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감성을 위한 ━━/젊은이에게

자기 긍정 파워(행복과 성공을 부르는 긍정의 심리학)

Joyfule 2018. 1. 1. 02:45

     
     자기 긍정 파워(행복과 성공을 부르는 긍정의 심리학) - 미아 퇴르블롬  
    자존감(self-esteem)과 자신감(self-confidence)은 다르다. 
    
    자신감이 아무리 높아도 자존감이 낮으면 감정에 기복이 생긴다. 
    언제나다른 사람과 자심을 비교하고 경쟁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자신을 있는 그대로 사랑하고, 아름답다고 믿으면 이런 일은 사라진다.  
    자존감은 결코 무심코 지낼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자존감에 신경 쓰지 않으면 결국 우리는 심각한 문제에 봉착한다. 
    자존감은 늘 우리 안에, 우리 곁에 존재하고 있지만 방치할수록 낮아진다.  
    지나치게 낮아지면 자기혐오로 바뀐다. 
    ☞ 낮은 자존감 
    표본 1
    1. 사회생활은 물론 대인관계에서 자산의 자리를 차지하지 못함. 
    2. 자신의 생각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함. 
    3. 스스로 맨 꼴찌가 되고, 남들 눈에 띄는 것을 싫어함.
    표본 2
    1. 무엇이든 자신을 중심에 놓음. 
    2. 남들 눈에 띄는 일이라면 무엇이든 다함. 
    3. 남들의 주목과 인정은 끊임없이 요구하면서 남의 이야기는 전혀 듣지 않음.
    ☞ 낮은 자존감의 전형적인 자질은 질투 
    - 질투는 질투감정을 인간관계에서 자유롭게 표현한다면 어떠한 사랑도 결국에는 이룰 수 없다. 
    - 질투심이 자꾸 드는 사람은 그런 마음을 떨쳐버리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야 한다. 
    상대방을 항상 경계하고 믿고 의지할 수 없다면 자존감이 높은 사람이 먼저 관계를 끊는다. 
    ◈ 높은 자존감은 왜 중요한가? 
      ❶ 자존감이 높으면 삶이 더 단순해진다. 
      ❷ 어떠한 좌절도 쉽게 헤쳐 나갈 수 있다. 
      ❸ 실수는 빠르게 경험담으로 바뀐다. 
    ◈ 아이들의 자존감을 높이려면? 
      ❶ 부모자신이 바뀌어야 한다. 
      ❷ 부모 스스로가 자존감이 높으며 자신을 존중할 수 있어야 한다.  
      ❸ 부모 스스로가 좋은 역할 모델이 되어야 한다. 
      ❹ 자신의 원칙에 따라 살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끊임없이 발전하기 위해 
          노력하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 
      ❺ 자신의 결점과 실수를 인정할 줄 알아야 한다. 
    ☞ 높은 자존감 
      ❶ 자기 자신을 좋아하고 서로 믿는 분위기 속에서 안정감을 느끼는 사람들이 
         자연스럽게 주변으로 모인다. 
      ❷ 상대방에게 해가 되지 않는 건강한 관계를 형성할 확률이 높아진다. 
      ❸ 다른 사람을 두려워하지 않고, 자신을 방어해야 한다는 느낌도 갖지 않기 때문에 
          그들의 대인관계는 항상 유쾌하다. 
    ◈ 자존감을 높이면 받는 수혜 
      ❶ 지금 있는 그대로 나 자신이 괜찮은 사람, 훌륭한 사람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 다른 사람에게도 너그러워진다. 
        - 다른 관점에서 문제해결을 위한 여유를 갖게 된다. 
        - 다른 사람도 쉽게 사랑할 수 있게 된다. 
      ❷ 자신을 어떻게 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게 된다. 
        - 내 단점을 개선하겠다고 마음먹을 수 있다. 
        - 두려움에 지배당하지 않고 더 많은 용기를 내게 된다. 
      ❸ 능동적인 선택은 내 자신에게 놀라운 변화를 가져다준다. 
        - 다른 사람에게 보다 사랑스러운 사람이 된다. 
        - 결정하고 판단하는 일도 훨씬 쉬어진다. 
        - 삶을 더 즐겁게 살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