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성을 위한 ━━/Leadership

조직 관리의 이해

Joyfule 2018. 8. 8. 22:54
 

 

    조직 관리의 이해 

 

 

‘메기’로 ‘청어’를 긴장시켜라

북해에서 청어 잡이를 하는 어부들의 가장 큰 걱정거리는 북해에서 잡은 청어를 어떻게 하면 산채로 런던까지 운송하느냐 하는 것이었다. 청어가 시장에 도착하기도 전에 죽어버리기 때문이었다. 그런데 한 어부는 언제나 북해에서 잡은 청어를 산채로 런던까지 운송해와 혼자 재미를 보았다. 그는 청어가 담긴 수조 속에 항상 메기 한 마리를 넣었다. 청어는 메기에게 잡아먹히지 않기 위해 수조 안에서 필사적으로 움직였다. 적으로부터 살아남기 위한 몸부림, 그 긴장감이 청어를 오랜 시간동안 살아있게 했다.

경영의 관점에서 이렇게 조직 내에 ‘메기형’ 인물을 투입해 의욕을 고취시키고 경쟁 무드를 조성해 발전동기를 유발하는 방법을 인사관리의 ‘메기 이론’이라고 한다.

 

조직 내 인사관리에서 ‘메기’는 다른 사람을 이끄는 힘이 있다. ‘메기’들은 뛰어난 업무능력과 함께 강한 카리스마로 주변 사람들을 사로잡기 때문에 사람들은 항상 ‘메기’의 행동을 주시하게 되며 권력과 상관없이 ‘메기’를 모방하고 추종하게 된다. ‘메기’의 또 다른 역할은 자극효과이다. ‘메기’의 활동력은 기존의 평형을 깨뜨린다. ‘메기’만의 적극적이고 미래 지향적인 삶의 태도, ‘메기’에게 보이는 리더의 지대한 관심과 대우는 주변 사람들에게 부담을 주고 자존심을 자극하는 효과를 가져와 경쟁의식으로 ‘비교하고, 배우며, 쫓아가고, 따라잡는’ 선의의 경쟁구도를 만든다. ‘메기이론’을 인사관리에 활용하면 예상 밖의 성과를 얻을 수 있다.

 

‘메기’를 영입하기 위해서는 내부직원을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좋다. 회사가 직원들의 발전과 성장에 항상 관심을 갖고 있다는 것을 알림으로써 좋은 기업문화를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고 경쟁적으로 고액의 연봉을 제시하는 인재 채용 문제를 피할 수 있다. 내부 인재는 소속감을 갖고 자신의 가치관을 기업의 가치관과 일치시켜 동료들의 진보적인 정신을 자극함으로써 기업 목표를 달성하게 된다. 따라서 ‘내부 발탁’은 인재의 유실을 막고 동료들의 유대감을 강화해 내실 있는 팀워크를 발휘하게 한다.

  

‘메기’ 100% 활용하기

‘메기’는 수적으로 열세이지만 막강 파워를 자랑하며 기업에 큰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메기 효과’가 긍정적으로만 작용하는 것은 아니다. ‘메기 효과’를 경영 수단으로 인사관리에 적용될 때 ‘메기’의 리더십을 적절히 조절하는 능력도 필요하다. 관리가 너무 타이트하면 ‘메기’의 활동 능력을 저하시키게 되고 반대로 관리가 너무 느슨하면 자유주의가 만연해 물이 배를 뒤집는 결과를 초래한다. 따라서 조금만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도 조직 내 갈등을 유발하여 정상적인 조직 운영이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메기 효과’를 적용할 때는 다음과 같은 부분에 유의해야 한다.

 

첫 번째, 재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한다.

‘메기’는 대부분 특정 분야에 특출한 재능을 가지고 있다. 리더는 먼저 스스로의 포지션을 분명히 해야 한다. ‘메기’의 능력이 아무리 출중해도 리더의 비교대상은 아니기 때문이다. 리더의 역할은 ‘메기’가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마음껏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자리를 마련해 주고 환경을 조성해 주는 것이다.

 

두 번째, ‘메기’의 의견을 중시해야 한다.

‘메기’들의 가장 큰 특징은 주관적이라는 것이다. 이들은 사람들에 의해 이리저리 휘둘리지 않는다. 자기가 옳다고 판단한 일은 지지하는 사람이 없어도 의견을 굽히지 않는다. 리더는 대화채널을 열어놓고 ‘메기’들이 대화하고 논쟁할 수 있는 민주적 분위기를 만들어야 한다. 모두가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는 문화가 조성될 때 혁신과 영원히 고갈하지 않는 에너지가 생겨난다.

 

세 번째, 커뮤니케이션을 강화한다.

능력 있는 ‘메기’들은 리더와 동료들의 인정을 받고 싶어 한다. 이들은 높은 실적을 올렸을 때 그에 상응하는 대우를 기대한다. 리더는 공정성에 주의를 기울여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메기’들을 설득하고 이해를 구해야 한다.

 

네 번째, 단점을 최대한 용납한다.

‘메기’는 장점이 분명한 반면, 단점도 더욱 두드러진다. 리더의 책임은 메기의 장점을 최대한 살리고 단점을 피하는 것이다. 리더십을 발휘해 메기의 단점으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해야 한다. 필요하다면 ‘메기’를 보호해야 한다. ‘메기’는 리더가 보여준 은덕에 감동해 작은 배려를 큰 보답으로 갚을 것이다.

 

 

'━━ 지성을 위한 ━━ > Leadersh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CEO와 리더십  (0) 2018.08.11
조직 관리의 이해   (0) 2018.08.10
리더십의 기본 전제, 성과   (0) 2018.08.07
리더십의 기본 전제, 성과   (0) 2018.08.06
성공하는 리더의 지혜   (0) 2018.08.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