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리새인은 대중의 신뢰와 지지를 받으면서 대중에게 지대한 영향력을 행사한 대규모 집단이라고 일반적으로 가정된다(Rivkin; Davies; Finkel; Jeremias; Meyer; Marcus). 하지만 스미쓰(Smith)는 [유대 전쟁사]와 [유대 고대사]에서 요세푸스의 바리새인에 대한 묘사를 비교 분석하여, 결과적으로 그의 증거의 가치에 의심을 제시했다. 그의 논평은 우리가 요세푸스의 두 작품간에서 발견할 수 있는 차이점들을 얼버무릴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만든다.
ai[resij: 종파 혹은 학파
요세푸스는 바리새인과 사두개인의 내적 조직과 지도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다. 또한 용어를 정확하게 사용하고 있지도 않다. 그 한 예가 바로 특정 학파의 사상을 의미하는 "ai[resij"다. 요세푸스는 이 용어를 유대주의에서 사상과 실천의 경향을 묘사하는데 사용한다. 이 용어를 종파 혹은 분파로 번역하는 것을 정확하지는 않지만, 학파가 더 정확한 번역일 것이다. 왜냐하면 요세푸스는 바리새인, 사두개인 그리고 에세네파를 헬라 철학과 비교하여, 유대인이 존중되기를 원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증거를 요구한다면 어려운 문제다. 또한 헬라의 철학파들은 교리에 대한 학적인 연구에 종사하지 않고, 오히려 생활 양식에 관심을 두었다. 정치적 관심에서 보자면, 학파라 할 수 없고; 생활 양식의 관점에서 보자면, 학파가 적절할 것이다.
여록, [유대 고대사]의 친-바리새적 성향?
요세푸스가 친-바리새적이었다는 주장이 있다(R. Laqueur; Hans Rasp; Morton Smith; Jacob Neusner). 노이스너는 미쉬나와 복음서에 근거하여 바리새인은 종파 집단과 같았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요세푸스의 친-바리새적 성향의 주장에는 난점도 있다. 첫째, 다른 집단들도 동일한 방식으로 다루고 또한 반-바리새적인 부분도 있다. 둘째, 유대인 안정의 입장에서 집단들에 대한 태도를 보일 뿐이다. 셋째, 90년경 팔레스틴에서 그들의 역할은 불확실하다.
바리새인의 정치적 영향력
노이스너는 바리새인들이 헤롯과 로마의 통치 시기에 정치적으로 활약하는 집단으로 존재하는 것을 종식하고 분파적 특성을 갖게 되었다고 주장하지만, 그렇게 첨예한 대조는 아니다. 오히려 그들은 다양한 사회에서 왕권의 후견인을 갖지 못한 미력한 요소(minor factor)로서 존재했지만, 세력과 영향력에 관심을 두었다.
신약성서의 바리새인
복음서는 예수의 시대와 그 생애를 직접적으로 제시하지 않고 있기에, 우리가 역사적 바리새인을 연구하는 필요한 자료들을 제공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특히 복음서 저자들은 서사적 및 신학적 목적을 위해 바리새인들을 다소 변화시킨다(Malbon). 따라서 복음서를 분석할 때, 특별한 관심은 사람들을 하나로 묶는 사회적 관계, 명예와 수치 체제, 후견인과 의뢰인 관계, 연맹 그리고 당파 등에 있어야 한다.
신약성서의 바리새인 묘사들
신약성서의 바리새인에 대한 묘사를 요약한다:
첫째, 복음서의 여러 곳에서, 바리새인들은 여러 집단들과 관련되어 묘사된다: 서기관들(막 7:1막 3:1마 3:7마 21:45마가복음 2장 6절과 12장 38절이 "서기관들"만 언급하는데, 마태복음 23마가복음 8장 11절의 바리새인들은 "바리새인들과 사두개인들"(마 16:1) 또는 "서기관들과 바리새인들"(마 12:38
둘째, 바리새인들은, 비록 그것이 "구전 토라"의 형태가 아닐지라도 "장로들의 유전들"을 가지고 있다(막 7:5
셋째, 먹는 것과 의식적 정결이 많다(막 2:15마 9:10눅 5:29막 7:1마 15:1눅 11:37
넷째, 다른 문제들에 관한 묘사가 있다. 예를 들면, 안식일(막 2:23마 12:1눅 6:1막 3:1마 12:9눅 6:6막 10:2마 19:3눅 16:18), 메시아 인식법(막 12:35마 22:41눅 20:41막 12:13마 22:15눅 20:20
다섯째, 대체로 바리새인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다. 오히려 그들은 예수를 부각하는 역할만을 한다. 그들은 와서 예수께 질문을 하지만, 초점음 예수의 답변에 있고; 바리새인은 다시 재치있는 말대꾸를 하지 않는다.
이러한 증거를 해석하는 여러 가능한 방법들이 있다. 첫째, 바리새인에 관한 대부분의 진술, 특히 바리새적 지배를 나타내는 진술이 전승에 대한 70년 후의 추가이고, 또한 후기의 논쟁을 반영하는 것으로 결론짓는 것이다. 둘째, 빌트(Wild)는 묘사들이 기독교인이 된 바리새인들과 그렇치 않은 바리새인들간의 내부적 논쟁을 나타내는 것으로 간주한다. 아마 일부는 기독교인 내부의 논쟁일 수도 있을 것이다. 셋째, 대부분의 신약 학자들은 예수의 시대까지 소급되지는 않을 지라도 70년 이전의 상황을 다소 제시한다고 한다(Saldarini, 1988: 144-98).
