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치관의 의미와 중요성
2. 가치관의 종류
1) 진로 가치관(Brown, 1996)(계속)
⑧ 겸손(Humility)
겸손의 가치관은 특정 직업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이들은 자신의 성취에 대하여 남의 시선을 끌지 않는 직업에서 만족을 느낀다.
⑨ 독립성(Independennce)
독립성의 가치관은 스스로 결정을 내리고 자신의 시간에 대한
통제권을 가지는 일을 할 때 만족된다.
이들은 자신의 일에 대하여 스스로가 통제권을 상당히 행사할 수 있는
공학자, 과학자, 예술가 등의 일을 할 때 만족을 경험한다.
⑩ 가족이나 집단에 대한 충성(Loyalty to Family or Group)
가족이나 집단에 대한 충성의 가치관은 특정 직업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지는 않는다.
이들은 전통을 따르고 가족이나 집단의 기대를 따르는 것이 중요하다.
⑪ 사생활(Privacy)
사생활의 가치관을 가진 사람들은
사람들과 상호작용하는 시간이 짧은 직업을 가질 때 만족한다.
장거리 트럭 운전사, 짐수레 끄는 사람, 시끄러운 기계를 작동하는 직업 등
사람들과의 관계를 최소화하는 직업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⑫ 책임감(Responsibility)
책임감의 가치관을 충족시키는 직업들은 대체로 정확하고
반복적인 활동을 해낼 것을 요구한다.
회계사, 전기기사, 사무원 등이 책임감의 가치관을 가치고 있을 경우에
직무만족도가 높아질 가능성이 높다.
⑬ 과학적 이해(Scientific Understanding)
과학적 이해의 가치관을 가진 사람들은 문제를 풀 때
과학적 방법을 사용하는 것을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컴퓨터 프로그래머, 수학자, 원예가 등의 직업은
과학적 이해의 가치관을 만족시킬 수 있다.
⑭ 영성(Spirituality)
영성의 가치관을 가진 사람은 초월적 존재에 대한 믿음이 강화되거나
자신의 믿음을 위해 행동할 때 만족을 느낀다.
목사, 신부, 승려 등 종교 활동 지도자 등의 직업은 영성의 가치관을 만족시킨다.
2) 학업 관련 가치관
(1) 청소년의 학업가치관(임은미, 1998)
① 내적 가치부여(자율적 동기)
공부를 하면서 가치와 보람을 느끼며 학업과제를 이해하는 데에서
즐거움과 유능감을 느끼고, 도전적인 학업과제에 기꺼이 직면한다.
② 외적 가치부여(사회적 동기)
미래에 성공을 이루기 위해 학교에 다니는 것을 말한다.
③ 학업가치부재(무동기)
공부에 무관심하며 공부하는 것이 가치롭다고 느끼지 않는다.
(2) 청소년에게 요구되는 학업 가치관(이광호, 2003)
① 투자로서의 학업
미래를 위한 준비로서 학업을 수행하는 태도
② 생활유지로서의 학업
청소년기에 해야 할 일로서 기성세대가 요구하기에
어쩔 수 없이 학업을 수행하는 태도
③ 소비로서의 학업
학업 자체를 즐기며 학습활동을 통해 힘을 얻는 학습 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