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관 자료 ━━/인터넷성경

인터넷 성경 핵심 공부 (창세기에서 계시록까지) (68과)3

Joyfule 2009. 4. 6. 23:53

인터넷 성경 핵심 공부 (창세기에서 계시록까지) (68과)3

열왕기(5): 분열왕국 이야기(2)(12-17장)

 

 

B. 남북 평화 시기(왕상 16:21-왕하 8:15)

1. 남북 평화 시기의 북왕국 이스라엘(오므리-여호람)

* 오므리 왕가(B. C. 885-841)(왕상16:21-왕하 10:11)
 * 4대 44년간-남방 유다와 우호관계를 맺음
 * 북 이스라엘의 초기 50년간은 매우 불안하였다. 그러나 오므리 왕조가 들어섬으로 이스라엘은 안정세력을 찾게 되었고 유다와의 긴장도 해소되었다. 그러나 외부적인 안정과 반영과는 달리 종교적인 면에 있어서는 암흑시대였다.

1-1. 오므리(주전 885-874)-12년-(왕상 16:21-28)
 * 세속적으로 강력한 국가였다.
  - 북왕국의 수도를 디르사에서 사마리아로 옮김
  - 이때까지의 왕 중 가장 막강한 왕이었음.
  - 모압을 속국으로 삼음으로서 요단 동편의 남부를 다시 장악하게 됨.
 * 영적으로는 암흑의 시기였다.
  - 아들 아합을 이세벨과 결혼시킴
  - 성경은 그의 정치적 성공에 대하여는 한마디도 언급을 하지 않고 그의 영적인 타락상에 대해서만 언급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나님께서는 우리들이 얼마나 그의 나라와 그의 의 를 위하여 헌신하였는가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고 계신다.


1-2. 아합(주전 874-853)-22년-(왕상 16:29-34, 17:1-22:40)
 * 요단 동편(요단 동편의 옥토와 왕의 대로) 점령을 위해 노력함
 
 - 이를 위해 다메섹(아람) 의 남하정책을 막아야만 하였는데, 아합은 북쪽의 베니게(두로와 시돈 지역)와 동맹관계를 맺 음으로서 다메섹(아람)을 막으려 하였다. 그리하여 그 표시로 당시 베니게를 통치하던 시돈 사람 엣바알 왕의 딸인 이세벨을 아내로 맞이하였다. 그리고 남쪽 유다의 힘을 빌리기 위하 여 자신의 딸(아달랴)을 유다 왕 여호사밧의 아들인 여호람에게 주었다.

 
* 왕후 이세벨은 바알에게 헌신한 여인이었다.
  - 그녀가 적극적으로 바알종교를 지원하게 되자, 이스라엘은 여호와와 바알 중에서 하나를 선택해야만 하는 분기점에 이르게 되었다.
  - 바알 종교는 이미 백성들 사이에서 가나안의 우수한 문화를 형성시킨 신으로 동경받고 있었기 때문에 이세벨의 바알 선교 정책은 가속화되었다.
  - 사마리아의 바알의 산당에 바알을 위하여 단을 쌓음.
  - 아세라 목상을 만듦.

   <참고: 불의 선지자 엘리야>(왕상 17:-왕하 2:11-)-백성들의 마음을 여호와께로 돌림

1) 길르앗에 거하는 디셉 사람
 - 3년반 동안의 가뭄 선포
 - 그릿 시냇가의 까마귀(왕상 17: 2-7)
 - 사르밧 과부(왕상 17:8-16)의 부양
 - 죽은 아들을 살림(왕상 17:17-24)

2) 바알의 선지자들을 상대로 850대 1로 싸워서 승리한 후에 그들을 처형함.

3) 엘리야와 하나님
 - 이세벨을 두려워하여 낙심한 엘리야가 세미한 음성을 통해 하나님의 지시를 받음
 - 다음 지도자 예고; 하사엘-예후-엘리사

4) 나봇을 죽이고 포도원을 빼앗은 아합에게 저주를 선포함.(21:1-29)

5) 바알에게 가서 병이 낫겠느냐고 묻는 아하시야 왕에게 죽음을 선고함.

