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신교 전래 이전의 여성의 지위
2. 새로운 계기들
2) 동학
동학은 경상도 경주의 몰락양반 출신인 제1대 교조 최제우(1824-1864)에 의해 1860년 4월에 창시되었다. 최제우의 아버지는 최옥금이고 유학자로서 경상도 일대에 이름을 떨쳤지만 그는 16세에 부친을 여윈 이래 사는 집도 없이 하는 일도 뜻대로 되지 않아 20년간 전국을 방랑하면서 기도와 사색을 계속하여 드디어 동학의 교리를 터득하여 제창했다.
동학은 당시 국내에 침투하고 있던 서학(천주교)에 의한 위기상황을 기성의 유교, 불교,도교로는 구할 수 없다는 인식에 뿌리박고 있다. 동방에서 나서 또한 동방에서 산다. 도는 천도라 하여도 무슨 까닭으로 서를 동이라 하고 동을 서라 할 수 있겠는가?.... 우리 도는 이곳에서 받아 이곳에서 넓힌 것으로 서학의 이름으로 부를 수 있겠는가?"라고 하였다.
동학이 창시된 1860년 전후의 시기에는 천주교의 국내 침투와 영불연합군의 북경 침입에 의해 서양 열강에 대한 국내의 불안과 경계심이 높아졌고 이러한 민중의 감정을 잘 파악한 최제우는 "서양은 전승공취하여 이루어지지 않는 일이 없으니 천하가 진멸하면 진무의 한탄이 없지 않을 것이다. 이렇게 서양의 침입에 대한 보국안민이 동학사상을 시작한 결정적 동기이다.
다음 19세기 전반기 한국의 양반.중인.상인.천민이라는 신분적 질서와 그에 따른 천직관념이 와해되고 상품화돼 관계를 매개로 붕괴되는 계층분화 과정이 진행되었는데 이러한 사회적 변동 속에서 양반의 절대적 권위는 그것을 강화하려는 그들의 안간힘에도 불구하고 점차 무너져 서민의 반봉건적 반항의식은 높아져 갔다. 이러한 사회적 변동 과정은 동학사상에도 반영이 되어 동학의 기본 사상을 "천심 즉 인심","오심 즉 여심"(吾心卽汝心)을 총괄한 "人乃天"의 교리로 들고 있다. 이는 인간의 귀천이 선천적으로 규정지어진 봉건적 신분제도와 양반계층의 상민,천민에 대한 비인간적인 수탈과 박해에 대한 부정의 사상 즉 인간 평등의 사상이다.
이러한 동학사상이 그 당시 산발적으로 일어난 지역적 농민봉기와 결합이 되자 하나의 혁명적인 갑오농민 전쟁으로 발전되어 갔던 것이다. 그런데 이 인간평등의 사상에는 곧 남녀평등의 포함되는 것이다.19)
최제우는 도의 초보를 유교의 수신제가, 삼강오륜의 실천에 두었다. 그는 여기서 이들의 실천방법의 변화를 주장하였다. 즉 그는 "가도화순"으로써 실천할 것을 주장하였는데 이는 부인에게 위압적이고 폭군적인 가부장권을 행사함으로써 복종케 하는 종래의 무조건적인 부창부수를 부정하고 남자가 진실과 겸손의 온언순사로써 여자를 입도의 길로 선도하는 것이다. 이는 유교의 상하적 남녀관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근대적 남녀평등 사상의 태동이라고 할 수 있다.
최제우는 득도 후 여비 두 사람을 해방하여 한 사람을 며느니로 한 사람을 양딸로 삼았는데, 이는 그의 평등사상을 구체적으로 실천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20)
최제우의 侍天主 사상을 보다 발전시킨 것은 그의 제자이며 제2대 교주인 최시형이다. 그가 "나는 비록 부인,소아의 말이라도 또한 天語로 알고 배울 것은 배우고 스승으로 삼을 것은 스승으로 삼았노라"고 한 것은 유교질서 안에서 억압되고 下待되었던 여성과 여린이에게도 "인시천"(人是天)으로서의 인격이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었다.21)
이러한 동학의 여성관은 예를 들면 장흥부의 관군에게 취박당했던 22세의 이소자라는 여인에게서 행동적으로 드러난다. 즉 그녀는 일찌기 꿈에 나타난 천신으로부터 고정을 받았다하여 동학교도 사이에서 오랫동안 신녀로 존숭을 받아왔으며 동학군이 장흥부를 공략할 때는 수령으로서 말을 타고 총지휘를 했다고 한다.22)
이렇게 동학 역시 여성에게 전통적인 여성적인 삶 외에 다른 가능성을 보여주었던 것이다.
'━━ 영성을 위한 ━━ > 기독교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신교의 전래와 여성 - 2. 한국에 온 여선교사들 (0) | 2007.01.20 |
---|---|
개신교의 전래와 여성 - 1.개신교의 전래 (0) | 2007.01.19 |
한국기독교 여성100년의 발자취 2. (0) | 2007.01.17 |
한국기독교 여성100년의 발자취 (0) | 2007.01.16 |
lX. 역사에 나타난 한민족의 대륙성과 세계선교 비젼과의 접목 (0) | 2007.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