마가복음의 바리새인
텍스트들
연구자가 네 복음서 중에서 마가복음을 우선적으로 다루는 이유는, 살다리니의 견해와 같이 마가 우선설을 따르기 때문이고, 또한 마가복음이 마태복음보다는 바리새인에 대해 독특하게 제시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또한 마가복음의 저자는 바리새인과 다른 지도자 집단에 대하여 조리있고 일관된 모습을 제시하는데, 이러한 제시는 팔레스틴 사회에서 예수의 사역과 위치를 이해하는데 적절하다. 하지만 마가복음의 제시는 요세푸스의 제시와 차이가 있다는 점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아마도 그 차이는 저자의 관점과 관심의 차이때문일 것이다.
마가복음에서 서기관들과 더불어 바리새인은 갈릴리에서 예수의 주된 반대자로 활동한다. 마가복음을 70년 이전의 전쟁 상황에서 기록된 가정을 수용한다면, 마가복음의 저자는 자신의 지식 혹은 전승 자료에 기초하여 1세기 중엽의 상황을 반영하고 있다고 간주할 수 있다(Hengel).
마가복음에는 "바리새인"이 단독으로 제시된 경우가 5회인데, 그 때마다 그들은 예수와 갈등 관계에 있다(2:18; 2:24; 3:2; 8:11, 15; 10:2). 바리새인과 서기관이 함께 언급되는 경우는 2회인데, 그 때도 예수와 갈등 관계이 있다(2:6; 7:1, 5). 또한 바리새인은 정치적인 문제에서 헤롯당과 관련하여 2회 제시된다(3:6; 12:13). 이러한 바리새인의 사회적 계층 및 지위 그리고 사회에 대한 그들의 관계는 그들의 지역적 위치와 그들이 다루는 논제들에 의해서 결정된다.
바리새인의 위치
마가복음의 저자는 한 경우(12:13)를 제외하고는 바리새인을 갈릴리에 위치시킨다. 바리새인은 가버나움과 다른 전원 소도시(3:2, 6; 7:1, 5)와 다른 중간지(2:18, 24; 8:11; 10:2)에서 만난다. 그들은 갈릴리에서 매우 활동적이다. 그들은 다른 집단들과 접촉을 하였는데, 예를 들면 헤로디안들(3:6)과 서기관들이다. 그들은 예루살렘에는 단 한 번 등장하지만, 이것은 저자의 문학적 배열 때문이다. 예루살렘에서 그들의 등장은 그곳에서도 그들의 활동이 있었다는 가능성을 전적으로 배제하지는 않지만, 확실하지는 않다.
논제들
바리새인들은 예수와 금식(2:18), 안식일 준수(2:24; 3:2), 이혼(10:2)의 문제들을 두고 예수와 논쟁한다. 서기관과 바리새인들은 손 씻기(7:1) 문제를 놓고 논쟁하고, 바리새인의 서기관들은 예수가 죄인들과 식탁 교제 나누는 것(2:16)을 문제시 한다. 또한 바리새인들은 기적을 요구하면서 예수의 권위(8:11)를 문제시한다. 헤롯당과 함께 바리새인들은 정치적 문제, 즉 로마 세금 문제(12:13)를 두고 예수를 체포하고자 한다.
마가복음에서 바리새인들은 사회의 다른 집단들과 관계를 지니고 있고, 예수에게 반대하여 헤롯당과 정치적 동맹을 맺고, 그리고 헤롯당과 함께 예루살렘 지도자들의 선동으로 예수를 시험하기 때문에, 그들은 정치적 유익 집단과 연합하여 활동한다. 특히 바리새인의 서기관들은 아마도 예루살렘의 대표자들일 것이다. 그들의 종교관은 유대인들이 팔레스틴에서 생활하는 방식에 필수적인 요소이기 때문에, 그들은 사회적 실천과 공동체의 가치관을 결정하는 정치적, 범적 그리고 사회적 요소들에 가능한 많은 통제와 영향력을 추구했다.
노이스너는 신약성서에서 바리새인의 관심사들이 의식적 정결, 농업적 십일조 그리고 안식일 준수인 것에 기초하여 바리새인이 정치적 활동 세력이 아니라 종교적 분파 혹은 식탁 교제 집단이라고 제안했다. 하지만 그 당시 정치와 종교는 분리될 수 없는 상황이었음을 감안한다면, 노이스너의 제안은 설득적이지 못하다. 더글라스(Mary Douglas)의 인류학적 연구에 기초하여 네이레이(J. Neyrey)는 마가복음에서 정결법이 공동체의 기구(mechanism)를 설정하는 기능을 하는 것을 제시하기 위하여 연구했다. 그렇다면 바리새인들은 특정 공동체를 옹호하는 자들이었다.
예수와 바리새인이 일부 유대인들에게 관심사였던 신학적 논제를 두고 논쟁하지 않았고, 오히려 공동체의 지배를 놓고 경합했다. 마가복음에 따르면, 바리새인들은 갈릴리에서 지도자들로 인정받았다. 이것은 그들이 공동체 안에서 상당한 지위를 가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 영성을 위한 ━━ > 기독교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두개인들과 바리새인들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0) | 2019.12.18 |
---|---|
사두개인들과 바리새인들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0) | 2019.12.17 |
사두개인들과 바리새인들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0) | 2019.12.14 |
사두개인들과 바리새인들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0) | 2019.12.13 |
사두개인들과 바리새인들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0) | 2019.1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