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성을 위한 ━━/Leadership

소그룹의 리더쉽

Joyfule 2021. 3. 3. 11:26


 

 

      소그룹의 리더쉽

 

소그룹이 성공적으로 성장하고 본래의 목적을 잘 수행하려면 리더의 역할은 가히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적절한 리더가 없을 때, 소그룹은 위태로운 처지에 빠지게 된다. 소그룹에서의 리더의 역할은 맴버를 위해 존제하지만 맴버를 어떻게 도와야 하는 문제는 어떤 지도자가 되야하는가 하는 문제이다. 따라서 소그룹을 인도하는데 적합한 리더쉽이 무엇인가하는 데에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사실 오늘날에 있어서 리더쉽이란 말은 긍정적으로 받아 들여지지 않는다. 리더쉽은 곧잘 사람들에게 피해 의식을 갖게 해 주고, 심지어 적의감을 갖게 하기까지 한다. 이것은 권위의 상징이 되어버린 리더쉽의 세속적 개념 때문인 것이다. 교회에서도 이러한 세속적 권위주의의 유산물로서 리더쉽이 존재함으로 리더쉽의 위기를 맞이 하고 있다. 교회가 갱신되어져야 하는 분야 중에 빠뜨릴 수 없는 것이 바로 이 리더쉽의 갱신이다.

그러므로 이 장에서는 세속적 리더쉽 개념을 살펴보고 그러한 리더쉽이 어떻게 크리스쳔 리더쉽에 적응될 수 있는가를 연구하여 소그룹에 적합한 리더쉽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1. 리더쉽 이론의 변천

리더쉽의 이론은 시대적 조류와 무관하지 않게 변천해 왔다. 리더쉼의 이론적 접근의 주창자는 플라톤이라 할 수 있는데 그에 따르면 리더쉽이란 지도하는 기능을 갖는다고 하였다. 이런 전제 하에 전통적인 리더쉽에 관한 연구는 세가지 특성을 가지고 주장되어져 왔다.

먼저 특질이론으로 지도자는 구성원과는 구별되는 신체적, 지적, 그리고 성격적 특성이 있다는 것이다. 지도자란 언제 , 어느 곳에서도 일관성있는 불변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으로 다분히 리더쉽을 선천적인 자질로 생각했다.

두번째 전통적이론의 흐름은 지위론이다. 즉 조직체 안에서의 높은 권위있는 지위가 지도력을 보장해 준다. 지도력은 사람보다는 그가 차지하고 있는 위치에 달려있다.

세번째 흐름은 지도자에 대한 유형론적인 연구이다. 즉 1930년 40년대에 레빈 리피드 그리고 화이트가 실험한 결과를 토대로 한 전제형, 민주형, 방임형의 세 리더쉽 유형이다.

이상과 같은 전통적인 흐름은 지도자에게 집중되어 있고, 지도자와 구성원의 관계라든지, 상황에 따른 리더쉽의 변화에 대한 연구는 미흡했다. 오늘날의 관심은 그룹의 역동성에 맞춘 연구가 활발하다.

지도자 중심을 벗어난 리더쉽의 연구는 먼저 휘들러의 상황 이론이다. 이 이론의 전제는 각기 다른 상황은 리더쉽에 있어서 다른 접근이 요구된다는 것이다. 이떤 상황이든 가장 효과적인 리더쉽을 발휘할 수 있으려면 다음과 같은 세가지의 요소가 필수적이다. 즉 , 지도자 지위에 원래 부여된 힘, 수행해야될 과제의 구조와 본질, 그리고 지도자와 구성원 간의 인간관계이다. 이 이론은 지도자에게 편중되었던 시각을 넓혀 주었다는 공헌은 있지만, 단순하고 문자적인 접근의 한계성을 보였다.

그 후 fellower 중심의 리더쉽 이론이 제기되었다. 이 이론은 지도자와 fellower가 상호관계하고 있는 중에 나타나는 관계의 질에 관심을 갖는다. 여기서는 지도자의 행위와 동기에 대한 구성원들의 이해와 공감이 이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리더쉽은 한 상황 안에서 공동의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서로 의존하는 영향력있는 사람들의 관계로 표현된다.

다음의 출현한 이론은 기능이론으로 리더쉽의 가치는 그룹의 목적과 목표달성에 기여하는데에 있다. 이 이론의 특징은 그룹의 목적과 목표에 기여한 사람이 지도자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지도자의 기능은 구성원들로 하여금 다양하게 조화된 행동을 통해 그룹의 기능을 완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이론에서의 리더쉽이란 지도자로 인정된 사랍과 부과되어진 목표 또는 회원 전원에 의해 선정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리더가 함께 일하는 사람들과의 관계라고 할 수 있다.

끝으로 지도력 욕구 이론은 리더쉽을 그룹의 목표에다 초점을 맞추고, 그 목표를 수행하도록 기능과 역할을 그룹에게 주려는 욕구에서 생겨난다고 보았다. 따라서 지도자는 그룹의 욕구를 가장 잘 파악하고 있으므로 그룹이 중요하게 여기는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다고 하겠다. 여기의 욕구는 지배, 복종, 그리고 지도자의 기술, 자질, 바램 등이다.

이러한 리더쉽의 개념들은 조직화된 집단에서 점차 어떻게 유기적인 관계를 유지할 것인가에 관심을 기울이는 것을 볼 수 있다. 리더쉽의 이론의 초창기에는 단지 리더쉽이 지도하는 개념으로 지도자에게 편중되어 있었지만 시대적인 조류가 점차 민주적인 체제를 갗추어 나감에 따라 구성원과의 협력이란 차원에서 리더쉽이 조정되고 발전하였음을 볼 수 있다.

이와같은 리더쉽 이론의 변천은 오늘날 교회에게 시사해 주는 것이 크다 하겠다. 아직도 교회의 일부 지도자들은 지도자에게 리더쉽이 편중되어 있는 전통적 지도력에 호감을 갖고 있다. 하지만 소그룹적인 교회의 운영을 위해서는 유기적인 리더쉽 이론에 귀를 기울여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