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무드에서 배우는 돈의 지혜
제1장 마음과 주머니 사이의 진실한 거리 보기
“가장 긴 길은 우리 가슴에서 주머니에 이르는 길이다.”라는 유대 격언이 있다.
우리가 삶을 전체적으로,
그리고 삶이 주는 의미를 보지 못한다면 가슴에서 주머니까지 도달할 수 없다.
돈이란 흔히 더러운 대상으로 간주된다.
또한 돈에 대하여 이야기하는 것을 사람들은 부끄러워한다.
사람들은 섹스에 관하여 친한 친구와 이야기하는 데는 별로 어려워하지 않으면서
예금을 얼마나 하며 월급이 얼마인지에 대해서는 이야기하기를 꺼려한다.
심지어 아이들도 부모의 수입에 대해 잘 모른다.
그러나 돈은 ‘악한 것’이 아니다. 유대인은 돈을 존중한다.
다만 그 돈은 생존의 가능성을 다양화시키고
영적인 공부와 학습을 위한 시간을 확보하게 하는 부패하지 않은 진짜 돈이다.
그렇다면 어떤 종류의 돈이 신성한 주제가 될 수 있는가?
어떤 돈이 내세 혹은 천국에서 화폐로 사용될 수 있는가?
잘 차려진 식탁 앞에서도 먹지 못하는 사람들
한 랍비가 연옥과 천국을 방문하도록 허락되었다.
처음에 그는 연옥으로 인도되어 괴로움으로 신음하는 사람들을 보았다.
이상하게도 그 사람들은 고급스러운 은 식기와 사기 그릇에
최고의 음식물이 담겨진 호화로운 연회 테이블에 앉아 있었다.
그는 사람들이 왜 그렇게 괴로워하는지 이해할 수가 없어서 좀더 가까이 다가갔는데
그때서야 비로소 이유를 알 수 있었다.
사람들의 팔꿈치가 바깥쪽으로 굽어 있어
음식을 자신의 입으로 가져갈 수 없어서 괴로워하고 있었던 것이다.
랍비는 다시 천국으로 안내되었다.
그곳에는 연옥에서 보았던 똑같은 음식으로 차려진 연회석상과 밖으로 팔이 굳어진 사람들이 있었다.
하지만 그곳 사람들은 즐겁게 웃고 있었다.
천국의 사람들은 자기 자신이 아닌 옆 사람의 입에 음식을 넣어주고 있었던 것이다.
지옥은 시장이 없는 세계이며, 굽어 있는 팔,
그 단 하나의 어려움도 연회의 맛있는 음식을 먹는 기회를 파괴하기에 충분한 곳이다.
천국은 먹을 수 있는 즐거움 이외에도 음식물을 옆 사람의 입에 넣어줌으로써
지옥에서 일어날 수 있는 낭패감을 덜어주는 곳이다.
이렇게 서로를 먹여주는 통찰력을 알아내는 것과 그렇지 못함 사이의 간격은 매우 크다.
이 땅에 사는 사람들은 ‘땅을 갈고 돌보는(창세기)’ 임무가 주어지는데
이것은 삶의 질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세계와 정직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계속적으로 노력해야 한다는 것을 뜻한다.
부를 확장하는 것은 모든 사람의 의무이며,
결핍을 만들지 않고 모든 사람을 위하여 최대의 부를 창출하는 것이 우리의 의무이다.
부의 획득은 인간의 요구이며 결핍에 대항하는 것은 필연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