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성을 위한 ━━/이슬람에대해

예멘 내전, 더 이상 남의 일이 아니다

Joyfule 2018. 7. 23. 21:55


예멘 내전, 더 이상 남의 일이 아니다

  • 고성혁 미래한국 객원기자
  • 승인 2018.07.10 13:25
‘평화의 섬’을 표방하는 제주도는 무비자 입국 지역이다. 외국인 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해서다. 2001년 제정된 ‘제주특별자치도 설치 및 국제자유도시 조성을 위한 특별법’에 근거하고 있다. 중국 관광객 유치에는 성공했지만 국제 에티켓을 모르는 중국 관광객으로 인해 문제가 야기되기도 했다. 그런데 이번에는 예멘 난민이 이슈로 떠올랐다.

예멘은 3년째 내전 중이다. 내전을 피해 말레이시아를 거쳐 549명의 ‘예멘 난민’이 제주도에 들어왔다. 현재 제주도에 체류 중인 예멘 난민은 486명이다. 이들은 제주도를 벗어날 수 없다. 원희룡 제주지사는 제주도에 체류돼 있는 예멘 난민들의 출도 제한을 해제해 줄 것을 청와대와 정부에 건의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인터넷상에서는 난민신청 허가를 반대하는 목소리가 크다. 청와대 게시판에도 ‘난민신청허가 폐지.개헌 청원합니다’란 청원이 올라왔다. 21일 오전 9시 현재 무려 32만여 명이 난민신청허가 폐지에 동참했다.

남북 예멘의 분단 과정

여론 형성력이 큰 중고자동차 커뮤니티 ‘보배드림’에도 비슷한 게시물이 게시되어 ‘베스트’에 올랐다.
30일 광화문에서 ‘예멘 난민 수용반대 집회 개최’를 알리는 글에는 참가 댓글이 900개가 넘게 달리기도 했다. 이제 예맨 내전은 남의 일이 아니라 우리의 일이 되었다.

예멘의 분단은 1911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오스만투르크 지배 하에 있던 아라비아에 영국이 진출하면서부터다. 영국은 인도양 해상권의 요충지인 남부 예멘 아덴을 장악했다. 1차 세계대전에서 오스만투르크 제국이 패하면서 그 지배하에 있던 북예멘은 토호 세력이었던 이맘 왕정국가 세력권으로 편입되었다. 1962년 이집트 나세르의 아랍민족주의 혁명에 영향을 받은 군부 쿠데타로 이맘 왕정국가 북예멘은 ‘예멘 아랍공화국’으로 재탄생했다.
이집트는 군사적으로 북예멘을 적극 지원했다. 왕정국가인 사우디는 북예멘과 대립각을 세웠다. 혁명(쿠데타)이 왕정인 사우디로 전파되는 것을 우려했기 때문이다.

한편 남예멘은 2차 세계대전 후에도 영국의 지배하에 있었다. 소련 공산주의 영향을 받은 급진적인 인민사회주의당(People’s Socialist Party)과 아덴 노동조합의회(Aden Trades Union Congress) 등은 영국의 식민통치에 반발하여 치열한 도시 게릴라전을 펼쳐나갔다. 결국 영국은 남예멘을 포기했다. 1967년 2월 남예멘 아덴을 중심으로 공산주의에 기반을 둔 ‘예멘 인민민주공화국’이 수립되었다.

지도상에서 보면 남예멘과 북예멘은 동서로 나뉘어 있다. 그런데 남북 예멘으로 불리는 것은 양측의 수도위치 때문이다. 북예멘은 북부 사나를 중심으로, 남예멘은 남부 아덴을 중심으로 세력 기반을 형성했다. 예멘의 분단에는 이념적 문제와는 별도로 지역적, 종교적, 정치적 갈등이 복합적으로 얽혀 있었다. 최근에는 알 카에다까지 가담하면서 혼돈(chaos) 그 자체가 되었다.

이질적 체제, 준비되지 않은 남북연방의 비극

남·북 예멘간의 통일과정이 본격으로 구체화되기 시작한 것은 1988년에 북예멘 대통령 살레와 남예멘의 사회당 사무총장 바이드(Bidh) 간의 두 차례에 걸친 정상회담이 출발점이었다. 남북 예멘의 통일은 동서독 통일보다 앞선 1990년 5월 22일에 선포되었다. 독일 통일이 서독의 실질적인 흡수통일이었다면 예멘의 통일은 양측 지도자간의 통일원칙 합의에 불과했다.


