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성을 위한 ━━/기독교자료

탈굼(타르굼)이란 무엇인가?

Joyfule 2022. 12. 10. 13:31


 

 

 

     탈굼(타르굼)이란 무엇인가? 

 

Ⅴ. 타르굼의 중요성과 가치

 

1. 구약적 의의

 

타르굼의 기원은 회당에서 행해졌던 전례였다. 즉 타르굼은 히브리어로 성경을 읽은 후 곧이어 아람어로 번역하고 주석했던 구두전승에서 유래했다. 따라서 타르굼은 히브리어로 기록된 본문과는 또 다른, 새로운 구약성경의 본문을 우리에게 전해주고 있다. 왜냐하면 번역이라는 것은 새로운 본문을 쓴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즉 번역은 새로운 본문의 창조를 뜻한다. 그리고 타르굼은 그것이 전승되고 편집되었던 당시에 구약성경이 어떻게 이해되고 해석되었는가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료이다.

구약성경의 내용을 당시 사람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해석한다는 것은 성경에서 모호한 부분은 상세히 설명하고, 본문의 상이한 모순을 조화시키며, 여백은 채우고, 사람들의 호기심에서 나온 질문에 대답하며, 논란이 있었던 문제에 대하여도 해답을 제시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타르굼은 당시에 구약성경을 해석하고 주석했던 방법들이 어떤 것이었는지를 잘 보여준다.

 

2. 신약적 의의

 

70인역 성경과 함께 타르굼은 그리스어와 아람어에 익숙했던 유다인들이 성경을 읽고 이해하도록 번역되었다.

​이 번역은 새로운 사회적, 문화적 상황 안에서 성경의 메시지를 전달하려는 하나의 해석학적 작업인 동시에 하나의 토착화 작업이었다. 왜냐하면 성경의 말씀은 특정하게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상황에 맞춰 항상 새롭게 전달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타르굼은 구약성경과 신약성경 사이를 이어주는 또 하나의 다리이다.

 

실제로 신약 성경에서 타르굼과 연결되는 부분들을 찾아볼 수 있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구약 성경에 나오지 않지만 바울이 모세를 대적한 자들로 말한 ‘얀네와 얌브레’(딤후 3:8)도 슈도-요나단 타르굼의 출애굽기에 기록되어 있다.

​신약에서 아람어로 기록된 부분은 막 5:41 “달리다 굼(ταλιθα κουμ, 내가 네게 말하노니 소녀야 일어나라)” / 막 7:34 “에바다(εφφαθα, 열리라)” / 막 7:11 “고르반(κορβαν, 하나님께 드림)” / 요 20:16 “랍오니(ραββουνι, 선생님)”/ 막 14:36, 갈 4:6, 롬 8:15 “아빠(αββα, 아버지)” / 고전 16:22 “마라나타(μαραναθα, 오 주님 오소서)” / 마 27:46, 막 15:34 “엘리 엘리 라마 사박다니” 가 있다.

​이처럼 타르굼은 구약 성경의 해석과 적용만이 아니라 신약의 예수님과 사도들의 말씀과 함께 연구할 가치가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초대 그리스도교 공동체와 신약성경은 단순히 구약성경을 상속받은 것이 아니라 번역된 성경을,

​더욱이 해석된 성경을 상속받았다. 따라서 제2차 성전시기의 구두전승에서 유래하여 오랜 전승과 편집의 역사를 가진 타르굼은 구약성경에서 신약성경으로 넘어가는 중요한 시기에 대해 증언하는 고마운 사료이다.

 

참 고 문 헌


국내 도서

권성달. 『성경 아람어 울판』. 도서출판 목양. 2012.

원용국. 『구약사본』. 삼용서관. 1978.

원용국. 『성경사본과 고대근동사본 연구』. 호석출판사. 1998.

 

2. 국내 번역서

Albert Bell, 오광만 역, 『신약 시대의 사회와 문화』, 생명의 말씀사, 2001.

Harrison R. K., Waltke B. K., Guthrie D., Fee G.D. 오화선·오성일 공역. 『성경비평 역사, 문학, 본문 비평』. 도서출판 참말. 1993.

작자 미상. 이상준 역. 『탈굼 옹켈로스』. 이스트윈드, 2017.

 

3. 국내 논문

김선종. 타르굼 호세아 1장의 번역 기법. 성경원문연구(26). 2010.

배철현. 타르굼 아람어 성서 번역의 특징. 성경원문연구(18). 2006.

신충훈. 「탈굼의 언어, 문체적 특성 연구」. 기독교와 어문학 3권 1호. 2006.

 

4. 국외 문서

Martin Mcnamara, 『Targum and Testament Revisited』, Eerdmans Pub Co, 2010.

 

5. 기타

Jannes and Jambres “Rabbinic Literature”, wiki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