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회자 리더십 진단
10. 설득/동원력(MOTIVATING &MOBILIZING)
리더십 진단의 마지막 열 번째 항목은 설득/동원력입니다.
강력한 지도자는 효과적인 의사전달자입니다.
대부분의 지도자는 말을 잘 합니다.
또 말을 잘 할 뿐만 아니라 자기가 한 말을 추종자들이 잘 알아듣고 따르도록 설득시킵니다.
지도자는 사람들을 설득시켜 좋은 방향으로 영향을 끼치는 자입니다.
설교나 가르침과 같은 커뮤니케이션에 대해서는 나중에 "프로그램 진단"시에 자세히 다루게 됩니다.
또 리더십은 성도들을 설득하여 움직이게 하는 것입니다.
교회의 비전과 사역에 따라 많은 사람들이 열심으로 움직인다면 그 교회는 생동감 있는교회입니다.
성도들을 움직이게 하기 위해서는 영적인 감동과 동기부여가 있어야 합니다.
설득/동원력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점검할 수 있는 항목들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첫째, 담임목사의 목회 방침에 동조하는 성도들이 많이 있습니까?
만약 목회방침을 따르고자 하는 성도들이 많다면 목회자가 설득력있게
리더십을 행사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둘째, 교회의 전반적인 문제들이 목회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추진되고 있습니까?
성장하는 교회는 목회자의 믿음이 존중되는 교회입니다.
셋째, 가르침이나 설교를 부담보다는 즐거움으로 여기고 있습니까?
가르침이나 설교를 즐거워하고 그 효과가 나타나는 목회자는 설득력이 있습니다.
넷째, 교회에서 행사를 주관하면 많은 성도들이 성공적으로 동원되고 있습니까?
교회의 모임이나 행사마다 성도들이 잘 참여한다면 동원력이 훌륭하다고 평가됩니다.
마지막으로 어떤 상황에서도 담임목사를 지지할 세력이 10% 이상 있습니까?
담임목사의 지지세력이 많을수록 교회의 행사나 방침에 적극적으로 따르게 될 것입니다.
교회 내에 아무리 적어도 10% 이상은 절대적인 지지세력이 있어야 합니다.
지금까지 목회자 리더십 진단의 10가지 항목에 대해서 말씀드렸습니다.
10가지를 다시 정리해볼까요?
먼저 카리스마 즉 영적인 권세,
다음으로 비전, 자기개발, 섬기는 리더십, 구비 리더십, 위임, 위기관리 능력, 기획/조직력, 추진/집중력, 설득/동원력입니다.
마지막으로 다음과 같은 몇가지 사실을 기억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1. 리더십의 목적은 예수 그리스도를 영화롭게 하는 것이요 교회를 성장시키는 것이라는 사실을 기억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목회자는 하나님의 영광과 교회성장을 위하여 자신의 리더십을 개발해야 합니다.
2. 목회자는 자신의 리더십을 끊임없이 평가해야 합니다.
자신의 리더십에 대한 교인들의 의사를 수렴하거나 하나님과의 관계 등을 통하여 부족한 리더십을 점검해 보아야 합니다.
3. 리더십 진단에서 교회성장형 지도자에게 가장 중요한 것 세가지를 말하라고 한다면 "영적인 권세와 자기개발, 그리고 구비 리더십"을 들 수 있습니다.
영적인 권세는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기초하고 자기개발은 자신과의 관계에 기초하며 구비 리더십은 교인들과의 관계에 기초합니다
'━━ 지성을 위한 ━━ > Leadersh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적 리더십의 세 가지 원리 (0) | 2016.12.23 |
---|---|
목사는 왜 리더가 되어야 하는가 (0) | 2016.12.22 |
목회자 리더십 진단 (0) | 2016.12.19 |
목회자 리더십 진단 (0) | 2016.12.16 |
목회자 리더십 진단 (0) | 2016.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