6) 엘리야와 불수레/ 엘리야가 요단강물을 가르고 동쪽으로 건너가서 하늘로 승천함./

7) 엘리사를 후계자로 삼음.
* 아합은 상아궁을 짓고 사치한 생활을 하다가 아모스 선지자에게 공격을 받았다.
* 아합은 북쪽 아람왕 벤하닷과 싸워 두 차례 승리하여 아벡을 점령하였다(20:1-43).
* 그러나 그는 3년 후에 남쪽 도시 길르앗 라못을 점령하기 위해 미가야의 예언을 무시하고 유다 왕 여호사밧과 함께 아람을 공격하다가 전사하고 말았다.(22:1-40)
 

1-3. 아하시야(주전 853-852)-2년-(22:51-53, 왕하 1:1-18)
 * 아합과 이세벨의 맏아들
 * 그의 아버지와 같이 죄를 범하고 바알을 섬김
 * 사마리아에 있는 그의 궁전에서 떨어져 병들어 치유를 위해 바알세붑에게 물어보았다가 엘리야로부터 사망선고를 받음(왕하 1:1-18)

1-4. 요람(여호람)(주전 852-840)-12년-(왕하 3:-8:)
 * 아합과 이세벨의 막내 아들
 * 바알의 주상을 제거함으로 아비와 같이 하지는 않았으나, 여로보 암의 길을 따르는 죄를 범하였다(왕하 3:1-3).
 * 여호사밧을 설득하여 동맹을 맺고 모압을 침. 그러나 물이 갈하게 되었을 때에 선지자 엘리사의 도움으로(여호사밧 때문에) 물을 얻고 전쟁에서 이김.(왕하 3:4-27)
 * 나아만이 문둥병이 낫고자 하여 왔을 때에 고쳐 보냄(5:-)
 * 엘리사가 아람의 침입계획을 알아내자 엘리사를 죽이려고 군대를 파송했으나 전멸함.
 * 그 후에 아람이 다시 침공하여 사마리아가 극한 기아에 시달렸으나 하나님께서 네 문둥병자를 통해 사마리아를 기근으로부터 구출하심.(6:-7:)
 * 아람 왕 벤하닷이 죽고 하사엘이 왕이 되었을 때에 갈르앗 라못을 탈환하기 위해 하사엘과 싸우다가 부상을 당해 치료하던 중 군대장관 예후에게 피살당하게 되었다.
 * 그 후에 에돔과 립나가 다시 그 수하에서 떠나게 됨.
 

               <참고: 갑절의 영감을 받은 엘리사>(왕하 2:12-13:21)

1) 부유한 농가의 출신(왕상 19;19)
2) 여호람-요아스 때까지 약 50년간 활동함
3) 엘리야처럼 극한 투쟁이나 도망다니는 일이 없었으며, 종종 왕들과의 교제도 있었다.
4) 엘리야가 길갈과 벧엘과 그리고 여리고에 세운 선지 학교를 더욱 발전시켰다.
5) 수많은 이적들을 행함
 * 여리고의 물이 나빠서 토산물이 설익은 채 떨어지자 소금을 물 근원에 넣어 고침(2:19-22)  * 엘리사를 조롱한 아이 42명이 암콤에게 찢겨죽음/"대머리여 올라가라!"/승천하라는 말  
 * 빈 개천에 물을 채워서 모압과의 싸움에서 승리하게 함(왕하 3장)
 * 가난한 선지자의 가족을 위해 빈 그릇에 기름이 차게 함(4:1-7)
 * 거처를 마련해 준 수넴 여인에게 아기를 낳게하고, 죽은 아기를 살려줌(4:18-37)
6) 길갈 에서 독 있는 국을 깨끗게 함(왕한 4:38-41)
7) 보리떡 20개와 채소 한 자루로 100명을 먹임(왕하 4:42-44)
8) 나아만 장군의 문둥 병을 고침(왕하 5:1-19)
9) 재물을 탐내는 게하시에게 문둥병을 예언함(5:15-27)
10) 잃어버린 도끼 머리를 되찾음(왕하 6:1-7)
11) 수리아의 은밀한 전쟁계획을 폭로함(6:8-12)
12) 게하시의 눈을 열어 불말과 불병거를 보게하고 수리아 군대를 눈멀게 함(6:15-23)
13) 사마리아가 기근에서 해방될 것을 예언함(왕하 7장)
14) 수리아 왕 벤하닷의 죽음과 하사엘의 수리아 통치를 예언함(왕하 8:7-15)
15) 임종시 이스라엘이 수리아를 세 번 물리칠 것을 예언함(왕하 13:14-19)
16) 죽은지 수년이 지난 엘리사의 시신으로 죽은 한 사람이 다시 살아남(왕하 13: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