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의 SQ(영성지수)는?
<S.Q.가 뜨고 있다.>
SQ라? 상당히 생소한 단어에 머리를 갸우뚱하는 분이 많을 것이다.
SQ라? 상당히 생소한 단어에 머리를 갸우뚱하는 분이 많을 것이다.
IQ와 EQ, 그 다음에 나오는 개념이 SQ라면 약간은 그림이 떠오를까?
IQ, EQ, 그리고 SQ
20세기 초반 이후 사람들은 지적인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IQ(지능지수: Intelligent Quotient)에 매달렸다.
IQ는 이성적이고 논리적인 지능, 주어진 규칙에 따라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다.
IQ가 높으면 머리가 좋고 세상에서 성공할 사람이라고 생각한 것이다.
1990년대 중반, IQ에 대한 환상을 깨면서 더 중요한 지능으로
EQ(감성지수: Emotional Quotient)가 제시되었다.
EQ는 우리 자신과 다른 사람의 감정의 의식하고 신뢰와 공감, 자성,
자기통제 등을 할 수 있는 능력, 상황에 적절하게 반응하고 대처하는 능력으로,
IQ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필요조건이 된다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 21세기 벽두에 조하르(Danah Zohar)와 마셜(Ian Marshall)은
제3의 지능으로 SQ(영성지수: Spiritual Quotient)라는 개념을 내놓았다.
SQ는 삶의 의미와 가치, 목적 등의 궁극적인 것을 묻고 이상을 추구하며,
본질적인 영혼에 접하게 하는 능력이다.
IQ와 EQ가 주어진 환경의 테두리 안에서의 문제를 해결하고 적응하는 능력인 것에 비해
SQ는 규칙이나 상황을 바꾸고 실현되지 않은 가능성을 마음을 품을 수 있는
창조적인 능력으로 IQ와 EQ의 토대가 된다는 것이다.
영성과 하나님의 형상
SQ 혹은 영성이라는 말은 오늘날 정신세계와 자기 개발을 설명하기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자리잡으며 앞으로 사람들의 사고방식에 커다란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조하르가 주창한 영성은 사실 기독교적인 영성과는 각도가 좀 다른 개념이다.
그러기에 그의 영성개념을 도입한 여러 이론과 저서들을 접할 때,
크리스천으로서의 분별력이 필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삶의 궁극적인 의미와 목적을 찾는 영성이 인간 지능의 토대를 이루고
인간의 성장과 가능성의 폭을 확대한다는 이 이론은 크리스천들에게도 시사하는 것이 크다.
바로 그 개념이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 받은 우리의 모습,
그래서 성령과 끊임없이 교통하는 크리스천의 영성과 합치하는 부분이 크기 때문이다.
나아가서 크리스천의 훈련과 교육에 있어서도 우리가 하나님의 형상을 지닌
영적인 존재임을 전제로 우리 안에 있는 영을 깨우고 일으켜
성령과 연합하게 하는 영성훈련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될 것으로 보인다.
이를 위해 성경지식의 전달이나 기독교적인 성품 위주의 훈련에서 성령을 체험하고
존재의 변화를 가져오는 방향으로 획기적인 변화가 계속 요구될 것이다.
영성이 있는 리더십
우리가 크리스천으로서 영향력을 끼치는 사람으로 살아가려면, 지성(IQ)과 감성(EQ) 뿐 아니라
높은 영성(SQ)을 갖추고 무엇보다도 세상에 비전을 심어주는 것이 필요하다.
SQ를 주창한 조하르는 비전을 심어주는 리더십을 키우기 위한 12가지의 원칙을 제시한다.
이 원칙들을 삶 가운데 적용할 때, 우리 행동의 부정적인 동기들 곧
두려움과 욕심, 분노, 자기 독단이 자기 통제와 절제, 협력, 통찰 등의 긍정적인 동기들로 변화하고,
이러한 리더십이 주변과 사회로 흘러나가 사람들에게
동기의식과 목적의식을 일으키는 변화의 동력이 된다는 것이다.
