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의 형성사 및 번역사.
서방의 정경 초기 형성
로마의 클레멘스의 증언(AD 96년경) 그가 로마 주교로 있을 당시 고린도교회에 보낸 매우 정평있는 편지에서(제1클레멘스로 알려짐), 그는 마태복음, 로마서, 고린도전서에 대한 지식을 보여 주며 히브리서에 대하여 거듭해서 언급하고 있다.
마르키온의 증언(140년경) 영지주의 이단자로서 그는 다만 누가복음과 바울서신 중 10편만을 인정했다. 다소 잘못된 점은 있으나 그의 증거는 계몽적이며 교회가 현재의 신약성경을 수집하고 인정하는 데 중요한 지표를 형성케 하고 있다.
헤르마스의 증언(150년경) 그는 매우 정평있는 헤르마스 목자서의 기록자로서 마태복음, 에베소서, 히브리서, 야고보서 특히 요한계시록을 정경으로 확증하였다.
이레나이우스의 증언(40-203년경) 그는 청년 시절에 서머나의 폴리카르푸스와 교분이 있었으며, 후일 고올지방 리용의 주교로서 사복음서, 사도행전, 베드로전서, 요한1서, 빌레몬서를 제외한 바울의 모든 편지와 요한계시록을 입증하였다.
무라토리 정경의 증언(172년경) 이 단편문서는 1740년 밀란의 암브로시우스 도서관에서 이탈리아인 무라토리가 발견했다. 삭제된 처음 부분은 마태복음과 마가복음이었다. 이것은 베드로전.후서, 야고보서, 히브리서를 제외한 모든 신약 문서에 대해 입증하고 있다.
170년 이전의 고대 라틴어역 증언 이것은 야고보서, 베드로후서 그리고 테르톨리아누스시대 이전에 첨가된 히브리서를 제외하고는 모든 문서들에 대하여 입증하고 있다.
테르툴리아누스의 증언(150-222년경) 이 카르타고의 다작의 라틴 작가는 사복음서, 13편의 바울서신, 사도행전, 베드로전서, 요한1서, 유다서, 요한계시록에 대하여 증언하였다. 그러나 그는 히브리서의 기록자는 바나바라고 하면서 이를 넣지 않았다.
키프리아누스의 증언(200-258년경) 카르타고 주교로 히브리서에 대해서는 테르툴리아누스의 견해를 따랐다. 그러나 빌레몬서, 야고보서, 요한 2.3서, 유다서는 인용하지 않았다.
서방의 정경 후기 형성
히에로니무스의 증언(340-420년경) 그는 라틴어 불가타역의 뛰어난 번역자이며 명성있는 학자로서, 우리가 소유한 신약 정경 모두를 증언했다. 그는 바울에 의해 히브리서가 기록되었음을 인정하였고, 야고보서와 베드로후서가 어떻게 인정될 수 있는가를 설명했다. 그의 견해는 최상의 가치를 지니고 있다.
아우구스티누스(Augustine)의 증언(354-430년) 히에로니무스와는 달리 그의 견해는 모호했다. 그는 문제시되었던 일곱 권의 책을 모두 수락하기는 했으나 성경의 권위에 정도의 차이를 두고 대체로 외경을 포함하여 폭넓은 로마 가톨릭교회의 구약 경전 확립에 기여하였다.
교회협의회의 활동 신약 정경의 한계를 정하는 문제는 어떠한 협의회에서도 결정할 일이 아니었다. 개개의 문서가 지닌 영감적인 가치나 내적인 권위가 그 결정요소였다. 이러한 사실은 정경 가운데 우리에게 전해 내려오는 문서의 순수함이나 확실성에서 뚜렷하게 증명되고 있다. 4세기 말 이전 어떠한 협의회도 이런 주제에 관해서 아무런 공언도 하지 못하였다.
