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감성을 위한 ━━/젊은이에게

결초보은 (結草報恩)

Joyfule 2018. 8. 31. 06:32
    
      결초보은 (結草報恩)
    
    춘추시대, 진나라에 ‘위무자’라는 사람이 있었다. 
    그에게 아끼는 첩이 있었으나 둘 사이에 자식은 없었다. 
    ‘위무자’가 병이 들어 눕자 본처의 아들인 ‘위과’에게 말했다. 
    “첩이 아직 젊으니 내가 죽거든 다른 곳에 시집 보내도록 해라.”
    그런데 병이 깊어지자 말을 바꾸었다. 
    “나를 묻을 때 첩도 함께 묻어라.”
    아버지가 돌아가시자 ‘위과’는 난감했다.
    처음에는 시집보내라고 했다가 
    다시 자신과 함께 묻으라고 유언을 바꾸었기 때문이다.
    한동안 고민하던 그는 결국 첩을 살려 주어 다른 곳으로 시집보냈다.
    그 이유를 묻자 이렇게 대답했다.
    “병이 깊어지면 생각이 흐려지기 마련이오.
    정신이 맑을 때 아버지가 처음 남긴 유언을 따르는게 옳다고 생각하오.”
    그 뒤, 
    진나라가 다른 나라에게 침략 당하자 위과는 군대를 거느리고 전쟁터로 향했다.
    양측이 싸움을 벌일 때 이상한 일이 일어났다.
    위과의 군대는 적군의 공격에 몰려 위태로운 처지에 빠져 있었다.
    그때 한 노인이 나타나 무성하게 자란 풀들을 잡아매어
    온 들판에 매듭을 만들어 놓았다.
    적군들은 말을 타고 공격해 오다 거기에 걸려 넘어져 이리저리 나뒹굴었다.
    그 틈을 타, 공격하자 위과는 손쉽게 승리를 거둘 수 있었다.
    적의 용맹한 장수 두회도 사로잡았다.
    위과는 그 노인이 누구인지 궁금했지만 어디론가 홀연히 사라져 알 수 없었다.
    그날 밤, 위과의 꿈에 그 노인이 나타나 말했다.
    “나는 그대가 시집보내 준 여자의 친정아버지요.
    그대가 그대 아버지의 첫 번째 유언대로 내 딸을 살려 주어, 
     그 은혜에 보답했다오.”
    이 이야기에서 ‘결초보은(結草報恩)’이 유래했는데
    “풀을 묶어 은혜를 갚는다”라는 뜻이다.
    우리 속담에 “뿌린 대로 거둔다”라는 말이 있다.
    이처럼 위과는 자신이 은혜를 베풀었기 때문에 훗날, 그 대가를 받았다. 
    반대로 노인은 죽어서까지 그 은혜를 잊지 않고 갚았다.
    우리에게 이 고사성어는 은혜를 베푼 사람이나
    받은사람 모두에게 본 보기가 될만하다.
    그렇습니다. 
    선악은 반드시 뿌린대로 거둡니다.
    선을 행하고 뿌리면 행운이 뒤따라 오지만,
    은혜를 잊거나 보답을 악을 행하면 큰 불행한 날이 연속됩니다.
    매사 은혜와 보답을 생각하며 하늘을 우러러
    한점 부끄러움 없는 삶을 살아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