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성을 위한 ━━/이스라엘자료

이스라엘 민족의 기원

Joyfule 2014. 6. 2. 01:00

 

 

 

이스라엘 민족의 기원

 

 

1.이스라엘 민족의 기원
2.성서의 모델은 이집트인가 메소포타미아인가.
3.<성서>의 첫 부분에 숨겨진 신비
4.하와(여자)는 아담(남자)의 갈빗대로 만들어졌는가?
5.바벨탑은 어디 있었는가
6.점토판에 새겨진 노아의 홍수 이야기의 원형.
7.<길가메슈 서사시>란 무엇인가?.
8.노아가 도달한 아라랏산은 어디에 있는가
9.이스라엘 민족사의 시작
10.<족장설화>에서는 어떤 역사 배경이 있는가
11.할례는 언제 왜 시작했는가.
12.왜,약속의 땅<가나안>으로 떠났는가.
13.사라는 아브라함의 아내인가,누이인가.
14.사라진 도시국가 우르는 어디 있었는가
15.우르의 대지하 고분군의 발견.
16.갈디아인의 우르는 어디인가
17.악덕한 도시 소돔과 고모라에서 무슨 일이 일어났는
18.악덕의 도시 소돔과 고모라는 실재했는가
19.고대 이스라엘인은 어떤 신을 섬겼는가

 

1. 이스라엘 민족의 기원
창세기가 전하는 이스라엘 민족의 기원은 다음과 같다. 하나님 야훼가 땅과 하늘을 만들었을 때 땅에는 아직 들 에는 나무 한 포기 없고 풀도 없었다. 하나님은 땅에 인간 의 죄악이 가득 찬 것을 알고 땅에 인간을 만든 것을 후회 하고 분히 여겨 땅에 홍수를 일으켜 세상의 생명이 있는 모 든 피조물을 명말시켰다.


홍수는 40일간 계속되었으며, 하나님의 명령에 따라 방 주에 탄 노아와 그 가족과 각종 동물의 한 쌍 씩만이 구원 되어 아라랏산에 도착했다. 하나님은 노아와 그 아들들을 축복했다. 이윽고 피조물 들이 다시 번창하여 인류는 동쪽 슈메르 땅에 정주하게 되 었다. 그 때 온 세상은 말이 같았다. 그들은 불손하게도 벽돌로 하늘에까지 닿는 바벨탑을 건 설하여하기 때문에 하나님은 이제까지 모두 하나의 백성 하나의 말이었던 그들의 말을 혼란하게 하여 서로 말이 통 하지 않도록 하고, 그들을 그 땅에서 온 세상에 흩어지게 하였기 때문에 그들은 도시를 세우는 일을 중단했다. 그렇 기 때문에 대혼란이 일어나고 그들은 사방으로 흩어져서 살게 되었다.


이스라엘 민족의 조상 아브라함은 갈디아인이며 우르에 살았으나 하나님의 명령에 순종하여 고향 우르를 떠나서 하 나님의 약속의 땅 가나안을 향해서 온 가족과 가산을 거느 리고 이주하였다.

아브라함의 하나님에 대한 순종의 신앙과 그 명령에 대 한 복종이 모범적이었기 때문에 아브라함은 하나님과의 계 약에 의하여 그 자손이 번창하고 하나님의 택한 백성으로 서 가나안 땅을 차지하리라는 하나님의 약속을 받았다. 아 브라함과 늙은 아내 사라 사이에 오랜 기도가 효험하여 장 자 이삭이 태어나고 이삭이 그 뒤를 계승한다. 이삭은 레베카와 결혼하고 에서와 야곱의 쌍동이를 낳 는다. 그 아이들이 장성하여 형 에서는 사냥을 잘해서 들 에서 사는 청년이 되고 동생 야곱은 내성적이어서 집안에 만 묻혀있다.


이삭은 에서를 사랑했다. 이삭은 잡아오는 짐승의 고기 를 좋아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레베카는 사랑했다. 어느날 동생 야곱은 계략을 꾸며서 형 에서에게서 장자 권과 부친 이삭의 분노를 사서 동쪽에 있는 친척 라반에게 로 도망갔다.
야곱은 라반의 두 딸 레아와 라켈을 아내로 얻어 가나안 으로 돌아온다. 야곱은 또한 길르앗에서 흘러 요르단강으 로 들어가는 얍복 개울을 건너 하나님과 씨름을 하고 이겼 기 때문에 <이스라엘> (<하나님과 겨루다>의뜻) 이라는 영광스러운 이름이 주어졌다.
민간 어원적 설명에 의하면 이것이 이스라엘이라는 이름 의 유래이다. 아브라함, 이삭, 야곱 및 야곱의 열두 아들들 의 4대는 족장이라고 해서, 모두 유목민의 족장이었다. 그 리고 아브라함의 손자 야곱의 열두 아들들은 이스라엘 12 부족의 조상이 되었다고 한다.


2. 성서의 모델은 이집트인가 메소포타미아인가
창세기라는 이름은 70 인약에서 나온 것이며, 창세기 2 장4절의 <하늘과 땅을 지어내신(창조하신) 순서는 위와 같다>는 구절에 근거한 것이다.


