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감성을 위한 ━━/젊은이에게

학습을 통한 인생경영

Joyfule 2017. 3. 2. 00:43
     
      학습을 통한 인생경영 
    5. 외과의사들도 수술에 필요한 손놀림을 극히 조금이나마 개선하기 위해서는
    여러 달 동안 봉합술을 연습해야 한다. 
    그것이 결국 수술시간을 단축하게 하고,인간의 생명을 건질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성취가 성취를 낳는다.
    그러나 이런 성취는 어떤 사람이 
    특별히 잘하고 있지 않는 분야의 일을 조금도 나아지게 하지는 않는다. 
    어떤 사람에게 동기를 부여해주는 성취감이라는 것은
    그 사람이 이미 잘하고 있는 분야의 일을 더욱더 잘하도록 해준다.
    6. 성취 수준은 학생의 장점에 맞추어야 한다.
    지난 수천 년 동안 예술의 스승과 스포츠 지도자를 포함하여, 
    모든 지도자들이 그랬던 것처럼 말이다. 
    사실, 학생의 장점을 찾아 그것을 목표에 집중하도록 하는 것이 
    바로 교사의 교습법에 대한 가장 올바른 정의이다.
    이것은 서양 역사상 가장 위대한 교사들 가운데 한 사람인 
    성 어거스틴(354-420)의 주장이기도 하다.
    물론 학교와 교사들 역시 이것을 알고 있다.
    그러나 그들은 좀처럼 학생의 장점에 맞추어 교육을 하지 않았다.
    반대로 그들은 필연적으로 학생의 약점에 초점을 맞추었다.
    (P.S. 이런 조언을 우리 인생 살이에 적용하면 어떨까요?
    약점을 보완하는 식의 삶에서 큰 성취를 얻기는 어렵다는 점입니다.
    물론 아주 효과가 없는 것은 아니지요. 
    약점을 보강하는 연습이나 훈련도 필요합니다.
    그러나 자신의 강점을 발견하고 그곳에 소중한 자원을 집중시킬 수 있다면
    자신의 분야에서 우뚝 서는 인물로 성장할 가능성이 한층 높아지게 될 것입니다.)
    -출처: 이재규, <피터 드러커의 인생경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