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탄절 - 2. 유래
물론 성탄절의 원초적 기원은 당연히 우리 주님이 태어나신 바로
그날을 기념하는 예식에서 비롯되었다.
그러나 교회가 이를 공식 절기로 지키게 된 것은 354년
로마 교회의 리베리우스 교항에 의해 12월 25일 성탄절이
공식적인 교회 절기로 교회력에 제정된 것이 그 시초라 하겠다.
물론 그 전부터 교회들은 성탄절을 기념해 왔다.
성탄절이 교회의 절기로 지켜졌다는 최초의 기록은 필로칼루스력에 나타난다.
필로칼루스력의 336년 복사본을 보면 이 당시 로마에는 이미
성탄절과 관련된 풍습이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동로마 교회의 수도인 콘스탄티노플에서도 현현절(Eppophany)인
1월 6일을 그리스도의 육적 생일뿐 아니라
영적 생일로 생각하여 강탄일로 지켜오다가,
379년 동,서로마 교회의 축제일 통일 작업으로 비로소
그날을 12월 15일로 변경하여 지키게 되었다.(1. 시기 참조)
그런데 12월 25일은 절기상 동지(冬至)와 가까운 날로서 로마에서는
농신제(Satunalia, 농사의 신을 경배하는 축제로, 서로 방문도 하고
가면을 쓴 채 길거리에서 술 잔치도 벌였음)가 열렸으며
영국, 프랑스, 독일 등에서도 낮이 길어짐을 기념하여
민속 절기 행사가 행해지는 때였다.
따라서 이들 민속적 세속 문화와 교회의 기독교 문화의 혼합은 불가피한 것이었다.
초기에 교회는 세속 문화의 교회 유입을 막아 보려고 노력하였으나
현실적으로 뿌리 깊은 세속 문화의 영향을 완전히 차단할 수는 없었다.
그래서 교회는 이들 문화를 흡수하되 나쁜 점은 버리고
좋은 점은 살려 점차 기독교화시켜 나가게 되었다.
그 결과 우리는 오늘날과 같은 형태,
즉 이제는 기독교화된 성탄절을 지키게 된 것이다.
한편 성탄절이 프랑스에서는 노엘, 독일에서는 봐이나흐프라고도 불리는 것은
과거로부터 내려온 민속 절기의 영향으로 이들 나라의 민속 절기의 명칭이
그대로 성탄절을 의미하게 되었기 때문에 생겨난 결과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선교사들이 들어온 1885년 이후부터 성탄절이 지켜지게 되었다.
우리 나라의 성탄절은 여러 나라에서 파견된 선교사의 영향으로
미국과 유럽의 풍습을 혼합한 형태를 띠고 있으며
각 교회마다 예수님의 탄생을 기념하는 풍성한 행사로
주님의 오심을 경축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