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헌입력 2022. 10. 20. 17:48수정 2022. 10. 20. 17:53
![](https://blog.kakaocdn.net/dn/kZMgd/btrO9PPCNT3/emSMW6xmSmloLRXHikkdpK/img.jpg)
윤석열 대통령은 20일 검찰의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최측근을 겨냥한 수사와 관련해 “제가 수사 내용을 챙길 정도로 한가하지 않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용산 대통령실 출근길 문답에서 “이런 수사에 대해서는 저 역시도 언론 보도나 보고 아는 정도”라며 이같이 밝혔다.
윤 대통령은 민주당이 주장하는 ‘야당 탄압’, ‘정치보복’, ‘기획사정’ 논란을 일축한 것이다.
윤 대통령은 그러면서 “야당 탄압이라는 얘기가 나오면, 지금의 야당이 여당이던 시절에 언론사를 상대로 며칠 동안이나 압수수색을 했다”며 “그런 것들을 생각을 하면 그런 얘기가 과연 정당한 것인지 국민들이 잘 아실 것”이라고 지적했다.
문재인정부 당시 이른바 ‘검언유착 의혹’ 수사에서 검찰이 취재경위 확인을 위해 종합편성채널 채널A 본사를 압수수색한 것을 언급한 것으로 해석된다.
검찰이 이 대표의 최측근 김용 민주연구원 부원장을 19일 전격 체포한 데 이어 민주연구원이 위치한 민주당 당사에 대해 압수수색을 시도하자 ‘야당 탄압’, ‘정치 보복’ 주장이 터져 나왔다.
대통령실은 ‘야당 탄압’ 프레임에 손사래를 쳤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특히 이 대표와 측근들을 겨냥한 검찰의 ‘대장동 개발사업 특혜 의혹’ 수사와 관련해 “문재인정부 검찰이 시작했던 수사”라며 “이를 두고 야당 탄압이라는 것은 얼토당토않은 얘기”라고 강변했다.
대장동 의혹은 지난해 9월 언론보도를 통해 수면 위로 본격 떠올랐다.
국민의힘은 집요하게 대장동 의혹을 물고 늘어졌다. 이 대표와 민주당 대선후보 자리를 놓고 치열한 싸움을 벌였던 이낙연 전 대표 측도 대장동 의혹을 추궁했다.
검찰은 대선 레이스가 한창이던 지난해 9월 23일 수사에 착수했다. 당시 서울중앙지검은 대장동 의혹과 관련한 고발 사건을 공공수사2부에 배당했다.
이 대표 측이, 대장동 의혹과 이 대표 간의 연관성을 주장했던 김기현 국민의힘 의원 등을 공직선거법 위반(허위 사실 유포) 등 혐의로 고발하면서 검찰 수사가 시작됐다.
검찰은 허위 사실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기 위해 대장동 사업 전반을 살펴보게 됐다.
그러나 이와 별개로, 대선 과정에서 대장동 의혹이 초대형 이슈로 확산되면서 검찰은 강제수사 체제로 전환했다.
검찰은 지난해 9월 말 서울중앙지검에 대장동 의혹 전담수사팀을 꾸렸다. 이후 같은 해 10∼11월 화천대유 대주주 김만배씨,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기획본부장 등 핵심 인사들을 재판에 넘겼다.
대통령실 다른 관계자는 “대장동 의혹은 이낙연 전 대표 측 등 민주당 내부에서도 공격했던 사안이고, 문재인정부 검찰이 수사력을 집중했던 사안인데, 이를 정치보복으로 연관시키는 것은 완전히 틀린 얘기“라고 주장했다.
대통령실은 검찰 수사와 거리를 두고 있다는 점도 강조했다.
대통령실 핵심 관계자는 “검찰 수사를 지켜보기만 할 뿐”이라며 “대통령실은 검찰 수사와 관련해 어떠한 정보도 없다”고 말했다.
이상헌 기자 kmpaper@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지성을 위한 ━━ > 세상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순덕 칼럼]민주당은 왜 이재명에게 더불어 볼모로 잡혔나 (0) | 2022.10.27 |
---|---|
북한 고위층은 꿈도 못꾸는 한국 사람들의 일상 생활! 가는곳마다 감동과 충격! (0) | 2022.10.25 |
[이기홍 칼럼] 진보의 수치 ‘문재명’ (0) | 2022.10.14 |
뻐꾸기는 왜 지금 우는가? (0) | 2022.10.09 |
[김순덕 칼럼]MBC 광우병 사태와 윤 대통령의 자유 (1) | 2022.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