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사의 여러 가지 종류와 정의.
2. 은사의 목적
성령의 은사를 주신 목적은 그리스도의 몸된 교회를 세우기 위함이다. 박형용,『교회와 성령』, 148쪽.
이는 성도 각자에게 한 가지 이상씩 은사를 주셨다는 사실이 이미 증거하고 있다. 성령의 은사들이 집중적으로 언급된 바울 서신들은 신약의 다른 어떤 책보다 교회를 위해서 기록된 서신들이다. 에베소서는 그리스도의 교회가 어떤 교회인지를 설명하는 서신으로 은사를 주신 목적은 “성도를 온전케 하며 봉사의 일을 하게하며 그리스도의 몸을 세우려 하심이라”(엡 4:12) 고 말씀하신다. 이는 성령의 은사와 그리스도의 몸을 세우는 일을 연결시킨 것이다. 그리스도의 몸은 “그리스도의 장성한 분량이 충만”(엡 4:13)하게 될 때까지 세워져야 한다. 이처럼 그리스도의 몸을 세우기 위해서 성령의 은사들을 필요에 따라 주신 것이다.
로마서(12:4-8)에서 은사들이 집중적으로 언급된 구절들은 성도들의 활동과 삶을 설명하는 부분중 몸과 지체의 관계를 설명하는 부분이다. “우리가 한 몸에 많은 지체를 가졌으나 모든 지체가 같은 직분을 가진 것이 아니니 이와 같이 우리 많은 사람이 그리스도 안에서 한몸이 되어 지체가 되었느니라”(롬12:4-5). 성령께서 성도들에게 서로 다른 은사를 주신 것은 다른 직분을 바로 실행함으로 하나의 몸을 이루어 나가기 위해서이다.
고린도 전서는 은사 및 다른 문제들로 혼란에 빠진 고린도 교회를 바로 지도하기 위해 쓴 서신으로 은사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언급되어 있다. 바울은 고린도 교회에 보낸 편지에서 “각 사람에게 성령의 나타남을 주심은 유익하게 하려 하심이라... 너희도 신령한 것을 사모하는 자인즉 교회의 덕을 세우기 위하여 풍성을 구하라”(고전 12:7, 14:12)고 하였다. 이 사실은 각 지체에게 주신 성령의 은사가 그리스도의 몸을 세우기 위해 주어졌음을 지적하고 있는 것이다. 고전 12:12-26절은 그리스도의 몸을 세우기 위해서 각 지체들이 어떻게 해야 할 것을 설명하고 있다. 몸의 각 지체들은 유기적으로 협력하여 몸의 활동을 원활하게 해야 한다. 각 지체들은 자기 자신뿐만 아니라 다른 지체를 위해 존재하며 다른 지체를 경쟁관계로 생각하지 않는다. 각 지체 간에 시기와 분쟁이 있을수 없고 서로 협력하여 몸의 활동을 도와야 한다. 그런데 여기서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은 바울이 신자됨의 믿음을 먼저 말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내가... 주시라 할 수 없느니라”(고전12:3). 영으로 말하고 성령으로 거듭나는 구원은 성도에게 있어서 누구에게나 필수적이요 종말론적이다. 또한 유대인이나 헬라인이나 종이나 자유자나 다 한 성령으로 한몸이 되었다는 것이다(고전12:13) 성령의 은사와 활용에 앞서 성령과의 인격적 관계를 먼저 언급함으로써 은사의 목적을 좀더 분명히 하고 있는 것이다. 성령의 은사는 보편적이다.
3. 성경에 나타난 은사
a.신약성경에 나타난 은사
사도바울에 의하여 거의 전문적으로 사용되어 온 이 은사는 죄인을 용서하사 하나님께서 선물로 주시는 영생을 지칭한 말이다. 롬 6:23
이 말은 은혜와는 불가 분리의 관계에 있고 이 은혜는 성령의 역사와 상관 관계를 가지고 있다. Gehard Kittel,(ed),trans,Geoffery W.Bromiley,『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Vol.Ⅸ(Grand Papids Eerdmans,1974), p. 403.
