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성을 위한 ━━/Speech

대화의 방해 요소 (의사소통 걸림돌)

Joyfule 2011. 9. 2. 03:20
    ♣ 대화의 방해 요소 (의사소통 걸림돌) ♣ 인간관계는 대화로 연결된다. 우리들이 일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말에는 대화를 촉진하여 진실한 이해에 이르게 하는 것도 있지만, 오히려 대화를 방해하고 오해나 갈등을 일으키는 것도 있다. 어떤 문제를 가지고 있는 자녀들에게 때로는 성급하게 해결책을 주려고 하거나, 잘 듣기보다는 하고 싶은 말만을 하면서 상대방을 무력하게 만들기도 한다. 또 심리적으로 좌절감이나 저항감을 일으키는 말도 곧잘 쓰게 된다. 여기에서는 어떤 문제로 고민이 있는 자녀가 자신의 문제를 언어나 표정 등의 비언어적인 것으로 표현한 정보에 대해 부모인 내가 어떻게 반응해 왔는가를 집중적으로 살펴보고,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방법을 찾아 나가고자 한다. 여기에서 제시하는 12가지 `도움을 주려는 노력들'은 자녀들의 문제를 도와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대화의 걸림돌로 작용하여 대화가 단절되고, 원만한 인간관계 형성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한 중학생 자녀가 "엄마, 미경이가 나와 절교하자고 하였어요." 이때 엄마가 "내 생각에는 네가 그 친구에게 좀 더 잘 해주었더라면 이런 일은 일어나지 않았을 거야. 네가 먼저 가서 사과하면 어떨까?"라고 말하면, 자녀는 다음과 같은 의미로 짐작하여 받아들일지도 모른다. "너는 비난받아 마땅해" "네가 무엇인가 잘못했어" "너는 사물을 바르게 보지 못하고 있어" "너는 좋은 친구가 아니야" "너는 나만큼 현명하지 못해" "너는 친구도 제대로 사귀지 못하니?" "이 문제에 대해 너 혼자는 아마 스스로 해결할 방법을 모를꺼야" 이런 오해가 생기는 것을 막기 위하여 우리가 흔히 쓰고 있는 대화의 걸림돌에 대해서 알아보자. 1) 명령, 강요 “너는 반드시”,“너는 꼭”,“--해야 할 것이다” 2) 경고, 위협 “만약--하지 않으면, 그때는--”,“--하는 게 좋을걸, 그렇지 않으면--” 3) 훈계, 설교 “너는 --해야만 한다.”,“--하는 것이 너의 책임이야.” 4) 충고, 해결방법 제시 “내가 말하고자 하는 것은--”,“--하는게 어떻겠니?”,“내가 너에게 충고하자 면--” 5) 논리적 설득, 논쟁 “네가 왜 틀렸냐 하면”,“문제가 되는 것은”,“그래, 그렇지만--” 6) 비평, 비난, 비판 “넌, 신중하게 생각하지 않아--”,“너는 게을러서--” 7) 칭찬, 찬성 “야, 너 참 잘했다”,“네가 맞아!” 8) 멸시, 욕설, 조롱 “이 울보야”,“그래 너 잘났구나!” 9) 분석, 진단 “무엇이 잘못되었느냐 하면--”, “네가 진정 말하려는 것은 그것이 아닐꺼야”, “아마 너는 단지 회피하고 싶은 것일꺼야” 10) 동정, 위로 “걱정하지마”,“앞으로 좋아질 거야”,“기운 내!” 11) 캐묻기와 심문 “왜?”,“누가?”,“무슨 일이 있었니?” 12) 화제 바꾸기, 빈정거림, 후퇴 “즐거운 이야기나 하지”, “그래, 세상일에 다 개입해 보시지”, “야, 네 머리 스타일 괜찮은데--” ♣ 왜 의사소통의 걸림돌은 효과적이지 못한가? 1) 해결을 강요하는 메시지 ① 반발을 부른다 :“난 ....을 하지 않을 거다.” ② 자녀가 부모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행동으로 스스로 변화할 기회를 박 탈한다. 2) 상대방을 비하시키는 메시지 ① 자녀의 자존심을 손상시킨다. ② 반발, 논쟁을 야기한다 : "나는 경솔하지 않아요." ③ 자녀의 체면을 손상시킨다. ④ 자녀를 비난한다 : 자녀가 하고자 하는 욕구에 대해 죄의식을 갖게 한다. 3) 우회적인 메시지 ① 자녀가 메시지를 전달하려는 의미를 파악하지 못하거나 메시지의 내용을 이해하지 못한다. ② 우회적인 메시지는 자녀에게 부모는 개방적이거나 솔직하지 못하고 감정적이고 비열하다고 느끼게 한다. 김인옥 P.E.T.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