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성을 위한 ━━/기독교자료

기독교여성과 교육 - 3. 개신교와 여성교육 3.

Joyfule 2007. 2. 16. 01:44

3. 개신교와 여성교육

1) 미션계학교의 설립과 교육내용

 

"제4학년 - 고등학교 -
1.주형순(Chu Hyong Soon)-기독교 면려회(C.E.Society)의 회장이며 학생회의 능동적인 회장,그녀는 영리하고 정직하고 야심만만한 학생,졸업 후에 그녀가 일본,나고야,긴죠학원(金城學院, Golden Castle)에서 1년 공부해서 교사"자격증"을 얻을 수 있게 기도해 줄것.그녀의 아버지는 한 달에 10달러를 받는 순회전도사이다.

 

2.장혜수(Chang He-Soon)-그녀는 아버지가 총감독인 주일학교의 총무이며 올겐 연주자이다. 그녀는 피아노를 가장 잘 치는 학생인데, 그녀가 음악교육을 계속해서 받고 음악선생이 될 수 있도록 기도.

3.양 삼생지(Yang Samsengie)-그녀의 아버지 양집사가 기독교인이 되자 우상들을 칠하는 일을 포기했기 때문에, 그는 재정적으로 아주 어렵다. 삼생지가 졸업후에 월급을 받는 직장을 얻을 수 있거나, 혹은 적당한 남편을 얻을 수 있게 기도해 줄 것.

 

"3학년 -
4.박용민(Park Yongmin) - 지난해 학교에서 초우수 성적을 받음.그녀의 아버지는 죽었으며 - 어머니는 기독교인이지만 두 남자형제들은 아편중독이며 모든 것을 도박으로 날렸다. 용민이는 용감하게 학교를 통해 그녀의 길을 헤쳐 나가려고 노력하고 있다.그녀는 스윈하트(Swinehart)의 공작 조교로서 한달에 3달러를 벌며 그것으로 그녀는 기숙사비를 충당한다. 이 경제적인 투쟁이 그녀에게 너무나 어렵지 않고 그녀가 영적으로 발전하기를 기도.

 

5.김현순(Kim Hyen-Soon)- 그녀의 아버지, 김목사(C.G.Kim)는 광주에서 제일 큰 교회의 목사이다. 그 딸은 사랑스러운 학생이다...그녀는 올해 D.V.B 학교에서 학생들의 마음을 재빨리 사로잡았다. 그녀 또한 긴죠학원에서 1년을 공부한 후 자격증을 가진 교사가 될 수 있도록 기도할 것.

6.변미혜(Peyn Me-hee)-그녀의 아버지는 닥터 벨(Bell)의 언어교사였고 그가 목표와 광주에서 일을 착수하도록 도와주었다. 그는 이제 여섯개의 비신자 마을에서 남자들과 함께 일하며, 여학교의 교목이다. 미혜는 그 마을들중 세 마을에서 여성들과 아이들을 위해서 훌륭한 일을 한다. 미헤가 교사 자격증을 얻을 수 있도록 그래서 그녀가 그녀의 양친을 도울 수 있도록 기도.그녀의 아버지는 늙어서 연금을 받고 은퇴해야 하는데 물론 선교부는 연금을 줄 수 없다.

 

7. 하앤시(Ha Yensie)는 제주도 출신이다 - 앤시는 올해 그녀가 목사의 아내가 되기를 원하는지 아닌지를 결정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2학년 -A
8.서봉님(See Pongnim)-1년전,지난 4월에 학교에 들어왔는데, 전 학년에서 두번째로 높은 성적을 받았다. 그녀는 영광(Glory)이라는 마을에서 왔는데 그녀의 마을 사람들은 다 비기독교인들이다. 봉님이가 그녀 가족을 구주에게 인도하는 수단이 되기를 기도할 것.또한 그녀가 학업을 마칠 때까지 재정적으로 학교를 계속할 수 있도록 기도해 줄 것.그녀의 아버지는 그녀를 기꺼이 공부시키려고 하지만, 현재 가정을 통솔하고 있는 오빠는 그녀를 그만두게 하려고 함.그는 남자들을 위해서만 돈을 쓰려고 한다. 물론 그녀는 '조그만 계집애에 불과하지만'비상하게 영리하고 매력적이어서 - 교육받을 가치가 있음."37)

또한 서울에 살며 선교부에 있는 수피아여고 졸업생 다섯 여성을 위해서 기도해 줄 것."오후의 차"를 준비했는데,그 동창생들은 다음과 같은 일을 하고 있었고 선교사들은 자랑스럽게 쓰고 있다.

