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레미야서의 대부분의 부분들에 대한 연대는 논쟁거리이다. 왕의 이름을 언급하고 있거나
연대기적인 내용들을 언급하고 있는 구절들은 별표(★)로 표시되어 있다.
왕 이름 |
연대(B.C.) |
참고 구절 |
약 술 |
요시야 |
627 |
1: 1-19★ |
예레미야의 부름받음 |
// |
627-621 |
2: 1~6:30 |
유다의 죄에 대한 고발; 회개에의 호소; 북방으로부터의 침략의 위협 |
// |
627-621 |
8: 4~9:24 |
유다의 죄에 대한 고발; 사람들이 회개하지 않는 것에 대한 그의 슬픔과 심판이 임할 때의 그들의 비애에 대한 예견 |
// |
621 |
11: 1-14 |
언약의 책에 근거한 요시야의 개혁을 예레미야가 지지함 |
// |
621 |
13: 1-11 |
다른 신들을 의지하는 것의 어리석음을 보여주기 위해서 유브라데 강가에 허리띠를 묻는 상징적인 행동을 함 |
// |
621 |
16: 1-9 |
재난이 임박해 있기 때문에 예레미야에게 결혼하지 말라는 하나님의 명령 |
// |
621 |
30: 1~31:40 |
위로의 책, 새 언약에 대한 약속으로 끝남 |
여호아하스 |
609 |
22:10-12★ |
요시야의 죽음을 위해서 울지 말고 여호아하스가 사로잡힌 것에 대해서 울라는 충고 |
여호야김 |
608-605 |
7: 1~8: 3 11:15-17 26장★ |
성전의 파괴에 대한 예언 |
// |
608-605 |
22:13-19★ |
여호야김이 공의 대신에 호사를 좋아하는 것을 예레미야가 지적함 |
// |
608-605 |
17: 1-27 |
예레미야가 유다를 우상숭배하는 것과 안식일을 지키지 않는 것으로 인해 책망함, 그리고 자신의 고난에 대해 슬퍼함 |
// |
608-605 |
21:11~22: 9 |
공의를 행하라고 왕에게 명령함 |
// |
608-605 |
11:18~12: 6 15:10-21 18:18-23 20: 7-26 |
압제, 그리고 하나님이 약속하신 심판의 지체에 대한 예레미야의 불평 |
// |
605 |
25: 1-26★ |
예레미야의 메시지의 요약, 그리고 심판에 대한 몇 가지 메시지 |
// |
605 |
46: 1~49:33★ |
애굽 및 다른 주변 국가들에 대한 심판의 메시지 |
// |
605 |
19: 1~20: 6 |
멸망에 대한 예레미야의 예언이 제사장 바스훌로부터의 심한 반대를 일으킴 |
// |
605 |
45: 1-5★ |
예레미야의 서기관 바룩의 생명을 보존하시겠다고 하나님께서 약속하심 |
// |
601 |
12: 7-17 |
침략자들에 의해서 유다가 피폐된 것에 대한 예레미야의 애가 |
// |
601-598 |
35: 1-19★ |
유다 사람들이 하나님의 말씀에 어떻게 순종하여야 하는지에 대한 예증으로서 예레미야가 레갑인들을 성전으로 데려옴 |
// |
601-598 |
18: 1-11 |
토기장이 집을 방문한 예레미야 |
여호야긴 |
598 |
15: 5-9 9:10-11, 17-22 |
느부갓네살이 예루살렘을 약탈한 것에 대한 애가 |
// |
598 |
10:17-24 16:16-18 |
바벨론 유수를 예비하라고 백성들에게 명령하는 예레미야 |
// |
598 |
22:24-30★ 13:18-19 |
야웨께서 여호야긴에게 심판을 약속하심 |
시드기야 |
597 |
24: 1-10★ |
좋은 무화과와 썩은 무화과, 바벨론에 사로잡혀가서 살아남게 될 자들과 유다에서 심판을 당할 자들에 대한 상징 |
