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굼(타르굼)이란 무엇인가?
Ⅲ. 타르굼의 종류
1. 팔레스타인 타르굼(Palestinian Targum)
팔레스타인 타르굼은 이스라엘에서 사용된 타르굼을 말한다. 슈도 요나단 타르굼(Pseudo-Jonathan Targum)과 네오피티 타르굼(Neofiti I Targum), 조각 타르굼(Fragment Targum)과 카이로 게니자 조각 타르굼(Cairo Genizah Fragment Targum)이 여기에 해당한다.
팔레스타인 타르굼들은 모두 모세오경만을 다루고 있다.
이 중에서 모세오경 전체를 담고 있는 것은 슈도-요나단 타르굼과 네오피티 타르굼 뿐이다.
1) 제1 예루살렘 타르굼(슈도-요나단 타르굼 Pseudo-Jonathan Targum)
가(假) 요나단 타르굼(Pseudo-Jonathan Targum-가짜 요나단 타르굼)으로도 알려져 있다. 슈도 요나단 타르굼은 모세오경을 다룬 모든 타르굼 중에서 가장 길며 그 분량이 원래의 히브리어 본문의 약 두 배에 이른다. 원문의 문자적 번역에 충실한 옹켈로스와는 달리 성경 본문을 해석하는 미드라쉬적인 내용을 많이 담고 있기 때문이다. 슈도 요나단 타르굼은 오래 된 자료들과 많은 후대의 편집 자료들을 포함하고 있다. 이 타르굼은 많은 주석적 요소들로 가득 차 있어서 본문의 가치보다도 당시 유대인들의 성경 주해를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이 타르굼의 기록 언어는 팔레스타인 아람어이다.
2) 네오피티 타르굼(Neofiti I Targum)
네오피티 타르굼(Neofiti I Targum)은 1956년 바티칸 도서관에서 온전한 코덱스의 형태로 발견되었다. 이것은 팔레스타인 타르굼 중에서 가장 온전하며 가장 이른 시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팔레스타인 타르굼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
3) 조각 타르굼(Fragment Targum)과 카이로게니자 조각 타르굼(Cairo Genizah Fragment Targum)
나머지 두 개의 조각 타르굼들은 온전한 것이 아닌 여러 조각의 형태로 발견되었다. 이것은 하나의 온전한 타르굼의 일부이거나 또는 다양하게 변형된 본문을 기록한 것으로 추정된다.
2. 바벨론 타르굼
바벨론 타르굼은 바벨론을 포함한 동방 지역에서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했던 타르굼을 말한다. 바벨론 타르굼에는 모세오경을 다루는 옹켈로스 타르굼과 선지서를 다룬 요나단 타르굼이 있다.
옹켈로스 타르굼과 요나단 타르굼은 기원 후 9세기 이후에 유대인들 사이에서 훌륭한 번역서로 권위를 인정받았다. 회당에서 히브리어 성경의 율법 부분과 함께 낭독한 타르굼이 옹켈로스 타르굼이고, 선지서의 부분과 함께 낭독한 타르굼이 요나단 타르굼이다.
1) 옹켈로스(Onkelos) 타르굼
옹켈로스 타르굼은 모세오경을 다루고 있다. 이 타르굼은 팔레스타인 아람어를 기본으로 하고 있으나 메소포타미아 지방의 아람어도 간혹 발견된다. 이 문헌은 다른 타르굼보다 문자적 번역에 충실하려고 노력하였으나, 간혹 설명을 추가하고 있다. 또한 주석 면에서 창 49:10과 민 24:17을 그리스도에 대한 예언구절로 해석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2) 요나단 타르굼(요나단 벤 우찌엘 타르굼)
요나단 벤 우찌엘 타르굼은 예언서를 다루고 있다. 이 타르굼은 율법학자 힐렐의 문하생인 요나단 벤 우찌엘이 저술한 것이다. 번역 면에서 매우 훌륭하나 의역과 해석이 첨가되어 있는 것을 살펴볼 수 있다. 이사야 52, 53장의 그리스도의 고난에 관한 구절을 탈락시키거나 그 대상을 그리스도가 아닌 이스라엘의 대적에게 적용하여 해석한 경우도 있다.
3. 시가서 타르굼
시가서를 다룬 타르굼은 욥기, 시편, 잠언, 역대기를 각각 다룬 타르굼들과
다섯 개의 두루마리(The Five Scrolls), 즉 룻기, 에스더, 아가서, 예레미야 애가, 전도서를 다룬 타르굼이 있다.
탈무드는 모세오경과 선지서를 다룬 타르굼 외에 공식적인 타르굼은 없다고 말한다.
시가서에 대한 공식적인 타르굼이 없는 이유는 시가서가 유대인의 회당 예배에서 낭독되는 일이 없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시가서 타르굼은 서방 이스라엘 땅에서 기원했다. 그러나 시가서 타르굼은 회당 예배에서 공식적인 역할이 없었기 때문에 다른 타르굼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잘 보존되지 않았고 많이 알려지지도 않았다.
그림1) 바벨론 타르굼 중 옹켈로스 타르굼, 오른쪽이 히브리어 텍스트, 왼쪽이 아람어 옹켈로스 (위키백과 ‘옹켈로스’ 본문 중 그림)
'━━ 영성을 위한 ━━ > 기독교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탈굼(타르굼)이란 무엇인가? (0) | 2022.12.10 |
---|---|
탈굼(타르굼)이란 무엇인가? (0) | 2022.12.09 |
탈굼(타르굼)이란 무엇인가? (0) | 2022.12.02 |
탈굼(타르굼)이란 무엇인가? (1) | 2022.12.01 |
사두가이파(사두개파)의 역사 (0) | 2022.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