 

"애순이(Ai-Soonie,첫 졸업생)는 서울에서 전도부인 이메리(혹은 마르디아,Mardia)는 사회복지사업(Social Welfare Work)에 종사. 인숙(혹은 Portia)은 그녀와 남편이 박해를 피해서 도망갔던 만주에서 돌아온 이후에, 서울에서 살고 있는데 그녀의 남편은 여기에서도 목회자이다. 현청지(Hyun-Chungie)는 N.P.여학교의 교사이다. 복순(Poke-Soon)은 보건소에서 일한다. 그녀는 다섯개의 정부의 보건소에서 간호원들을 감독한다."38)

 

말하자면 미션계 학교의 학생들에 대한 기대는 기독교적 가정을 꾸려 나가는 일과 기독교적 사회활동을 해나가는 것이다. 이를 이해서 미션계 학교에서는 성경을 가르치는 이외에 예배시간을 넣어 학생들의 신앙심을 배양하였다.39)

 

이화학당에의 경우에도 창설 때부터 예배시간을 넣어 학생들의 신앙심을 넓히고 북돋았다. 이 예배에는 기독교를 믿는 학생이건 믿지 않는 학생이건 의무적으로 참여해야 했다.40)

정규적인 예배시간 외에 1900년대에 이르면 거의 매년 2-3주일에 걸친 부흥회를 가졌다는 기록이 보인다. 또한 정신,배화 때로는 배재 등 미션계 타교 학생들도 함께 모여 연합부흥회 형식을 통하여 신앙의 훈련을 쌓기도 하였다. 이 부흥회가 끝나면 많은 학생들이 종교에 대한 마음의 문을 열어 세례를 받았는데 1906년에는 배화와 함께 100여명의 학생이 참여했으며 1922년에는 남학교도 합동해서 부흥회를 거행,50명이상이 세례를 받았다고 한다.4)

 

미션학교에 다니는 학생들은 학교를 다니는 동안에 시낭을 갖게 되는 경우가 종종 있었고 그 학생들은 그 신앙을 바탕으로 하여 종교서클을 조직하여 활동하기도 하였다. 1909년 가을에 조직되었고, 미스 윌터가 내한한 1911년 12월경에는 본격적인 활동을 한 공주회(Kings Daughter's Circle)는 그 목적을 예수의 진실한 딸이 되도록 회원들 자신들의 수양과 또한 주위 친지를 신앙세계로 인도하는 것에 두었다고 한다.42)

 

이렇게 학생들 자신의 신앙생활만에 그칠 것이 아니라 이 민족에게 복음을 전도해야겠다는 생각이 구체화된 것이 7인 전도대이다. 김폴린씨에 의하면, "1919년 다음해 1920년 여름이었다. 이화 학생들의 기독교를 통해 그리스도의 사랑을 알고 희생과 봉사의 정신을 터득함으로 민족을 사랑할 줄 알고 그들의 영혼을 위해 복음을 전해야겠다는 정신을 가지고 있던 대학생들은 기도하는 가운데 소명감처럼 떠오르는 생각이 있었다.

이것은 여름방학 동안 집에 가서 쉬면 무엇하느냐 이 기회를 이용하여 전도대를 조직하고 전국으로 전도여행을 떠나자 하는 데 6명의 대학생이 의견을 모은 것이다. 다음으로 선생으로 대장 한 분을 택하여 같이 가면 좋겠다 하고 당시 교사로 있던 김활란 선생에게 그 뜻을 설명하매 대찬성하였다... 흰판에 붉은 헝겊으로 십자가를 재봉에 박아 전도대기를 만들고 또 전도대가사를 만들어 찬송가 곡조에 맞추어 전도 대가를 만들어 프린트했는데 가사는 다음과 같았다. 우리는 다 주의 십자가 군병들/그리스도의 나라 전파하기 위해/복음을 손에 들고 전하러 나가세/앞으로 나가/십자가 군병들/기를 높이 들고서/앞으로 전진 전진하세."43)

 

출발하기 직전 1920년 6월 21일 YMCA에서 구령회를 통하여 1,400,500원의 전도여행비용을 가지고 평양으로 향하였다. 약 1개월간 평양,정주,안주,곽산,운산,북진,양시,차련광,영변,선천,의주,강화 등지를 돌았는데 낮에는 전도지를 가지고 가가호후,또는 농촌에 가서는 들로 가서 김을 매고 있는 남녀 농부에게 배부하고 밤에는 교회나 소학교 건물을 빌어서 강연회를 가졌다고 한다.

이 전도대는 일본경찰의 방해로 결국 남선지방의 전도여행을 취소할 수 밖에 없었지만 500여명의 새 신자를 얻었고,이미 믿는 사람에게는 신앙을 거듭나게 하고 문화와도 거리가 먼 농민에게 청신함을 불어넣는데 공헌하였다고 한다.44)

 

이화의 기독학생들은 이외에도 신앙을 통한 복음전도,학구적인 신앙강좌들을 개최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믿음 속에서 자기를 계발하고 동시에 남을 돕고 신앙심을 돋구어 주는 선교회를 통해서 활동하였다. 이 선교회는 1910년에 조직되었고,조직된 초창기부터 중국선교를 돕기 위한 모금과 유년 주일학교 봉사를 하였고, 1915년에는 돈을 모아서 북경 중국인 사이에서 일하는 한국여성을 후원했으며,1916년에는 매 토요일 교육받지 못한 젊은 여자들을 모아서 교내에서 강습회를 하고 주3회 가난한 여인들을 모아서 바느질을 가르치는 교내봉사를 하기도 하였다고 한다.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