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관 자료 ━━/인터넷성경

인터넷 성경 핵심 공부 (창세기에서 계시록까지) (86과)2.

Joyfule 2009. 8. 11. 07:54

인터넷 성경 핵심 공부 (창세기에서 계시록까지) (86과)2.

시편(2): 시편의 문학 쟝르

 

 

2. 찬양시(8, 33, 92, 100, 111, 113, 117, 145, 146-150편)

 가. 개인이 드리는 이야기 형식으로 드리는 찬양시
  이 시는 하나님께 받은 바 은혜를 감사하기 위해 기록되었으며, 그 내용은 여호와의 선하심과 위대하심, 그리고 언약에 대한 그의 신실하심에 대하여 기록하고 있다.

 가) 서론
 * 찬양의 명령(부름)
 * 하나님의 찬양하겠다는 고백 또는,
 * 찬양 받으실 하나님에 대한 묘사

 나) 본론: 찬양의 이유를 제시
 * 찬양의 이유
 * 하나님의 행하심에 대한 구체적인 예증

 다) 결론
 * 하나님을 찬양 또는,
 * 찬양의 명령
 * 하나님의 구원을 간구함

 
(예 시 33편)

 가. 서론(1-5)
 * 서두(1-3)
 * 찬양에로의 부름(4-5)

 나. 본론(6-12(상))
 * 찬양의 이유 또는 위기에서 구원하신 하나님

 다. 결론(12(하))
 * 찬양, 찬양할 것을 서약함


 
나. 회중(백성들)이 이야기 형식으로 드리는 찬양시

 가) 서론(1-6)
 * 불러냄
 * 서두의 요약
 * 위기에 대한 회상
 * 찬양으로의 부름(6)

 나) 하나님의 역사에 대한 설명(6-7)

 다) 결론(8)
 * 확신에 대한 표현.


 
<참고> 찬양시의 변형된 형식들
  a. "승리의 노래"(예 삿 5장)

  b. "현현"(에피파니)의 시(예 시 18:7-15, 29편)


 
다. 서술 형식으로 드리는 찬양시(예 시 113편)

 가) 찬양으로의 부름(1-3)

 나) 찬양의 이유-하나님의 속성(4-9)

  
a. 여호와는 위대하시다(위엄)(4-5)
   a) 창조주
   b) 역사의 하나님

  b. 여호와는 선하시다(긍휼)(6-9)
   a) 그는 구원하신다.
   b) 그는 보존하신다.

 다) 결론: "할렐루야 !"(9(하))
 

 <참고: 서술 형식으로 드리는 찬양시의 변형된 형태들>

 a. "창조시(예 8편, 29편, 104편)
  창조주에 대한 내용이 독립적인 시를 구성한다.

 b. "역사시(78, 105, 106, 107, 114, 135, 136편)
  역사의 주인이신 하나님의 행동을 요약하는 부분과 찬양 시가 결합된 형태의 시

 
(예 78편).

 가. 찬양과 감사의 명령

 나. 찬양해야 할 이유제시

 다. 하나님의 언약

 라. 하나님의 구원역사(출애굽, 홍해 도하, 광야에서의 인도, 가나안 정복 등)


3. 제왕시

  제왕의 시는 통치하는 왕을 노래하는 시이다. 하나님은 모든 신들의 신이 되시고 세상 왕들의 왕이시다. 따라서 제왕의 시는 하나님의 절대 주권과 통치를 노래한다. 시편에는 또 인간 왕을 노래하는 시가 있다. 만왕의 왕이 되신 여호와는 다윗을 왕으로 세우시고 그의 후손과 함께 하신다. 인간 왕을 노래하는 시는 하나님께서 다윗의 후손과 함께 하실 것을 간구한다. 이처럼 제왕의 시는 하나님께서 세우신 인간 왕을 노래하는 시와 왕으로서 통치하시는 여호와를 노래하는 시로 구분할 수 있다.    

 가. 인간 왕을 노래하는 시(메시야시)-2, 20, 21, 45, 72, 110편)

  하나님께서는 다윗의 자손을 선택하시고 왕으로 세우셨다. 인간 왕을 위한 시는 하나님께서 세우신 다윗의 후손을 노래하는 시이다. 이스라엘이 바라는 이상적인 왕은 하나님을 의지하며 공의로운 통치를 하는 왕이다. 그러나 다윗의 후손들은 이상적인 왕이 되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이스라엘 백성들은 하나님께서 보내 주실 이상적인 왕을 고대하였다. 그는 하나님의 아들이 될 것이며 하나님의 기름 부음을 받은 자가 될 것이다. 그 분은 다윗의 후손에서 나오지만 다윗의 후손은 아니다. 그 분은 다윗이 섬겨야 할 왕 중의 왕이시다. 이처럼 이상적인 왕을 노래하는 시를 가리켜서 "메시야 시"라고 부른다.


