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개혁자의 신학.
개혁자들의 신학을 여러가지 각도에서 분석할 수 있으나 가장 기본적인 것을
도표화 하면 다음과 같다.
구 분 루 터 쯔 빙 글 리 칼 빈
신 학 중 심 그리스도중심 신의지 중심 신의 절대 중심
근 본 원 칙 이 신 득 의 이 신 득 의 신의 절대 주권
성 찬 론 공 재 설 기 념 설 영적 임재설
국가와의 관계 교회는 국가에 민주헌법,교권 국가와 교회 분리
복종 배격
7. 제세례 파 (Anabaptist)
1) 기원
(1) 종교개혁 이전부터 독일,화란,이태리 등지에 흩어져 있던
개혁 신앙을 소유한 적은 무리들.
(2) 동기는 초대 교회 형태로 교회를 회복시키자는 의도였다.
(3) <재세례파>란 명칭의 유래는 유아 세례를 부인하고
장년 세례만을 주장하는 데서 나옴.
(4) 중세 교회의 조직,의식, 예전을 반대하고 예배하는 자국어로 하고 기도에 힘씀.
(5) 교회는 신앙을 고백한 자들의 집단체라고 주장.
2) 주장
(1) 1527년에 아우크스부르크에서 총회가 회집되어 재세례파 교회를 조직.
(2) 교회 정치는 목사, 장로, 집사직을 두었다.
(3) 대표자는 발다자르 휘브마이어 (Balthasar Hubmaier)와 한스 뎅크(Hans Denk)이다.
3) 신앙
(1) 초대 교회의 신앙 생활을 모방.
(2) 신앙적 의식을 가지고 신앙 고백을 할 때라야 세례의 의의가 있다고 주장
(유아 세례 반대)
(3) 무저항 주의
(4) 국가 지배 반대,세금 납부 반대.
(5) 예정론을 배격하고 자력 구원설 주장.
(6) 그리스도의 산상 설교나 말씀을 문자대로 복종하려고 노력함.
(7) 예배는 단순하고 신앙은 의식적이어야 한다고 주장.
4) 결과
(1) 로마교,루터파,칼빈파의 반대로 박해를 받음.
(2) 오늘의 침례파 형성은 재세례파의 발전에서 온것임.
8. 로마 교회의 부흥과는 예수회
개신교의 개혁 운동에 대항하려는 로마 교회의 반종교 개혁
(Counter Reformation)으로서 로마 교회의 부패를 정화하고,
규율을 바로 잡으며 교리적으로는 종래의 입장을 계속 유지하려는 운동이다.
1) 기원
(1) 히메네스 (Ximenes, 1436-1517)
a. 로마에서 수학하고 프란체스코 교단에서 엄격한 신앙 생활을 하였다.
b. 1495년 톨레도 (Toledo)의 대감독이 되었고 스페인 교회의 머리가 되었다.
c. 그는 교회의 정화,대학의 설립,아퀴나스 신학에의 복귀에 최선을 다하였다
(2) 캄페기오 (Camperggio)... 1524년에 남부 독일에서 개혁 운동을 전개하였다.
(3) 콘타리니 (Contarini)와 카랍파 (Caraffa)...이탈리아를 중심으로 개혁 운
동에 종사함, 카랍파가 1555년 바울 4세로서 교황이되자 도덕 혁신, 예배
의 진흥,재정의 정리에 힘을 쏟음.
2) 창설자
이그나티우스 로율라(Ignatius Loyola)
(1) 1491년 스페인 귀족의 아들로 태어남 (로율라는 성 이름임).
(2) 무사 교육을 받고 통솔력을 키움.
(3) 1521년 전쟁에서 중상을 당해 입원 중 성자전을 읽다가 헌신하기로 결심함
(4) 37세때 파리 대학에 입학하여 철학과 신학을 연구함.
(5) 이들은 팔레스티나에서 고생하는 기독교인을 보호하고 로마 교회에 충성을
맹세하였다.
3) 예 수 회 ((라) Societas Jesu, (영) Jesits)
(1) 정의...로마 교회 안에서 생긴 수도사의 단체로서 일정한 규칙 생활을 하고
전도하며 이단과 싸우고 이교도들을 개종시키기에 힘쓴 결사 단체임.
