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십의 단계
1. 리더십의 단계
초보적인 리더십은 지위와 권한에 부속된다. 하지만 고레벨의 리더십은 의식적인 노력으로 서서히 만들어 나가는 것이다. 그리고 만들어 나가는 리더십이야말로 우리가 도전해야 할 진정한 리더십이다. 처음에는 관계, 그 다음엔 성과, 그 다음엔 사람이다.
2. 단계 4의 리더십 : People Reproduction
1)의의
생명체의 가장 큰 특징은 생명을 유지하는 것과 성장하고 재생산하는 것이다. 조직의 특징도 이와 같다. 즉 모든 조직은 성장하고 있지 않다면 죽어가고 있는 것이다. 단계 4의 리더십은 조직이 살아있는 생명체와 같이 성장하고 번성하면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리더십을 말한다. 그래서 리더가 더이상 조직의 일원이 아니어도 조직이 변함 없이 기능할 수 있어야만 한다.
2)중요 가치들
단계 4에서는 조직에 대한 자발적인 충성, 리더에 대한 신뢰, 인간중심적인 리더십, 조직의 지속가능성 같은 가치가 중요하다. 물론 건강한 인간관계, 전문 분야에서의 흠 없는 성과와 같은 하위 레벨 리더십의 가치들도 계속 포함된다. 즉 상위 레벨 리더십은 하위 레벨 리더십에 기초한 것이다.
3)사례들
교회 대학부 내에서 특정한 이슈를 다루는 소그룹을 창설하고 나서 그 그룹을 처음 만든 리더가 대학부를 떠나고 나서도 남아있는 리더들이 훈련을 잘 받아 그 그룹의 특정 이슈를 계속 연구하면서 성장시켜 나갈 수 있었다.
유명한 일본드라마인 '노다메 칸타빌레'에는 재능있는 지휘자 치아키가 나온다. 만약 그가 오케스트라를 훌륭하게 지도할 수 있는 사람이라면 그를 3단계 리더라 볼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런 치아키를 지휘자로 훌륭히 키워낸 그의 스승은 한 단계 높은 4단계 리더의 특징을 가진 셈이다.
그 외에도 유명한 CEO인 잭 웰치, 박성수, 박현주, 징기스칸 등은 모두 자기 자신을 닮은 유능한 인재를 발굴하여 특별히 훈련시키고 관리하여 조직의 일부를 책임지는 리더로 세웠다는 공통점이 있다. 즉 이들은 모두 리더를 키워내는 리더들이다. 그것이 조직이 거대해지면서도 여전히 활력있게 유지될 수 있는 비결이었다.
4)4단계 리더십에 이르는 비결
리더는 조직의 성과를 지속시키는 것은 물론 그 일을 수행할 다른 리더들을 세우고 그들에게 중요한 과업을 임파워먼트한다. 직접 중요한 과업을 성취하는 가운데 자기 밑에 있는 리더들이 성장할 수 있도록 기회를 주는 것이다. 이는 집중적, 선별적 리더 양성전략이다. 또한 리더가 다른 리더들을 움직이는 방법은 협박, 회유, 거래와 같은 낮은 수준의 권력 행사 방식이 아닌 설득, 공감, 존경과 같은 보다 수준 높은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런 리더의 힘은 권력이라기보다 권위라 볼 수 있지 않을까?
3. 리더십의 단계적 발전 원리
이전 단계를 거쳐 4단계의 리더십에 이르기 위해서는 조직의 리더십에도 상당한 기간의 숙성이 필요하다. 결코 단기간에 혹은 이전 단계를 건너뛰고 고레벨의 리더십에 이를 수는 없다. 예를 들어 리더 A의 영향력은 구성원 B,C,D,E에게 서로 다른 수준으로 존재할 수 있다. 비교적 오랜 기간을 동고동락하며 여러 과업을 함께 수행하였던 B의 경우 A가 성장시키고 있는 차기 리더다. 그러나 갓 입사한 E는 아직 직위에서 오는 리더십에만 영향받고 있다. C의 경우는 입사 1년 밖에 되지 않았지만 리더 A의 탁월한 성과능력을 여러 번 경험하면서 A에게 성과에 기반한 영향력을 많이 받고 있다. 이처럼 한 조직 내에서도 리더의 영향력은 서로 다른 수준에게 각각의 구성원들에게 미칠 수 있다.
4. 실력 성장의 단계
할 수 있다 할 수 없다
안다 노력해서 성장한다. 가만히 있는다.
모른다 저절로 행한다. 모르면서 시도한다.
모르면서 시도하는 것은 가장 위험하다. 무식하면 용감한 법이지만 그 결과는 대부분 참담한 실패이다.
실패로부터 자신의 능력의 한계를 배운 사람은 적어도 신중함을 배우며 섣불리 움직이지 않아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열심히 능력을 연마하고 도전을 반복한다면 실패와 성공의 반복을 통해 역량 자체가 성장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고수는 시행착오가 갈수록 줄어들면서 보다 자연스럽게 탁월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1, 2단계 리더십의 복습
1단계 리더십의 예 : 예비군 조교. 지위에 근거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 영향력의 지속성이 상대적으로 부족하지만, 위기 상황에서 공식 규정에 의한 문제 해결이 필요한 경우 도움이 된다.
2단계 리더십의 예 : 굿 윌헌팅에서 선생님. 다른 사람의 감정을 존중하고 공감하는 능력이 뛰어나고 상처를 치유하도록 돕는다. 건강한 가치관을 가지고 있고 거기에 일관된 방식으로 행동한다. (Integrity) 긍정적인 태도를 유지하고 다른 사람들과 인간관계를 맺는다.
'━━ 지성을 위한 ━━ > Leadersh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계를 통한 리더십(Relational Leadership) - 월터 C. 라이트 Jr. (0) | 2018.11.10 |
---|---|
원칙중심의 리더들의 8가지 특징 (0) | 2018.11.09 |
리더십의 진정한 척도는 영향력이다 (0) | 2018.11.06 |
교회지도자에게 요구되는 성격, 덕목, 자질 - 김상복 (0) | 2018.11.05 |
교회지도자에게 요구되는 성격, 덕목, 자질 - 김상복 (0) | 2018.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