카르타고 제3차 교회회의(397년) 여기에서 정경에 대한 최초의 결정을 내렸다. 이 회의에서 규정된 사항 중의 하나는 교회내에서는 오로지 "정경으로 인정된" 책만 읽혀져야 한다는 것이었다. 이후에 이것은 현재 우리가 가지고 있는 27권의 목록이 되었다. 히브리서는 바울의 것이라는 이유로 인정되었다. 히포 교회회의(419년)는 제3차 카르타고 교회회의의 목록을 거듭 확인하였다. 이처럼 정경의 선정은 개개의 책들이 자체의 가치를 입증한 후 교회회의에서 확인하는 자연스러운 과정을 겪었다.
동방의 정경 형성
안디옥 주교 이그나티우스(116년경), 서머나 주교 폴리카르푸스(69-155년경), 히에라폴리스 주교 파피아스(80-155년경)는 마태복음, 요한복음, 바울서신, 베드로전서, 요한1서, 사도행전에 대해서 증언했다. 12사도의 교훈집(120년경)은 마태복음을 특히 많이 언급하고 대부분 신약성경과 마찬가지로 누가에 대해서도 알고 있다. 사르디스 주교 멜리투수(170년경)는 야고보서, 유다서, 요한 2.3서를 제외하고는 모든 신약성경을 인용했다. 안디옥의 데오필루스(115-118년경)는 신약성경의 대부분을 입증하였고 이것들은 구약 정경과 동등한 가치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그의 후계자인 루키아누스(312년에 순교)는 자신의 "안디옥 정경"에서 요한계시록, 베드로후서, 요한 2.3서를 제외시켰고, 그가 개역한 구약과 신약성경에서는 유다서를 제외시켰다. 가파도키아의 대 바실리우스(329-379년경)와 나지안주스의 그레고리우스(330-390년경)는 요한을 계시록의 기록자라고는 했으나, 이를 제외한 현재의 정경에 있는 모든 문서를 인정했다. 몹스에스티아의 데오도루스(350-428년)는 가톨릭 서신들과 요한계시록을 인정하지 않았다. 교회의 이러한 견해는 콘스탄티노플 정경에까지 상당한 영향을 주었는데, 이는 루키아누스의 "안디옥 정경"에서 발전된 것으로, 요한2.3서, 베드로후서, 유다서와 요한계시록 등을 인정하지 않았다. 페쉬타(411-435년)도 콘스탄티노플 정경과 유사하였다. 필로크세누스(508년경)가 이 부인된 책들을 첨가하여 시리아 페쉬타성경을 개정하고부터 콘스탄티노플 정경의 그릇된 영향은 사라지게 되었다.
이집트와 팔레스타인 정경의 초기 형성
순교자 유스티누스(100-165년경)는 요한계시록에 관하여 중대한 증언을 하면서 이것을 사도 요한의 기록이라고 하였다. 그는 또한 히브리서를 잘 알고 있었고, "베드로의 회고록"이라는 표제가 붙은 마가복음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155-215년경)는 현재 신약에 수록되어 있는 모든 문서에 정통하였으며, 유다서, 히브리서, 공동서신과 요한계시록을 포함한 모든 문서를 인정하였다. 알렉산드리아의 오리게네스(185-253년경)는 많은 논쟁이 되었던 책들(히브리서, 베드로후서, 요한 2.3서, 야고보서, 유다서)을 인정할 만한 증거를 제시하고 있다. 그는 이 인정된 책들(「호모로구메나」) 가운데 요한계시록도 포함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이집트와 팔레스타인 정경의 후기 형성
프레드릭 케년 경에 의해 1933-37년에 출판된 3세기 체스터 비티(The Chester Beatty) 파피루스 사본은 사복음서, 사도행전, 바울서신, 히브리서(로마서 다음에 있음), 요한계시록(9:10∼17:2 부분만이 보존되고 있다)을 인증하고 있다. 알렉산드리아의 디오니시우스(200-265년경)는 야고보서, 요한 2.3서 그리고 요한계시록을 영감된 성경으로 인정함과 동시에 히브리서가 바울서신임을 증언했다.
알렉산드리아의 아타나시우스(298-373년)는 현재 우리가 소유하고 있는 27권의 신약성경에 대하여 "정경적"이라는 말을 사용하였다.