조하르의 이 12가지 원칙은 우리가 영향력 있는 크리스천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도 좋은 지침이 된다.
이 원칙들로 우리의 내면을 점검하고 스스로 훈련해 보기를 권한다.
영성 있는 리더십을 키우기 위한 12가지 원칙
1. 자각 (Self-Awareness):
내가 정말로 가치를 두고 사는 것이 무엇인지를 알고 나의 내면에 대하여 진실되게 행동한다.
2. 즉각성 (Spontaneity):
‘현재’가 가지고 있는 힘을 깨닫고 그 순간에 책임을 지는 것, 곧 순간 순간을 책임 있게 보내는 것을 말한다.
3. 비전과 가치를 따라 살라. (Vision- and Value-Led):
주어진 것 위에 있는 더 큰 의미와 가치를 품고 그것에 내 삶이 이끌리도록 한다.
4. 전체성 (Holism):
우리 각자가 전체를 이루는 한 부분으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었음을 깨닫는다면
경쟁과 분열보다 협력과 하나됨을 추구하게 될 것이다.
5. 공감 (Compassion):
남의 감정을 단지 인정해주거나 받아주는 것이 아니라 함께 느끼는 것을 말한다.
내게 상처를 주는 사람에게조차 그 행동 이면에 있는 고통이나 좌절을 같이 느낄 수 있는가?
6. 다원성 (Diversity):
서로 다른 의견의 충돌이나 민감한 이슈들을 두려워하지 말고 용기 있게 직면하라.
서로의 다른 점이 우리를 생각하고 성장하게 하며,
결국은 우리를 더 큰 열정과 에너지로 묶어주기 때문이다.
7. 소신을 지키라 (Field Independence):
깊은 고려 끝에 소신이 생기면,
내가 믿는 것을 위해서는 다수에 대항하여 기꺼이 왕따를 당할 수 있는 용기가 필요하다.
8. 겸허함 (Humility):
소신의 지키는 것과는 동전의 양면으로, 내가 틀릴 수도 있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이다.
겸허함은 유약한 지도자가 아니라 오히려 더 위대한 지도자를 만들어낸다.
9.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라 (Ask Fundamental “Why?” Questions):
매사에 타성에 젖어 하지 말고 “왜?”라는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라.
그것은 주어진 한계와 영역을 뛰어넘는 힘이 된다.
10. 시각의 전환 (Ability to Reframe):
막다른 상황에 부딪쳤을 때, 물러서서 보다 큰 그림을 볼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곧 단기적인 시야가 아니라 장기적이고 포괄적인 시야를 갖는 것이다.
11. 역경을 긍정적으로 활용하라.(Positive Use of Adversity):
나의 실수를 정직하게 인정할 수 있는 자신감과 용기가 필요하다.
그것은 삶 가운데 고통과 실패는 불가피한 것이고,
그것을 통해 더 강하고 지혜로워짐을 깨닫는 데서 온다.
12. 소명의식 (Sense of Vocation):
하나님의 부르심을 입은 목회자들과 마찬가지로
나의 일이 지역사회와 세상을 변화시킨다는 높은 차원의 소명감을 가지고 임한다.
SQ 참고문헌
Spiritually Intelligent Leadership
by Danah Zohar <Leader to Leader>, No. 38 Fall 2005
by Danah Zohar <Leader to Leader>, No. 38 Fall 2005
SQ: Connecting with Our Spiritual Intelligence
by Danah Zohar and Ian Marshall, Bloomsbury, 2000
by Danah Zohar and Ian Marshall, Bloomsbury, 2000
'━━ 지성을 위한 ━━ > Leadersh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면우 - 신사고 이론 20 중에서 (0) | 2010.04.14 |
---|---|
성공한 리더는 왕성하게 독서한 당대 최고의 지식인 (0) | 2010.03.26 |
믿을 수 있게 보이는 자기 표현술 (0) | 2010.03.13 |
빌리그래함(Billy Graham)의 리더십의 비밀 21가지 (0) | 2010.03.10 |
리더에게 필요한 10가지 자세 (0) | 2010.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