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성을 위한 ━━/기독교자료

[스크랩] 기독교근세사 5. 칼빈의 개혁 운동

Joyfule 2006. 4. 17. 07:20
5. 칼빈의 개혁 운동 1) 생애 (1) 1509년 7월 10일 파리 동북방에 소재한 느와이용(Noyon)에서 5형제 중 둘 째로 출생함. (2) 부친 제라드(Jhon Gerad)는 법률가로 감독.서기로 근무 했고,모친은 경건 한 신앙인이었다. (3) 1523년 8월에 파리 대학에 입학.라틴어,철학,인문 과학을 공부함. 졸업 때 에 법과를 전과함. (4) 1533년 11월 1일에 친구 니콜라스 코프(Nicholas Cop)가 파리 대학 학장으 로 취임 할 때 취임 연설의 기초자로 복음주의를 강조하였다. 그 결과 코 프는 바젤로 피난하고 칼빈은 앙궐렘(Anguleme)의 뒤틸레(Du Tillet)의 집 에 피신하였다 이 집은 은퇴 교역자의 집으로 윤곽을 잡았다. (5) 1535년 바젤에서 역사적 명저인 <기독교 강요> (Institutio Religionis Christianae)를 발행하였다. (6) 스트라스부르로 가는 도중 제네바에서 파렐 (W.Farel)를 만나 제네바에 영원히 머물며, 개혁 사업에 종사하였다. (7) 1540년 8월 네덜란드에서 피신해 온 과부와 결혼하였다. (8) 1564년 5월 24일 55세의 일기로 사망하였다.그는 분주한 개혁 사업 속에서 과로로 신체가 허약 하였는데, 수년간 1일 1식을 하였고 매일 설교하며, 주 3회 신학강의를 하고 저술에 종사하는 한편 외국의 신앙 동지들과 연락 하는 등 과로 속에서 지냈다. 2) 제네바의 개혁 운동 (1) 개혁전의 정치 조직 a. 제네바시는 자치권이 있었다. b. 시정을 세 종류의 의회 (평의회,200인 의회, 시민 총회)에 의해 지배됨. (2) 제네바의 개혁 운동 a. 1521년경에 루터의 저서가 제네바에 전달되어 개혁 운동의 기운이 가득하 였고, 1532년에는 일반인의 동요가 있었다. b. 파렐(Farel)의 베른 개혁 운동이 성공하여 제네바가 개혁당에게 힘과 자극 을 주었다. ㄱ.200인 의회는 미사를 금했다. ㄴ.풍속 개량과 규율을 엄해 지켰다. c. 팔렐과 칼빈의 개혁 운동 ㄱ.칼빈은 3인의 목사중 1인 ㄴ.시민들의 반항으로 의회는 파렐과 칼빈의 추방을 결의 ㄷ.스트라스부르에서 3년간 성경 주석 집필 ㄹ.1541년 신파의 집권으로 다시 초청되어 23년간 머무르며 개혁 운동에 전 력하였다. 처음 13년을 고전하였으나 후기 10년은 성공적인 개혁 사업을 전개하였다. 3) 칼빈의 개혁 사업 칼빈의 이상은 정교 일치로 신정 건설에 있었다. (1) 교회법 제정 a. 교회 정치...감독없이 국가의 간섭을 받지 않는다. b. 교회 직원...목사 (목사회가 선정하고 시의회에 회부,교회의 동의로 확정) 장로 (교회 정치 담담), 집사 (회계와 구제사업 담당) c. 교인...전 시민이 교인으로 신앙 고백을 하여야 했다. (2) 평의회 조직 a. 목사 5인,장로 12인으로 조직된 풍속.도덕 취체 기관으로 매주 1회 회집 하였다. b. 칼빈은 목사 회원이었으나 성경 특별한 지위를 가지고 있다. c. 교회 추방권이 있었고 1542-46년 사이에 58명 사형,76명 추방의 결정이 있 었다. (3) 사업 부흥을 위하여 견직 공업을 장려하였다. (4) 시민 교육을 위해 대학을 설립함. 4) 저술 활동 (1) 기독교 강요 (2) 신구약 주석 (3) 문답서 (4) 설교, 서신 (5) 세네카의 주해 등. 5) 칼빈의 신학 사상 (1) 사상 a. 신학의 기초는 하나님의 절대 주권과 하나님의 섭리 주장, 그리고 인간과 의 밀접한 관계에 두었다. b. 성찬론은 기념설을 주장하였다. (2) 신앙 5개 신조 a. 인간의 전적 타락 b. 무조건적 예정. c. 제한된 선택. d. 불가항력적 은총. e. 성도의 견인. 6) 칼빈이 유럽에 끼친 사상적 영향 (1) 영국 a. 청교도들에 의하여 가톨릭식의 의식과 미신적 예식 일소. b. 청교도 신앙을 배양 c. 후우퍼,(Hooper), 험프리 (Humphrey) 밀톤 (Milton) 번연 (Bunyan)등을 배출. (2) 스코틀랜드 a. 패트릭 해밀턴 (Patrick Hamilton)과 조오지 위셔트 (G.Wishart) 에 의하 여 개혁의 봉화가 일어났다. b. 존 녹스 (John Knox)에 의하여 1506년 개혁 교회가 법적으로 인정을 받았 다. (3) 프랑스 a. 위구노 (Huguenots) 가 활동, 그 중심 인물은 페르베였다. b. 1572년 성 바돌로매 (St,Bartholomew) 전야제에 위구노 대량 학살이 있었 다. 1598년 앙리 4세의 난트(Nantes) 칙령에 의하여 신교의 자유를 획득 하였다. 7) 칼빈 사상이 발전한 원인. (1) 신학이 통일적이다. (2) 교회의 기치가 선명하다. 교회 정치는 세계 각국에서 적용하여도 편리한 점이 많다. (3) 기독교 생활 훈련에 치중하여 실효를 거두었다. (4) 재세례파,루터파,쯔빙글리파들을 넓게 포용하였따. (5) 훌륭한 테오도르 베자 (Theldore Beza)와 같은 후계자가 있었다.
출처 : Joyful garden
글쓴이 : Joyful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