신약은 성령의 은사에 관한 포괄적인 목록을 구체적으로 나누고 있다. 성령의 은사라는 개념이 신약에는 하나님의 구체적인 실현으로 나타나 있다. 사실 은사는 그 직무가 평범한 것이든 특별한 것이든 간에 그리스도의 몸을 세우기 위하여 나타나는 직무의 일종이다. 바울이 은사를 하나님의 선물이란 의미로 사용할때는 이 의미는 하나님의 심판과 유죄 판결에 대치되는 개념으로 사용했으며 이같은 주장이 로마서에 자주 나타난다. William Barklay,『New Testament Words』,(London : S.C.M, 1971),pp.62-63.
사람이 하나님에 의하여 본래적으로 타고난 재주를 은사라고 고린도전서 7:7을 들어 말한 윌리암 바클레이의 주장 William Barklay,『New Testament Words』, p 63. 에 대하여 윌리암 매크래는 재능 역시 하나님에 의해 주어졌지만 하나님의 영광을 위하여 사용되어지는가의 여부에 있어서 재능은 하나님의 은사가 아니라고 주장한다. William. McRae, 『교회에서의 은사활용』, 19쪽.
즉 성령을 모르는 불신자들에게도 좋은 재주는 얼마든지 있기 때문이다. 성령의 은사는 하나님의 교회의 구성원들이 하나님의 교회를 봉사함에 있어서 직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하나님의 교회에 중생한 자들에게 선물로 주시는 것이다.
바울은 고린도 전서 12장에서 성령의 은사에 대하여 논술할 때에 하나님의 은혜에 근거한 선물로서 교회 봉사에 필수 불가결한 요인이며 이 은사는 사람에게 의해서는 결코 베풀어질수 없고, 예수의 신령한 몸인 교회를 위한 선물이므로 예수께로부터 받을수 있다고 주장한다. 또한 바울은 하나님 교회의 구조적인 조직을 인체 조직에 비교하며 은사의 다양성과 그리고 사역의 다양성을 진술했다. 롬 12:4, 고전 12:12-27
은사가 각각 다른 것은 몸의 각 부분이 다른 것처럼 믿음의 공동체 전부를 유익하게 하기 위함이다. 왜냐하면 성도는 한 성령, 한 주님을 모시고 있으며 세례도 하나이기 때문이다.(고전12:4-13) Mack B. stockes,『성령과 크리스챤의 체험』,박선균옮김(서울:성광문화사,1984),58쪽.
신약에서 은사에 관하여는 로마서 12장, 고린도전서12장, 에베소서4장에서 언급하고 있는데 이 은사들이 잘못 사용되게 되면 교회는 큰 혼란에 빠질 위험에 따르게 된다. 성령에 의해서 성도들에게 필요에 따라 주어지는 은사는 하나님의 교회의 구성원들에게 다양하게 주어지지만 모든 은사는 교회에 덕을 세우는 일에 대하여 통일성을 지녀야 된다고 본다.
b. 구약성경에 나타난 은사
구약에서 은사라고 부를 수 있는 표현들은 “여호와의 영의 강림”이나 “현존”과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성서대백과사전 제4권,(서울: 기독지혜사,1977), 98 쪽.
. 구약성경에서는 선지자들을 통하여 길게 혹은 짧게 예언의 은사, 기적의 은사, 재능의 은사, 지혜의 은사를 주어 일하게 하셨음을 알 수 있다.
'━━ 영성을 위한 ━━ > 기독교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런 교회는 교회 아니다 (0) | 2022.05.02 |
---|---|
은사의 여러 가지 종류와 정의. (0) | 2022.04.30 |
은사의 여러 가지 종류와 정의. (0) | 2022.04.28 |
은사의 여러 가지 종류와 정의 (0) | 2022.04.27 |
청교도와 복음 1 (0) | 2022.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