(2) 로욜라가 규합한 6명의 동지로 출발
(3) 1540년 9월 27일 교황의 재가를 얻음 (단원 60명으로 출발)
(4) 강령은 절대 복종,2년간 예배 훈련 (금욕적 고행과 노역), 학생(5년)
부사원 (교수와 수학,5년) 정사원 (신학 연구,4년) 등 모두 16년간 수련을
받음,복종,빈곤,독신의 이들의 3대 서약임.
(5) 세력 확장의 방법
a. 고백을 들음(정치상 기밀을 들음으로 확장의 기회로 활용)
b. 교육 (대학 경영, 상류 사회를 이끔)
c. 외국 선교 (크게 성공함)
ㄱ.프란티스코 하브예르 스페인 (Francis Xavier,1506-1552)... 인도,
스리랑카,일본 등지에 선교.
ㄴ. 맛테오 릿치(Matteo Ricci)...중국,브라질,유럽 아이 등지에 선교.
4) 결과
(1) 로마 교회의 내부 각성
(2) 개신교 영향을 줌.
9. 트렌토 (Trento) 회의
1) 동기
(1) 소집자...교황 바울을 3세 (황제 카알 5세의 청원으로)
(2) 시일... 1545-1663 (18년간,5대 교황이 교체됨)
(3) 세계 종교 대회로서 19회 째임.
(4) 의제
a. 황제편에서... 교회의 개량,신교와 가급적 타협을 주장.
b. 교황편에서...신교 혼동 방지를 위해 교리 제정을 주장.
2) 회의
(1) 제 1 기...1545-1549.9.17 교리 문제에 치중하여 교황과 황제의 충돌을 피
하기 위해 무기 정회 (1547.3.전염병으로 볼로냐 (Bologna)로 옮겨 모임).
(2) 제 2 기...1551-52 율리우스 3세에 의해 트렌토에서 열리게 되었다.
(황제의 타협 정책)
(3) 제 3 기...1562-63,피우스 (Pius) 4세가 회의를 소집함. 비타협파가 주도
권을 장악하였다.
3) 결의
(1) 제 1 기...성경과 교회 전통의 동권, 세례,견신을 인정.
(2) 제 2 기...성찬,참회,예전을 인정.
(3) 제 3 기...생사자간의 중보기원 유효, 성자 숭배,속죄표 인정.
4) 결과
(1) 로마 교회의 수뇌급 인사들이 대거 참석함.
(2) 비타협적이며 신교의 언권을 봉쇄.
(3) 로마 교회 교리 재확인.
(4) 교회 규율을 바로 잡음.
(5) 로마 교회의 개혁 운동과 전도 운동의 계기를 마련 (신학교와 감독 선거
에 개혁이 옴).
5) 공포
1564년 피우스 4세에 의해 공포됨.
10. 스칸디나비아의 종교 개혁.
1) 스위덴의 종교 개혁
(1) 구스타프 파사 (Gustav Vasa)가 독일 망명시에 루터를 만났고 왕이 된 후
에도 계속 교류를 하였다.
(2) 울라프 페터손 (Olaf Pesterson,1499-1573), 라아스 페터손 (Lars Peter-
son)라아스 안도손 (Lars Anderson,1480-1552) 등은 스웨덴 종교 개혁의
3대 인물로서 신약을 번역하였다.
(3) 국왕은 1527년에 국회를 소집하고 루터파 예배의 자유를 허락하였다.
2) 덴마아크의 종교 개혁
(1) 왕 크리스찬 2세가 루터주의를 찬송하는 정치 채택.
(2) 한수 타우젠 (Hans Tausen, 1494-1561) 이 덴마아크의 궁전 목사로서
1530년 동지들과 함께 43조의 신앙 고백을 제정하였고, 교회 정치를 루터
식으로 함.
3) 노르웨이의 종교 개혁
왕의 권력으로 종교 개혁을 단행하였다.
4) 아이슬란드의 종교 개혁
깃세르 아이나르센 (Gisser Einarsen ) 이 1540년 스칼홀트 (Skal holt)에
서 루터 교회 감독이 되어 개혁 사업을 단행하였다.1554년에 신교가 이 섬
을 지배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