신약 정경 형성사의 요약
신약 정경은 교회협의회의 활동을 통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형성되었다. 개개의 책들이 지닌 영감성과 내적인 권위가 그것들을 궁극적으로 인정하고 정경화하는 결정적인 요소를 이루었다. AD 200년에 이르러서야 신약은 본질적으로 오늘날 우리가 소유하고 있는 것과 똑같은 문서들을 포함하였다. 그 후 이것들은 기독교인들에 의해서 오늘날과 같은 권위와 확실성을 지니게 되었다. 3세기에는 「안티레고메나」로 논쟁이 벌어졌다. 동방에서는 요한계시록을 인정치 아니하였으며, 서방에서는 히브리서를 부정하였다. 실제적으로 3세기 말에 가서야 모든 외경서들이 히에로니무스와 아우구스티누스의 영향, 그리고 이집트 아타나시우스의 정경이 설정한 명확한 구분으로 실제로 어떠한 문서가 정경의 지위를 갖는가에 대한 논쟁은 그치게 되었다. 제3차 카르타고 교회회의(397년)는 이 결정을 확증하였으며, 이때부터는 어느 신약 문서에 대한 논쟁도 그치게 되었다. 동방에서는 오랫동안 논쟁이 계속되었다. 그러나 서방과 알렉산드리아 아타나시우스의 경우, 갑바도기아 교부들의 영향은 모든 반론을 일축시켜 버렸다. 페쉬타(시리아 성경)에 요한 2.3서, 베드로후서, 유다서, 요한계시록을 첨가함으로써 정경에 대한 문제는 동방 역시 해결되었다. 그리하여 신약 정경은 모든 실제적인 목적에 맞추어 서방에서는 400년에, 동방에서는 500년에 이르러 그 결정을 보았다.
현재까지의 정경사
몇 가지 근소한 차이점을 제외하고서는 4세기 초 신약정경에 대한 결정은 현재까지 내려오는 교회의 결정으로 남아 있다. 종교개혁 당시 개혁자들은 소위 교회의 절대성이라는 권위에 항변하여 성경의 절대적 권위를 주장했다. 그러나 구약 정경에 대하여 로마교회는 1546년 「사크로산크타 교령」(Decree Sacrosancta)으로 트렌트공의회 중 14권의 외경서 중 11권을 정경으로 공포했다. 이것은 토비트, 유딧, 지혜서, 집회서, 바룩, 마카베오상.하, 세 아이의 노래, 수산나, 벨과 용이었는데 그 후 로마가톨릭교회는 에스델서를 추가했다.
신약의 본문
고대로부터 신약만큼 서방세계에 영향을 많이 주었던 문서는 없었다. 어떠한 고문서의 본문도 이렇게 잘 입증되지는 못했다. 거의 5천편의 헬라어 사본(필사본)이 있으며, 초기 번역문서의 사본만도 1만여편이 존재하며 이외에도 수천에 달하는 교부들의 인용문이 있다. 본문연구의 문제는 비교연구에 의하여 순수한 본문을 결정하기 위하여 이러한 사본들을 사용하는 것이다.
신약성경 자료 : 본문연구
파피루스 사본 1세기에 걸친 고고학적 연구의 결과로 현재 P 문자로 명명되어 P1, P2의 색인표가 붙은 신약본문의 파피루스 단편문서가 75편 이상 존재하고 있다. 이들의 연대는 2∼8세기에 걸쳐 있으며, 신약본문의 약 40%로 총괄 부수가 25권의 책을 이루고 있다. P52는 요한복음 18:31-34, 37, 38의 부분이며 연대는 가장 오래된 것으로 대략 135년의 것이다. P46, P46, P47은 체스터비티 파피루스 Ⅰ, Ⅱ, Ⅲ(200년경)에 들어 있다. P66은 200년경으로 추정되며 요한복음이 기록되어 있는 유명한 보드머 파피루스이다. P75는 새로 발견된 요한복음과 누가복음이 기록된 보드며 파피루스인데 200년경의 것이다.
언셜자체 사본 이것은 둥근 종 모양의 대문자로 양피지위에 기록되었으며 800년경까지 신약 필사본에 사용되었다. 현재 300여개의 언셜자체 사본이 남아 있다.
