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성을 위한 ━━/Leadership

성공은 꿈꾸는 자의 것이다!

Joyfule 2019. 5. 7. 14:29
 

     우종철의 네트워크비즈니스 실전특강

     성공은 꿈꾸는 자의 것이다!

 

 

 “저는 지금까지 세계 어느 곳이든 안 가본 곳이 없을 만큼 다 가보았습니다. 그냥 여행이 아니라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그 나라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지도자와 전문가, 상류층과의 만남을 가졌습니다. 덕분에 많은 것을 배웠습니다. 하지만 제 인생에 가장 값진 배움은 네트워크마케팅입니다.”


외교관인 아버지 덕분에 유아기부터 세계 각국을 다니며 경험과 지식을 풍족하게 쌓아온 유현철 씨. 평생 동안 1년에 평균 2~3번꼴로 새로운 나라에서 생활을 한 덕분에 세계 각국에 친구도 많아졌다.

일흔 살이 넘은 노년인데도 40대 중반 정도로 보일만큼 젊고, 활력이 넘치는 원인은 바로 그 다양한 각국 친구들과의 교류 때문이라고 한다. 민족, 역사, 인종, 언어, 지식, 문화 등 모든 것이 각양각색임에도 행복한 삶을 꿈꾸는 것이 모두 공통적이므로 서로를 위해 아끼고 사랑하는 마음을 나눴다고 했다.

그래서 주위사람이 부러워할 정도로 아무 걱정 없이 살아왔고, 항상 남을 도와주는 생활을 해 왔는데, 몇 년 전 어렸을 때 친구를 통해 미국에서 네트워크마케팅을 소개받게 되면서 고민이 생겼다고 했다. 진정으로 남을 도와주는 것이 무엇인지 새롭게 깨달았기 때문이라며….


끊임없이 더 나은 방법을 찾아라

유현철 사장은 ‘고기를 잡아주는 것이 아니고, 고기 잡는 방법을 알려주는 것이 진정으로 도와주는 것이다’라는 진리를 깨닫고 그동안의 삶을 되돌아보며 늦은 나이지만 다시 시작해야겠다는 생각으로 열심히 활동을 했다.

하지만 네트워크비즈니스는 생각처럼 쉽지 않았다. 이론대로라면, 좋은 제품 애용하며 신나게 자랑하고 알리며, 비즈니스에 관심 있는 사람들과 팀을 이뤄 조직을 만들어 가고, 점점 더 그 조직을 확대시켜 결국 세계 각국에 수많은 팀을 이루는 것이다.

그 수많은 사람들이 매번 사용하는 제품의 로열티를 인세수입처럼 받는 덕택에 백만장자도 될 수 있는 것이 바로 네트워크비즈니스 아닌가? 그런데 네트워크비즈니스에 참여한 많은 사람들이 성공하기 위한 대가는 충분히 치르지 않고, 편법과 요령으로 결과만 빨리 내려고 욕심내는 것을 유현철 사장이 보게 됐다.

그로 인해 네트워크비즈니스에 대한 사회적인 인식도 나빠지고, 떠나거나 포기하는 사람들까지 생기고, 심지어는 사회에 물의를 일으키는 사람도 생겼다. 이런 현상들을 지켜보면서 유현철 사장은 네트워크비즈니스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인성 교육이라는 것을 뼈저리게 느꼈다.


그 후 각종 세미나, 워크숍에 쫓아다니며 좋은 교육이란 교육은 거의 마스터하다시피 했다. 그리고 배운 것을 정리해 파트너들에게 다시 교육하며 특히 리더십에 대한 부분을 강조했다. 결과는 대단했다. 타 그룹보다 빠른 발전은 물론이고 많은 리더가 배출됐다.

덕분에 인정받는 최고 리더가 돼 회사에서는 성공한 모델로 손꼽히게 됐다.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그 신화는 퇴색되기 시작했다. 배출된 리더 중에서 몇몇 리더가 너무 강한 색깔을 띠자 주위로부터 반발이 거세게 일었고, 급기야 적지 않은 인원이 팀에서 이탈됐던 것이다. 

유현철 사장은 다시 깊은 고민에 빠졌다. ‘도대체 뭐가 문제일까? 교육도 그 어떤 그룹보다도 많이 했고, 훌륭한 강사들도 초청해서 좋은 교육도 많이 받았고, 승급하는 사람들에게는 포상이나 상품도 흡족하게 해줬는데….’ 

며칠 동안 곰곰이 생각해보니, 그동안 리더들에게 전수했던 교육내용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좋은 지식과 정보를 통해 참여한 사람들에게 비즈니스에 대한 자신감과 방법은 풍부하게 알려줬지만, 가치 있는 삶에 대한 교육이 부족했던 것이다.

‘진정으로 원하는 미래의 삶은 무엇인지?’ ‘어떤 일을 할 때가 가장 좋은지?’ ‘어떤 사람으로 이 세상에 알려지기를 바라는지?’ ‘무엇을 소유했을 때 행복하다고 느낄 수 있는지?’ 등등 각자 바라는 인생을 생각할 수 있는 교육. 그리고 그 삶을 영위하기 위해 네트워크비즈니스는 어떤 의미가 있고,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교육이 필요했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