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성을 위한 ━━/Leadership

80 대 20의 법칙

Joyfule 2018. 5. 18. 09:26
 

  

      80 대 20의 법칙

 

 

1. 백화점:

백화점 매출의 80%는 20%의 우량고객에서 나온다.

이를 아는 백화점은 전체 고객을 위한 서비스보다는 20%의 고객을 위한 특별 관리에 힘쓴다.

 

2. 기숙사:

기숙사의 100명 학생이 1주일에 평균 100병의 맥주를 마신다면, 20명의 학생이 80병의 맥주를 마신다.

기숙사 앞 가계집 아저씨는 전체 100명의 학생들 모두보다는 20명의 학생들과 친분을 유지한다.

 

3. 리처드 코치(최근 국내에 소개된 ‘80/20 법칙’ 저자):

옥스퍼드 출신인 그는 학교시험의 80%는 전체 시험범위의 20%에서 출제되는 사실을 알았다.

그는 20%를 찾아 집중하여 적은 노력으로 더 좋은 성적을 올릴 수 있었다.

 

원인과 결과, 투입량과 산출량, 노력과 성과 사이에는 불균형이 있으며

이 불균형의 관계를 수치적으로 나타낸 것이 80/20법칙이다.

원인의 20%가 결과의 80%을 만든다는 것이다.

 

80대 20의 법칙은 사람들에게 잘 알려져 있다.

80대 20의 법칙은 100년 전 이탈리아의 경제학자 파레토에 의해 알려졌다.

80대 20의 법칙은 몰라도 사람들은 체험적으로 원인과 결과에 대한 관계가 불균형을 이룬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

그러나, 80대 20의 법칙이 얼마나 큰 행운을 자신에게 줄 것인지에 대하여 생각하는 사람은 많지 않은 것 같다.

나는 개인적으로 80대 20의 법칙을 가장 좋아한다.

 

얼마 전 다음과 같은 신문기사가 있었다.

<통계청이 발표한 ‘2001년 혼인·이혼통계 결과’에 따르면 1년간 전국에서 32만쌍(하루 평균 877쌍)이 결혼했고,

13만 5천쌍(하루 평균 370쌍)이 이혼했다. 결혼한 부부 3쌍 중 1쌍이 이혼하고 있다.>

 

이 통계 결과만 보면 기혼 남녀 3쌍 중, 1쌍 이상이 이혼을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당신의 친구들이나, 당신 주위의 사람들을 보라.

당신 친구들 3쌍 중 1쌍이 정말로 이혼을 하는가?

나의 경우는 그렇지 않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통계와 다르게 느낄 것이다.

 

그럼, 통계가 틀린 것일까?

잘못된 것은 통계가 아니라 통계의 해석이다.

80대 20의 법칙은 <전체 이혼자의 20%가 전체 이혼의 80%을 한다.>고 말하고 있다.

다시 말해서, 한번 이혼한 사람이 2번, 3번의 이혼을 반복하는 것이다.

그래서 통계에서 나타나는 이혼율과 일반인들이 느끼는 이혼율이 다른 것이다.

 

범죄도 마찬가지다.

전체 범죄의 80%가 전체 범죄자들의 20%에 의해 저질러지고 있다.

뉴스에서 보는 전과 8범, 전과 9범과 같은 사람들이 전체적인 범죄율의 증가를 만드는 것이다.

 

80대 20의 법칙은 자연법칙과 같이 거의 모든 현상에 적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

그리고, 내가 80대 20의 법칙을 좋아하는 가장 큰 이유는, "80/20의 법칙"이 바로 행운의 법칙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일반적으로 <심은대로 거둔다>고만 생각한다.

50의 노력을 하면, 50의 결과가 나온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열심히 일할 것만을 강조한다.

그러나, 그러한 <선형적인 생각>은 실제와 다르다. 

실제로는 20% 원인이 80%의 결과를 초래한다.

 

이 법칙은 일이나 경제뿐 아니라, 인간사 모든 곳에서 적용되는 법칙이다.

80대 20의 법칙은 IBM을 세계적 기업으로 성공하게 만들었다.

IBM의 예를 보면, 1963년 IBM은 컴퓨터 총 사용시간의 80%가

전 운영 코드 가운데 20% 실행에 쓰인다는 점을 발견하여

사용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20%의 운영코드를 쉽고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운영 소프트 웨어를 개발하여 대성공을 거두었다.

그 성공은 IBM을 업계의 선두 주자로 만들었고,

애플, 로터스, MS사 등이 이 법칙을 따르게 했다.

 

당신의 삶에도 이 법칙은 숨어있다.

당신이 행한 노력들 중 20%가 결과의 80%을 만들고 있다.

오늘도 당신이 노력한 20%가 당신이 얻은 결과의 80%을 만들었을 것이다.

효과적인 20%의 요소를 찾아 개발하고 80%에 해당하는 쓸모없는 대다수는 줄여나가는

지혜를 얻는다면 이 법칙이야말로 진보의 희망적 도구가 될 것이다.

당신은 20%을 찾아 집중해야 한다.

 

이렇게 해보자.

평균 수준을 높이기보다는 집중적으로 노력해야 할 곳을 찾아서 그 곳에 더 많은 노력을 집중해 보자.

무조건 열심히 하기보다는 집중해야 할 핵심을 찾아보자.

모든 기회를 다 추구하기보다는, 80%의 결과를 이끌어 낼 가치있는 20%을 찾아 그곳에 집중하자.

행운이란 이렇게 만들어지는 것이다.

 

출처 : SERI 블로그니티 강신장의 가치 창조 이야기
http://korea.internet.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