초서체 사본 소문자 필사본은 초서체로서 기록되었는데, 9∼18세기로 추정된다. 모두 합쳐 2,647편의 소문자 사본이 발견되었다.
역본 100년 전의 헬라어 본문에서 번역된 것들은 대단한 가치가 있다. 이 가운데서 고대 라틴어역(2세기), 히에로니무스의 불가타역(382-84년), 시리아역(4∼5세기), 콥트역(2∼4세기), 아르메니아역(5세기 초), 고대게오르기아역(5세기), 에디오피아역과 고트역(4세기 중기)은 매우 귀중한 것이다.
성구집 이것은 연중행사에 통독된 성경 교훈을 담고 있는 교회 예배서이다. 언셜자체와 초서체로 된 2천여 성구집이 남아 있다. 이들의 연대는 280-1600년경으로 추정된다.
패각과 부적 현재 신약 본문이 부분적으로 새겨져 있는 25개의 패각과 9개의 부적이 알려져 있다. 연대는 4∼13세기경이다.
교부들의 인용문 이 중에 8만 6천여편 이상이 알려져 있다.
가장 오래된 구약 사본
가장 오래된 마소라 히브리어 필사본 그 연대를 9세기 말 이전으로 추정한다. 이것은 예언서가 기록된 카이로 사본(895년), 구약 전문이 기록된 알렙포(Aleppo) 사본(925년경), 레닌그라드 사본(1108년에 완성됨)으로서 후자는 키텔의 《Bilblia Hebraica》의 본문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1947년에 발견된 2개의 이사야 필사본 사해 두루마리는 우리에게 BC 2∼1세기로 추정되는 구약문서들 중의 하나를 제외한 모든 단편문서와 함께 1천년이나 더 앞선 히브리어 본문을 보여 준다.
가장 오래된 신약 사본
시내 사본(a) 4세기, 신약이 148장으로 되어 있다. 이것은 1844년과 1859년에 시내산에 있는 성 캐더린수도원에서 티쉔도르프가 발견한 것이다. 역시 여기에는 헬라어로 기록된 구약 단편문서도 들어 있다.
알렉산드리아 사본(A) 5세기, 이것은 대부분의 구약과 신약 사본을 담고 있다. 1627년 영국 찰스 1세에게 콘스탄티노플의 총대주교가 기증한 것으로, 1757년에 대영박물관으로 이관되었다.
바티칸 사본(B) 4세기, 이것은 1481년 이래 로마의 바티칸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이 사본은 히브리서 9:14∼13:25, 목회서신, 빌레몬서, 요한계시록을 제외하고는 구약과 신약 전부를 수록하고 있다.
에브라임 사본(C) 5세기, 신약 238장 가운데 145장이 보존되어 있다.
베자 사본(D) 5세기, 신약에 관한 것은 남아 있는 것이 없다.
제1체스터 비티 파피루스(P45) 3세기 초, 이것은 복음서와 사도행전이 기록된 파피루스 본문 중 30장을 포함하고 있다.
제2체스터 비티 파피루스(P46) 3세기 초, 바울서신이 기록된 파피루스 사본 104장 가운데 86장이 보존되어 있다.
제3체스터 비티 파피루스(P47) 3세기 말, 32장의 파피루스 요한계시록 사본 가운데 10장이 남아 있다.
제2보드머 파피루스(P66) 3세기 초, 요한복음이 기록된 파피루스 사본 150장이 남아 있다.
제14, 15보드머 파피루스(P75) 3세기 초, 요한복음과 누가복음 본문 144장 전부가 발견되었다.
'━━ 영성을 위한 ━━ > 기독교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리스도인의 신앙과 자유. (0) | 2022.08.07 |
---|---|
성경의 형성사 및 번역사. (0) | 2022.08.06 |
성경의 형성사 및 번역사. (0) | 2022.08.04 |
성경(聖經, bible)의 의의(意義). (0) | 2022.08.03 |
신약 성경의 원전(原典). (0) | 2022.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