 
나. 통치하시는 여호와를 노래하는 시(47, 93, 95-99편)

  시편에는 통치하시는 하나님, 창조주 하나님을 노래하는 시들이 있다. 하나님은 모든 왕들의 왕이시며 모든 신들의 신이시다. 그 분만이 세상을 통치하시는 유일한 분이시다. 시편에서 말하는 물, 홍수, 바다는 혼란과 어두움, 그리고 죽음을 상징한다. 따라서 물, 홍수, 바다에 대한 하나님의 승리를 묘사하여 하나님은 모든 신들 위에 뛰어난 분이심을 선포한다. 통치하시는 여호와를 노래하는 시는 이방인의 세상에서 하나님의 통치를 선포하는 시이다. 하나님께서는 왕이 되셔서 모든 만물들을 다스리신다 ! 그들은 지금 바로 이러한 사실을 축하하고 있는 것이다. 그는 그의 창조적인 능력(93:1-4, 95:5, 98:7,8)과, 이스라엘을 애굽에서 구원하신 분이시다(95:6,7, 99:4-8, 100:3). 여호와는 이스라엘뿐만 아니라 전세계를 지배하시는 왕이시다. 모든 사람들은 "모든 신들 위에" 계신 여호와를 찬양하도록 부름을 받고 있다. 이러한 시편들은 한결 같이 여호와께서 모든 민족들을 다스리시게 될 그 날만을 고대하고 있다.


4. 지혜시(1, 19, 37, 45, 73, 112, 119편)

  지혜서에는 욥기, 잠언, 전도서, 아가서가 포함된다. 이러한 지혜 문학은 사람들이 세상을 살아가면서 겪는 여러 주제들을 다룬다. 이러한 주제에는 애매한 고난, 허무하게 느껴지는 인생과 삶의 의미, 사랑과 결혼, 악인의 번성과 의인의 고난, 인과 응보, 악인의 핍박, 창녀의 유혹, 근면과 나태함, 부모와 자녀 관계, 현숙한 아내상 등이 있다. 지혜 문학은 이러한 주제들을 다루면서 신앙인들이 이러한 세상에서 어떻게 살아가야 성공적으로 살 수 있는 가를 교훈해 주고 있다. 시편에도 이러한 주제들을 다루고 있는 데 이러한 시편들을 지혜의 시라고 부른다.

 가. 인과응보의 교훈을 노래하는 시(1, 112편)
  이 두 편의 시는 여호와의 율법을 기뻐하며 그 말씀대로 사는 자와 그렇지 않은 자가 받을 보응에 대하여 말해 주고 있다.

 나. 하나님의 정의와 고난에 관한 시(37, 49, 73편)
  이 시들은 하나님의 정의에 대하여 말해 준다. 시편 기자는 악인이 번성하고 의인이 고난을 받는 것을 보면서 하나님의 정의에 대하여 의문을 제기한다. 그러나 시인은 결국 하나님께서 그가 행한 대로 공정한 심판이 있을 것임을 깨닫고 하나님의 공의를 노래한다.

 다. 율법과 창조를 노래하는 시(19, 119편)
  이 시는 하나님께서 창조하신 자연과 우주를 관찰하면서 하나님의 신성을 노래하고, 율법의 아름다움과 율법을 지킴으로 얻는 축복에 대하여 묵상하고 있다. 율법과 하나님께서 창조하신 자연과 우주를 묵상하는 시는 지혜의 시로 분류된다.

 라. 사랑을 노래하는 시(45편)
  이 시는 왕과 그 아내의 사랑과 결혼을 노래하는 '사랑의 시'이다. 하나님께서는 사람을 남자와 여자로 창조하시고, 사랑과 결혼을 통하여 생육하고 번성케 하셨다.


5. 저주시(7, 35, 58-59, 69, 70, 82-83, 109, 137, 140편)

  이스라엘은 개인과 국가적으로 많은 고난을 받았다. 이스라엘은 열강들의 침략을 받기도 하였고, 연단을 위한 시련도 겪었으며, 다양한 재난을 당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고난을 당할 때에 이스라엘은 개인이나 국가적으로 여러 가지 탄식과 애도의 시를 노래하였다. 특히 고난의 근본적인 원인이 악인에 의한 압제에 의한 것일 때에 시편 기자는 원수들을 저주하며 하나님의 심판이 속히 임할 것을 간구 하였다. 저주의 시는 원수들에게 심판이 임할 것을 간구 하는 시이다. 이러한 시는 원수를 사랑하라는 신약의 가르침과 상충된다는 지적을 받아 왔다. 그러나 이러한 시편의 기자들은 이스라엘의 원수는 바로 하나님의 택하신 백성을 압제하는 자들로서 바로 하나님을 대적하는 자로 보았기 때문에 이러한 저주를 하였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