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안명준박사
알라 개념에 나타난 여러 문제점
여기에서는 앞서 살펴본 알라 개념의 형성에 대한 이해와 알라에 대한 속성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얻은 결과를 가지고 또 마호메트의 삶의 체험 또 가브리엘에 의하여 주어진 계시인 쿠란을 중심으로 비교종교학인 방법과 전승사와 전통사 방법을 가지고 알라에 대한 여러 문제점을 고찰하려고 한다.
1. 알라는 인간에게 가까이 있으며 언제든지 인간의 어려움과 고통 가운데서 그는 그를 부르면 응답하시고, 인간을 인도하시고, 바른 길로 인도한다고 한다. 바로 이런 알라의 개념은 아라비아의 사막 문화 개념과 불안한 심리적인 상황이 알라 개념에 크게 영향을 미친 것이다. 예를 들어 절대 복종 요구하는 알라에 대한 개념은 아랍인들의 삶의 양식에서 나타난 결과이다. 과거 베두인 아랍인들은 탄생과 생존(사막에서 불완전한 삶의 조건 때문에) 그리고 죽음을 불가피하게 결정짓는 맹목적 운명을 믿었다. 이런 강력한 무감각한 운명을 쿠란은 강력하고 자신들의 삶의 섭리하시는 자비로운 알라로 대치 시켰다.
이런 변화의 과정에서 유대교와 기독교의 하나님의 개념에서 영향을 받아 수정되었다. 당시 초자연적 힘을 의지하지는 사람들은 거의 없었다. 어떤 사람들은 알라는 최고의 신으로 인정하고 있었다. 상인들은 대부분의 일이란 부와 인간의 계획에 의해서 완성된다고 생각하였다.
모하메트에게 계시된 초기 쿠란의 내용들은 메카인들의 특징과 번영에서 보여진 것처럼 알라의 선하심과 능력을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시대적인 상황과 계시가 상관적인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알라는 카바의 주로서 감사하고 예배하도록 요구되었다. 여기서 감사란 자신의 부에 대하여 관용하는 것이며 인색함을 피하는 것이다. 상벌은 심판날에 자신의 행위에 따라 알라 앞에서 천국과 지옥으로 결정된다. 이것은 바로 계시에 나타난 종말론이 모하메트의 궁핍한 체험에서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2. 주물숭배(fetishism)를 통한 이슬람교는 진화의 과정에 있다. 검은 돌의 신이 알라가 되었다. 이슬람은 미신적 종교에서 부족적 종교로 발전하고 다시 다신교를 개혁한 마호메트에 의해 종교의 진화를 점진적으로 발전하는데 바로 유대교와 기독교의 충돌 속에서 이슬람의 교리적 발전을 가져오게 된다. 대표적인 개념이 바로 이슬람교의 핵심 사상인 신으로서 알라에 대한 진화이다. 특히 검은 돌을 주물숭배로써 알라를 극대화 했다.
카바에 대한 종교적인 의미의 부여를 당시의 다신론에서 유일신 알라에게로 정착하게 되었다. 바로 카바의 검은 돌에 오직 알라만이 존재(산다)한다고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였다. 카바의 검은 돌은 운석으로 주장하기를 아브라함이 카바에 두었다고 주장한다. 이것은 자신들의 종교를 유대교의 뿌리에 접목하려는 의도에서 접촉점의 도구로서 사용하는 신흥 종교의 탄생의 기초석이다. 지금 카바는 순례의 핵심적 대상이 되었다. 순례자들은 이 검은 돌에 입을 맞춘다. 이런 행위는 이슬람 이전에 카바에 대한 숭배에서 잘 나타난다.
결국 알라는 석신으로(the god of stone) 동일화되는 것을 본다. 결국 검은 돌이 있는 카바에 대한 숭배는 마호메트가 싫어했던 우상숭배에 대한 모순을 들어낸다. 과거 메카인들이 주물숭배(fetishism)를 했던 것을 단절하지 못하고 카바에 있는 검은 돌에 우상적인 경배는 바로 이런 모순을 보여주는 것이다.
3. 메카의 계시는 윤리적이며 영적 가르침(ethical and spiritual teachngs)과 심판의 날에 관한 것이었다. 그러나 메디나에서 계시된 수라(surahs)는 공동체를 구성하고 지시하기 위한 사회적 제정과 정치적 도덕적 윤리적 원리들과 관계가 있다. 다분히 종교가 수직적인 관계에서 수평적인 면으로 이동한 것이다. 강조점으로 볼 때 이슬람의 세속화가 시작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슬람 이전의 아라비아인들에게 사용되었던 수나(sunnah, a clear and well-trodden path)는 그들 부족이나 상식적인 법(tribal or common law)을 의도했으나 이슬람에서는 마호메트의 말들과 행동들을 의미하게 되었다.
피터 버거(Peter Berger)의 의하면 새로운 종교의 발흥하는 과정에서 초기 단계에서 전통적인 상징들의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는 시도들이 일어난다고 밝히고 있다. 이슬람의 부흥은 바로 수나에서 모하메트의 가르침으로 강력하게 바뀐 점을 볼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연구해 볼만한 것은 당시의 부족들의 수나는 어떤 것이 있었으며 과연 수나와 어떤 연속성이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어떤 전승사가 있는지 연구해 볼 가치가 있다.
'━━ 지성을 위한 ━━ > 이슬람에대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라의 유일신 개념의 태동과 알라 개념에 나타난 문제점 (0) | 2016.10.19 |
---|---|
알라의 유일신 개념의 태동과 알라 개념에 나타난 문제점 (0) | 2016.10.18 |
알라의 유일신 개념의 태동과 알라 개념에 나타난 문제점 (0) | 2016.10.15 |
알라의 유일신 개념의 태동과 알라 개념에 나타난 문제점 (0) | 2016.10.14 |
알라의 유일신 개념의 태동과 알라 개념에 나타난 문제점 (0) | 2016.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