결국 예멘의 통일은 오래가지 못했다. ‘통일 합의’라는 방법 자체가 문제였다. 통일에 대한 공감대만 있었을 뿐, 구체적인 통일 방안이 없었다. 양측 지도자간의 밀실 야합으로 통일에 합의하고 발표한 것이 문제였다. 그들은 통일 후 남북 총선거를 실시하면 자연스레 통합이 이뤄지리라 낙관했다. 그러나 현실은 달랐다. 가장 큰 문제는 서로 적대적이었던 남북의 양측 군대가 통합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되었다는 점이다. 한마디로 언제 터질지 모르는 시한폭탄을 그대로 안고 있었다. 여기에 더해서 남북간 경제력과 군사력의 차이도 발목을 잡았다. 북예멘보다 경제력과 군사력에서 열세였던 사회주의 체제였던 남예멘의 불만은 커져갔다.

결국 1994년에 접어들면서 갈등이 표면화되었다. 같은 해 4월 27일 수도 사나 북쪽 60㎞의 지방소도시 암란(Amran)에서 남북군 간에 대규모 무력 충돌이 발생했다. 북예멘의 제1기갑여단과 남예멘의 제3기갑여단이 정면으로 맞붙었다. 북예멘은 병력 3만 7000명에 660여 대의 전차를 보유했고 남예멘은 2만 7000명과 480여 대의 전차를 보유했다.

수치상으로는 북예멘이 근소하게 우세했다. 그러나 군대의 질과 사기는 현격한 차이가 있었다. 무슬림들은 ‘지하드(성전)’이라며 북예멘을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공산사회주의를 믿는 남예멘의 응징에 나섰다. 무력 충돌은 1994년 4월 27일부터 7월 27일까지 약 석 달간 이어졌다. 양측 간 무력 충돌은 북예멘의 승리로 끝났다.

합의에 의한 서류상 통일은 결과적으로는 북예멘의 무력통일로 종지부를 찍었다. 승리한 북예멘의 살레 대통령은 정적(政敵)인 남예멘의 사회주의 정당과 정치인들을 일거에 제거했다. 살레 대통령은 2012년 축출될 때까지 장기독재를 했다.

예멘 살레 대통령은 통일을 이뤘지만 예멘에는 또 다른 세력이 자라나고 있었다. 후티반군세력이다. 후티(Houthi)는 1994년 남북 예멘군 사이의 내전 당시, 예멘의 시아파 지도자였던 후세인 바르레딘 알 후티(Hussein Badreddin al-Houthi, 1956~2004)가 만든 단체다. 사우디의 지원을 받는 수니파가 남예멘의 분리운동을 지원하자 시아파인 알 후티는 위기를 느꼈다. 같은 이슬람이지만 수니파와 시아파는 극과 극이다. 결국 2004년 6월 알 후티가 수니파 예멘 정부에 대해 무장투쟁을 선언했다. 알 후티는 쿠데타를 일으켰지만 같은 해 9월 예멘 정부군에 의해 사살되었다. 이로써 정치적 대립에서 종교 분쟁으로까지 확대되었다.

2010년 튀니지에서 일어난 이슬람 민주화운동인 ‘자스민 혁명’은 2011년 예멘에도 불어 닥쳤다. 민주화 시위로 독재자 살레는 축출되었다. 그러나 축출된 살레는 시아파 후티반군세력과 손을 잡고 수니파인 예멘의 만수르 하디 대통령에 대항했다. 이로써 후티반군세력은 예멘 내전의 전면에 등장하게 되었다.
세력이 커진 시아파 후티반군세력은 2014년 9월 (북)예멘의 수도 사나를 완전 장악했다. 만수르 하디 예멘 대통령에게 권력 분점을 요구하면서 하디 대통령을 사저에 감금했다. 사실상 쿠데타를 일으킨 것이다. 그러자 수니파 종주국인 사우디가 나섰다. 예멘 정부군을 지원하면서 예멘 내전은 시아파 후티반군과 수니파 사우디의 분쟁으로 확대되었다. 이 과정에서 후티반군세력과 연대하던 살레 전 대통령은 후티반군에 의해 피살되었다.

출처 : 미래한국(http://www.futurekore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