 전부가 성경에 다 기록된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우리는 특별계시와 성경은 그 외적 현상은 다르나 내적 본질은 동일함을 발견한다. 한편, 성경이 완료된 교회 시대의 성도들은 성경을 매체로, 성령의 조명하심으로만 특별계시에 접하게 된다. 즉 성경을 통하여 계시 사건 자체는 진행되고 있으나 성경 이외의 계시의 매체는 이제 더 이상 사용되지 않고 있으며 또한 새로운 내용의 계시의 추가도 없다. 왜냐하면 성경이라는 종합적이고도 결정적인 완전한 계시의 방법을 주신 이후에는 이를 통하여서만 계시 사건을 진행하시는 것이 하나님의 뜻이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재는 성경만이 성도들을 위한 유일한 계시의 매체이며 내용이다. 곧 성경만이 우리의 특별계시이다. 이상이 정통 개혁 신학자들의 성경과 특별계시의 관계에 대한 견해의 요약이라 할 수 있다.

4. 성경이 특별계시인 증거들

1) 내증(内證)

① 성경의 통일성 : 성경은 1500년 이상 시대를 격한 약 40명의 저자가 각자 다른 인격과 개성으로, 또 각각 다른 공간적 배경에서 기록한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목적은 물론 세부 내용에 있어서 단어 하나, 그 단어의 각종 문법 용례에 이르기까지 완벽한 통일을 이루고 있다. 이것은 인간의 힘으로는 불가능한 것이다.

② 성경의 유효성:성경은 하나님께서 당신의 형상대로 지음받은 인간에게 주신 것으로서, 그 인간의 구원에 있어서 실제로 유효한 효력을 발하고 있다.

③ 성경의 절대성: 성경은 인간 구원의 근거, 선악의 기준, 우주의 존재론적 구조 등에 대한 가르침을 제시하되 상대적 교훈이 아닌 절대적 원리를 제시하며 동시에 절대적 기준이 되고 있다. 인본주의적 철학 체계나 종교는 이와 같은 역할을 하지 못한다.

2) 외증(外證)

① 예언의 성취:성경에는 각종 예언이 포함되어 있다. 그 예언의 일부는 완전히 성취되었고 또 나머지는 뚜렷이 성취되어 가는 과정에 있다.

② 이적의 발생: 통상적 자연 법칙을 특별한 목적으로 일시 정지시킨 이적의 존재는 성경의 신적기원을 확증시켜 준다.

③ 역사, 과학적 정확성 : 성경 기록은 고고학, 자연 과학 등의 검증을 통하여 그 역사적, 과학적 정확성이 입증되어 가고 있다. 특히 성경이 기록된 고대 문화적 배경을 고려할 때 이 사실은 그 기록자인 저자들의 능력을 넘는 초자연적 영감의 증거이다.

④ 문화적 영향력:성경 말씀의 계시성은 그 말씀을 깨닫고 실천하는 자들이 보이는 삶의 유형(life style)에서도 발견된다. 즉 건전한 기독교 신자들이 영육으로 보이는 생활 문화의 우수성과 자연질서 그리고 도덕적 원리와의 합일성은 성경 계시의 진실성을 보여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