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칙 중심의 지도력
진정한 리더십의 힘은 고매한 인격으로부터 나오며, 또 일정한 힘의 수단과 원칙들을 행사함으로써 나오게 된다.
지도력의 3가지 유형
추종자들이 리더를 따르게 되는 이유는 매우 다양하고 복잡하지만, 대체로 3가지 관점에서 고찰해 볼 수 있다. 첫 번째, 수준에서는 추종자들이 두려움 때문에 지도자를 따른다. 만일 지도자의 말대로 하지 않을 경우 자신들에게 무슨 일이 일어날지 모른다고 두려워하기 때문에 지도자를 따르는 것이다. 이러한 힘을 강압적 지도력이라고 부른다.
그러나 만약 보는 사람이 없거나 혹은 잠재적인 위협이 사라지면 그들의 에너지는 급속히 태업 및 파업의 형태로 전환된다. 두 번째 수준에서는 추종자들이 혜택이나 이익을 얻기 윟 지도자를 따르게 된다. 우리는 이러한 힘을 실리적 지도력이라고 부른다. 왜냐하면 인간 관계의 힘이 물품과 서비스의 교환이라는 유용성에 기초하고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추종자들은 시간, 돈, 에너지, 인적 자원, 이해, 재능,지지 등 지도자가 원하는 것을 가지고 있으며, 반면 지도자는 정보, 돈, 승진, 포용, 동지애, 안전성, 기회 등 추종자들이 원하는 것을 가지고 있다. 세 번째 수준은 그 성격이나 정도에 있어서 앞의 두 가지와 판이하게 다르다. 여기서의 힘은 추종자들이 지도자글 믿고 또 그가 성취하고자 하는 바를 신봉하는 데서 나오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 경우 추종자들은 지도자를 신뢰하고, 지도자와 그 지도자가 목표하는 대의 명분이 옳다고 믿으며, 지도자가 원하는 대로 행동하기를 원한다. 그것을 결코 맹신이나 맹종에 근거한 것이 아니며 로봇처럼 시키는 대로 하는 것도 아니다. 그것은 식견을 갖춘, 마음에서부터 우러나는, 그리고 속박받지 않는 스스로의 선택의 결과이다. 이것이 바로 원칙중심의 지도력이다.
지도력의 영향
강압적 지도력은 지도자와 추종자 양측 모두의 어려움에 기초한다. 알렉산드르 솔제니친은 이렇게 말했다. “당신이 남들에게 권력을 행사하려면 그들에게서 모든 것을 빼앗으면 안된다. 모든 것을 빼앗긴 사람은 더 이상 당신의 권력 안에 있지 않는다. 그는 다시 자유인이 되는 것이다.”
대부분의 조직은 실리적 지도력을 바탕으로 결속되어 있다. 실리적 지도력은 평등의식과 공평성에 기초한 것이다. 따라서 추종자들이 자신이 주는 만큼 받고 있다고 느낄 때에만 서로의 관계는 유지될 수 있다. 실리적 지도력에 기초한 추종은 통제라기 보다는 오히려 영향력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실리적 지도력에 기초한 인간 관계는 팀워크와 집단 효과보다는 개인주의를 강화시키는 경향이 있다. 모든 당사자가 자신의 의사와 자신의 욕구에만 신경을 쓰기 때문이다.
원칙 중심의 지도력은 매우 드물다. 그것은 모든 인간 관계에 내재하는 질과 탁월함과 우수성을 나타내는 상징이며 인간에 대한 존경심에 기초하고 있다. 지도자는 추종자를 존중하며, 추종자들도 그를 존경하기 때문에 그에게 헌신한다.
원칙 중심의 지도력이 갖는 특징은 지속적이고 주도적인 영향력을 행사한다는 데에 있다. 원칙 중심의 지도력이 지속적인 이유는 추종자들이 원하는 것이든 원하지 않는 것이든 이루어 줄 수 있는 지의 여부에 바탕을 두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원칙 중심의 지도력은 강요된 것이 아니라 초대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지도자, 추종자 모두가 자신의 개인적 자아를 보다 큰 목적을 위해 헌신하고 있기 때문이다. 원칙중심의 지도력에도 통제는 존재한다. 그러나 그것은 외부적 통제가 아니라 자기 통제이다.
'━━ 지성을 위한 ━━ > Leadersh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공형 리더 (0) | 2019.04.13 |
---|---|
바리새인과 선지자의 차이점 (0) | 2019.04.12 |
섬김의 리더십 - 4가지 핵심개념 (0) | 2019.04.10 |
정직의 리더십 (0) | 2019.04.09 |
정직의 리더십 (0) | 2019.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