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대왕의 리더십 2.
이름 : 세종대왕
출생 : 1397년 4월 10일
사망 : 1450년 2월 17일
직업 : 국내 역사인물
경력 : 1443년 훈민정음창제
1441년 측우기제작
1. 다스림의 요체는 마음을 닦는 것
백성과 신하를 다스림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마음을 닦는 일이었다.
과연 그는 어떠한 심법으로 국가를 경영했는가.
‘총명(聰明)하다’는 말에서 총은 ‘귀 밝은 총’ 자이다.
즉 똑똑하고 현명하다는 것은 자신의 말과 의견을 내세우기 이전에,
남의 얘기를 잘 들을 줄 알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저자는 세종의 강점을 이렇게 적고 있다.
“군주로서 세종의 생활은 온통 사람들의 이야기를 경청하고
판단하고 선택하는 일의 연속이었다.
사람들의 말을 잘 들어주기 위해서는 심성훈련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노하지 않아야 하고 끈기가 있어야 한다.
또한 지식과 지혜의 우위가 전제되어야 한다.
진정한 강자만이 약자의 이야기를 들어줄 수 있기 때문이다.”
한번은 세종이 황희에게 농담 반 진담 반으로 이렇게 물었다.
“두문동에 머물러 있지 뭣 하러 세상에 다시 나왔는가?”
황희는 이렇게 대답한다.
“일찍이 진리탐구에 열중할 뿐 과거에 응할 생각조차 하지 않다가,
백성을 위하여 멸사봉공하는 것 또한
군자가 나아가야 할 길이라 일러주신 부친의 말씀을 따랐습니다.”
애초에 황희는 태종의 사람이었고 양녕대군을 옹위했던 사람이었다.
그래서 세종은 황희의 청렴성에도 불구하고 항상 감시자를 붙여
그의 일거수 일투족을 감시했다.
그러나 또 한편, 이 총명한 임금과 충직한 신하가
서로의 마음을 얼마나 잘 알고 서로를 믿었으면,
세종이 황희를 6조의 판서를 모두 역임케 하고
20여 년을 정승의 자리에 앉힐 수 있었겠는가.
황희는 평생 세종의 정치적인 조력자이자 선생으로
묵묵히 세종을 보필한 신하로 남았다.
또한 세종은 신하들과 백성의 마음을 얻지 못할 경우
스스로가 누리는 왕위도 사상누각이라는 사실을 잘 알고 있었다.
한 국가가 안정하게 존속하려면, 충분한 군사력[足兵], 충분한 먹을거리[足食],
그리고 백성의 신임과 마음[民信]을 모두 얻어야 한다고 보았다.
만약 부득이 하게 이들 중 하나를 버려야 한다면
먼저 군사를 버려야 하고,
다음은 먹는 것을 버리라고 했다.
그러나 마지막까지 버리지 말아야 할 것은 백성의 신임과 마음임을 강조한다.
세종은 백성들과의 마음의 화합이 더 본질적이요 더 우선한다고 보았던 것이다.
고려조가 망한 원인에 대해 세종은 태조가 위화도에서 회군했기 때문이 아니라,
고려의 왕조가 백성들의 마음을 얻지 못했기 때문에 스스로 무너진 것이라 보았다.
그래서 세종은 백성들이 자기 곁으로 다가오길 기다리지 않고
그들 곁으로 먼저 다가가고자 노력하는 임금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