// |
597 |
49:34-39★ |
엘람인들에 대한 예언 |
// |
597 |
29: 1-29★ |
바벨론에 포로로 잡혀간 자들에게 바벨론에서 오랫동안 체류할 준비를 하라고 격려하는 예레미야의 편지 |
// |
594 |
51:59-64★ |
바벨론의 멸망을 예언하는 뜻으로 유브라데 강에 두루마리를 던지는 상진적인 행동 |
// |
594 |
27: 1~28:16 |
노예생활을 상징하는 뜻에서 멍에를 짊어진 예레미야, 그리고 거짓 선지자 하나냐와의 대결 |
// |
595-590 |
23: 1-40 |
유다의 지도자들(예를 들어 선지자들)에 대한 예레미야의 고발과 다윗의 의로운 가지에 대한 그의 예언 |
// |
589 |
34: 1-22★ |
예루살렘의 멸망을 예언함, 그리고 유다의 귀족들이 노예들을 해방시키지 않은 것에 대한 고발 |
// |
588 |
21: 1-10★ |
느부갓네살에게 항복하라고 시드기야에게 촉구하는 예레미야 |
// |
588 |
37: 1~38:28★ |
예루살렘의 포위, 예레미야의 투옥, 시드기야가 반드시 항복해야 한다는 그의 충고 |
// |
588 |
32: 1-44★ |
포로들이 돌아올 것에 대한 소망의 상징으로 예레미야가 아나돗의 밭을 삼 |
// |
588 |
33: 1-26★ |
포로들이 귀환한 이후에 하나님께서 자기 백성의 삶을 회복시켜주실 것이라고 확신하는 예레미야 |
// |
586 |
39: 1-18★ |
예루살렘 함락, 시드기야가 포로됨, 예레미야가 목숨을 건짐 |
// |
586 |
52: 1-30★ |
예루살렘 함락, 성전의 약탈, 느부갓네살의 포로들의 숫자 |
그다랴 (바벨론인들에 의해서 임명된 총독) |
586 |
40: 1-16 |
예레미야가 느부갓네살이 임명한 총독 그다랴의 보호 아래 풀려남 |
// |
586 |
41: 1-18★ |
그다랴의 암살; 정치적 혼란이 뒤따름(이스마엘에 의해 죽음) |
요하난 (유다인 남은 자들의 지도자) |
586 |
42: 1-22★ |
예레미야가 유다의 남은 자들에게 애굽으로 피난하지 말고 땅에 머무르라고 충고함 |
// |
585 |
43: 1-13★ |
유다의 남은 자들이 느부갓네살의 진노를 피하기 위해 애굽으로 도망함, 예레미야를 그 의지와는 상관 없이 데려감 |
// |
585 |
44: 1-30★ |
애굽에 있는 유다인들을 향한 예레미야의 마지막 연설, 백성들의 죄를 다시 지적하고 그들이 애굽에 있으면서도 심판을 당할 것을 약속함 |
// |
560 |
52:31-34★ |
에월므로닥이 느부갓네살을 계승함, 37년의 포로생활 후에 여호야긴에게 자비를 베품 |
출처 : William S. LaSor, et al., 박철현 역, 구약 개관, 크리스챤다이제스트 2002, pp. 634-639.
zuusijk (2007-01-12 05:12 작성)
[출처] 예레미야의 예언과 생애의 연대|작성자 벧엘
'━━ 영성을 위한 ━━ > 신앙인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참회록의 저자 어거스틴 (0) | 2018.01.20 |
---|---|
녹스(Knox, Robert)(미국 남장로회 소속 선교사) (0) | 2018.01.20 |
죽음에게서조차 지배당하지 않는 신앙인 (0) | 2018.01.18 |
교회 인물사 (0) | 2018.01.17 |
교회 인물사 - 한국의 개혁주의 (0) | 2018.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