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정의(定義)
신 25:5-10에는 형제 중 한 사람이 무자(無子)한 채 죽었을 경우, 다른 형제가 죽은 형제의 아내를 취하여 아들을 낳아 그 가문과 기업을 잇게 해주는 규례가 나온다. 이를 가리켜 소위 '계대 결흔'(繼代結婚. Levirate Marriage)이라 하는데 '리비르'(Levir, '남편의 형제')란 말에서 유래한 용어이다. 우리는 이를 일명 '수혼' (縷婚) 또는 '형사취수제도' (兄死取綾制度)라고도 일컫는다.
2. 역사적 배경
계대 결혼 관습은 고대 앗수르와 힛타이트 그리고 가나안족 사이에도 퍼져 있었다. 성경에는유다와 다말 기사에서 최초로 언급되어 있는데(창 38:1-11) 그것이 가나안족들의 영향을 받은것이었는지는 분명치 않다. 아무튼 계대 결혼이 정식으로 성문화(成文化)된 것은 모세 율법에서이다. 이후 이러한 율법을 쫓아 계대 결혼이 행해진 대표적인 경우로는 룻과 보아스외 결흔을 들 수 있다(룻 4:1-13).
3. 목적
계대 결혼의 근본 목적은 후사가 없이 죽은 형제를 위하여 아들을 낳아 줌으로써 죽은 자의 이름이 끊이지 않게 하고 또한 기업을 보전케 하려는 데 있었다. 그런데 이러한 제도는 부수적인 효과도 가져왔으니 곧 남편과 사별(死別)한 후 의지할 곳 없는 미망인을 도울 수 있게 되었다는 점이다. 그 뿐 아니라 이는 이스라엘 여인이 이스라엘 가운데 안주하지 못하고 전전하다가 이방 남자를 만나 몸을 의탁하게 되는 불행도 방지해 주었다. 이스라엘의 경우, 순수한 여호와 신앙을 보존하고 타락한 이방 문화에 전염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는 족외흔(族外婚)을 금하었는데(창 24:1-9, 신 7:3, 4) 계대 결흔 제도는 이에 일조하었던 것이다. 어쨌든 계대 결혼의 근본 목적은 모든 사회 생활이 혈연 공동체 단위로 유지되던 고대에 형제들끼리 서로가 서로의 혈통과 가문을 보호해 주려는 데에 있었다.
4. 시대적 변천
계대 결혼 제도는 시대에 따라 약간씩 다른 형태를 띠었다. 먼저 유다와 다말 기사에서는 무조건 시행해야 하는 의무 조항처럼 표현되어 있으나(창 38:8) 신명기 율법에서는 본인이 원치 아니할 경우, 거부할 수도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그러나 이에 그 사람은 공식적인 절차를 거쳐 성읍 장로들의 인증을 받아야 하었으며 형제의 본분을 다하지 못한 데 대한 모욕도 함께 당하였다(신 25:7-10), 이를 가리켜 소위 '할리트자 의식'이라 하는데 이스라엘 사회에서 형제의 가문과 기업을 보전해 주는 일이 얼마나 중요했었는지를 잘 보여 준다. 다음으로 룻과 보아스의 경우에서 우리는 계대 결혼의 범위가 죽은 자의 형제 뿐 아니라 그 친족에게까지로 확대되어 있음을 본다(룻 2:20, 3:12,13, 4:1-12).
아무튼 이상에서 보듯 시대에 따라 조금씩 다른 형태를 띠긴 하나 계대 결혼의 근간은 형제사랑과 공동체의 정신이었다. 이러한 사실은 그 근본 정신을 이해하지 혼한 채 계대 결혼을 부도덕한 제도로 공박하거나 이로 인해 하나님의 거룩성을 부인하려 드는 자들에게 진정한 이해의 길을 제시해 준다.
5. 영적 의의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에게 계대 결혼 제도률 허용하신 데에는 일찍이 아브라함과 맺으셨던 언약이 관련되어 있다. 즉 하나님께서는 아브라함에게 "내가 네 자손으로 땅의 티끌 같게 하리니"(창 13:16)라고 약속하셨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스라엘 중에 후사가 없어 대(代)가 끊어지는 가문이 생긴다는 것은 하나님의 약속과 상치되는 일이다. 이에 하나님께서는 계대 결혼을 통해 이러한 사태를 방지하신 것이다. 한편 유다와 다말, 룻과 보아스의 계대 결혼에 의해 계속적으로 이어진 다윗의 혈통에서 훗날 그리스도가 탄생하신 것은 놀라운 하나님의 섭리가 아닐 수 없다(마 1:1-16). 즉 이처럼 그 옛날 계대 결혼을 통하여 명맥이 유지된 혈통에서 전 인류의 구속자이신 그리스도가 나신 것은 영적으로 죄로 인해 마땅히 죽어져야 할 전 인류의 구속자이신 그리스도가 나신 것은 영적으로 죄로 인해 마땅히 죽어져야 할 전 인류의 생명의 계승이 그리스도의 구속사역으로 인하여 영원히 계승된 것임을 암시하고 있다 하겠다.
'━━ 영성을 위한 ━━ > 기독교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경에 나타나고 있는 죄의 내용들 (0) | 2021.08.08 |
---|---|
성경의 인물과 그 이름의 뜻 (0) | 2021.08.07 |
'여호와의 날'(The Day of the Lerd)의 이해 (0) | 2021.08.05 |
기독교의 핵심진리 102가지 (0) | 2021.08.04 |
꼭 알아야 할 기독교 핵심 교리 - 데릭 프라임 (0) | 2021.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