헤브라이어 원전의 명칭은 1장 1절의 <베레시스>(<태 초에>라는 뜻)라는 어휘에 근거한 것이다.우리 말 성서 의 창세기라는 명칭은 한문 성서에 유래된 것이다. 현존하는 창세기는 적어도 시대를 달리하는 세 가지 주요 사료층에 의한 것임이 밝혀졌다. 즉, 하나님의 이름이 야 훼로 돼있는 야훼이스트 사료층, 하나님의 이름이 에로힘 으로 돼있는 제사적 사료층의 세 가지이다. 이것은 기원전 6세기의 바빌로니아 포로 후, 기원전 5 세기에 모세 5경 전체를 편찬한 제사학파에 의하여 기록 된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제사학파의 기록은 이스라엘의 전통을 정리하고 지키기 위해서 계보, 연대, 날짜, 통계 등의 객관적인 기록을 즐 겨 쓰고 모든 사료를 편찬하는 기준의 역할을 하고 있다. 문체는 무미건조하고 딱딱하나 깊은 신한적 통창은 야훼 이스트 사료와 에로히스트 사료층이 훨씬 못미치는 것이다. 그러나 그 배후에는 성립 당초의 유대교단의 신앙이 숨겨 져 있다.
제사학파에 유래되는 사료층 안에는 상당히 오래된 사료 도 들어있다.
내용은 만물의 기원과 인류의 역사(1장-11장), 족장들 의 역사(12장 -50장)으로 돼있다. 전자는 천지 창조, 인간의 타락, 카인과 아벨, 아담의 계보, 홍수와 노아의 자손, 바벨탑과 셈의 계보,후자는 아브라함과 이삭의 전설, 야곱의 전설, 요셉의 전설 등 으로 돼있다.


창세기 1장에서 2장4절 전반의 천지 창조설은 제사적 사료층에 의한 것이며, 그 원형은 <위로는 하늘의 이 름이 없고 아래로는 땅의 이름이 없을 때에>하는 구 절로 시작되는 바빌로니아의 창조 신하 <에누마.에리슈 신화>였다고 생각된다. 창세기 3장에는 낙원의 상실이 얘기되어 있으며, 이것 은 야훼이스트 사료층에 속하는 이야기이며, 메소포타미 아의 전승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3장은 도덕적 종교적 통창이 대단히 깊고 구약성서 중 에서도 가장 훌륭한 부분의 하나이며,

어느 구약성서는 창 세기 중의 진주라고 극찬하였다. 불사와 금단의 열매에 관한 부분과 흡사한 내용을 가지 고 있는 점토판 문서가 이집트 제18 왕조의 이단왕 아벤 호테프 4세(BC 14세기)가 아멘신의 수도 테베의 하류에 세운 새로운 수도 아케토아텐, 현지명 텔.엘-아마르나와 앗시리아 왕 앗슐바니팔이 니네베에 건설한 왕 궁 부속의 도서관 자리에서 출토되었다. 이것은 <아다파전설.이라고 불려진다. 그 대충 줄거리 는 지혜의 신 에아가 자기 종을 삼기 위해서 아다파라는 원인을 인간의 모습을 닮게 만들었다. 에아에 의하여 초인간적인 지혜를 갖게 된 이 아다파가 에아의 질투 때문에 영생의 음식을 먹지 못했다는 이야기 이다.


어떤 학자는 이 이야기가 3장의 원형이라고 하고 야훼 이스트가 그것을 순화한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으나, 소재 는 메소포타미아로 소급된다 할지라도 제한된 적은 사료 로 단정하기는 어렵다.


3. <성서>의 첫 부분에 숨겨진 신비
성서 중에는 <주해자의 십자가>라고 일러지는 난해한 부분이 적지 않다. 성서의 첫 부분에 있는 창세기 1장 13절은 그 첫번째 것이다. 창세기 1-2장은 천지 만물의 창조의 기사이며, 1장1절- 2장 4절상과 2장 4절하-2장25절의 두 부분으로 나누어 지고, 그 어휘, 문장, 사상 등으로 보아 전자는 제사적 사료층이고 후자는 야훼이스트 사료층에 속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창세기 첫머리의 1장1절과 2,3절의 관계에 관해서 최 근에 많은 연구가 있다. 우선 여기서 원문을 보자

(1)태초에 하나님께서 하늘과 땅을 창조 하였다. (2)땅 은 아직 모양을 갖추지 않고 아무 것도 생기지 않았는데 어둠이 깊은 물 위에 뒤덮여 있었고 그 물 위에 하나님 의 기운이 휘돌고 있었다. (3)하나님께서 "빛이 생겨라!" 하시자 빛이 생겼다.

 

여기서 제1절은 표제적 성격을 갖는 독립 구절이라고 보 는 전통적 해석이 일반적이고, 제2절에서 창조의 설명이 전개되고 창조의 소재인<아직 모양을 갖추지 않은 깊은 물> 이 어디서 왔는지는 말하지 않고 있다고 해석한다. 그리고 제사적 사료층은 창조를 무와 유의 대립으로서가 아니라 혼돈과 질서의 대립에서 생각하고 있다고 본다. 그러나, 어떤 해석자는 제1절을 <태초에 하나님이 하늘과 땅을 창조하셨다>고 하는 독립 구절이 아니라, 3절의 <하나 님께서 "빛이 생겨라"하시자>하는 구절의 종속절이라고 해석한다. 2절은 상황 설명의 도입 구절, 3절은 주 구절이라고 보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은 2장4절하-6절(야웨이스트 사료 층)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