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성을 위한 ━━/유용한자료

아스피린, 얼마나 오랜 기간 먹어야 하나?

Joyfule 2017. 1. 21. 22:51

 

 

아스피린, 얼마나 오랜 기간 먹어야 하나?

 

 

 

윤방부

  • 선메디컬센터 재단회장 겸 국제의료센터 원장

    E-mail : younbb77@hanmail.net

  • 미국 미네소타대 가정의학전문의,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가정의학과 ..

  • 한국인이 소비하는 약의 양이 세계 5위라고 한다. 이렇듯 약을 많이 먹기도 하고 또 약을 좋아한다.

    그런데 거꾸로 약에 대한 의심과 불신이 많기도 하다. 심심찮게 진료실을 방문한 환자들에게 듣는 질문 중 하나가 이 약 꼭 먹어야 하나요? 그리고 언제까지 먹어야 하나요? 이다. 환자들은 특히 고혈압, 고지질혈증, 골다공증 등에 대해 언제까지 약을 먹어야 하느냐고 자주 묻는다. 대답은 일생 동안, 명(命)을 다할 때까지이다.

    최근 10여년 이내에 또 많이 먹는 약 중의 하나가 ‘아스피린’이다. 핏줄이 막히는 것을 막기 위해 처방되어 50세 이상 특히 60세 이상은 3분의 2정도가 이 약을 복용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아스피린 중 어린이용 아스피린을 혈전 등 예방약으로 처방하는데 언제까지 먹어야 하느냐고 묻는다. 대답은 ‘일생 동안’이다.

    우선 아스피린(어린이용)에 대해 알아보겠다. 아스피린은 오래된 약이다. 1899년에 상품명으로 등록되고 아스피린이 출시되었으니 100년도 넘은 셈이다. 아세틸 살리실산이 아스피린의 성분인데, 이는 버드나무 껍질에도 많이 있다. 히포크라테스는 이미 2500년전부터 버드나무 껍질을 치료에 이용했다고 하며, 고대 인도나 중국, 그리스와 같은 오랜 역사를 가진 나라들에서도 버드나무를 진통제로 사용했다고 하니 아스피린은 어찌보면 아스피린이 나오기 전부터 사용된 셈이다.

    아스피린, 얼마나 오랜 기간 먹어야 하나?

     

    1897년 바이엘에서 이를 합성하는데 성공한 뒤로 가정용 상비약으로 전 세계에 100년 이상 사용되었다. 1915년부터는 처방전 없이 구입할 수 있는 진통제가 되고 미국에서 베스트셀러로 등극되었으며, 1950년에는 가장 많이 팔린 의약품으로 기네스북에도 등록되었다고 한다.

    이전에는 해열제, 진통제, 소염제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다가 1948년 아스피린의 항혈소판 효과가 발견된 이래로 뇌혈관질환, 심혈관질환에서의 사용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어졌고,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남성의 뇌졸중 또는 일과성 허혈(TIA)의 재발방지를 위한 아스피린 사용을 승인했다. 미국심장학회(American Heart Association)는 심근경색의 병력이 있는 환자의 재발방지를 위해 매일 저용량 아스피린을 복용할 것을 권고했다. 현재는 많은 국가에서 비슷한 목적으로 아스피린이 승인되고 널리 사용되고 있다.

    기존의 해열, 진통 작용에 필요한 아스피린의 성인 용량은 500mg였지만, 100mg 정도로도 복합적 심혈관 위험인자를 가진 환자에서 심혈관 혈전을 예방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이어져 저용량 아스피린이 출시되었다. 저용량 아스피린의 기준은 나라마다 조금씩 다르다. 가령 영국의 저용량 아스피린은 75mg, 미국의 경우에는 81mg이다. 미국에서는 이 81mg을 아기용(Baby Strength)이라고 하는데, 대개 어린이에게 아스피린을 처방할 때 사용하는 용량과 비슷하기 때문이다. 중년 이후의 여성들을 대상으로 한 WHI(Women's Initiative) 연구에서는 저용량 아스피린이 심혈관계 질환에 의한 사망률을 25%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스피린이 혈소판 응집을 차단해 혈전 생성을 저해하기 때문이다.

    뇌혈관질환, 심혈관질환(협심증, 심근경색)은 혈전(피떡)이 혈관을 막아서 발생하는 병이다. 고혈압, 당뇨병, 동맥경화 등의 결과로 혈관 내피에 염증이나 손상이 발생하며, 염증세포들이 엉겨 붙어 혈관 벽에 축적된다. 이것이 점점 커져 덩어리를 이루다 갑자기 파열되면 지혈작용에 관여하는 혈소판들이 상처 부위를 차단하기 위해 엉겨 붙기 시작한다. 혈소판들이 서로 달라붙음으로써 혈전이 생기고 혈관이 막히게 된다. 심장이나 뇌로 가는 혈관이 막히게 되면 막힌 뒷부분의 심장조직이나 뇌조직이 괴사되어 협심증, 심근경색 또는 뇌경색 등을 초래하게 된다.

    100년 이상 사용된 약이지만, 무조건 안전한 것만은 아니다

    가장 흔한 부작용은 위장장애로, 고용량을 장기간 복용한 경우에 약 5%에서 발생한다. 관절염 등으로 스테로이드제나 소염제를 복용하는 경우 발생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런 경우 음식을 섭취한 후에 복용하는 것이 좋으며, 카페인 음료 등과 같이 복용하는 것은 피해야 한다. 시판되는 아스피린제제 중 특수하게 코팅된 장용정을 복용하는 경우에는 위장장애 발생률이 감소할 수 있다. 장용정은 위장 보호를 위해 장까지 가서 분해되도록 만든 약이므로 부숴서 복용하거나 씹어 먹으면 안 되고, 우유와 복용해도 안 된다.

    가장 주의해야 할 부작용은 위장관출혈이다. 특히 다른 진통제와 병용할 경우에 위험이 더 증가한다. 따라서 위궤양이 있거나, 그 밖에 내시경 검사에서 위에 문제가 있었던 경우에는 신중하게 사용해야 한다.

    드물지만 매우 심각한 부작용으로는 Reye 증후군이 있다. 이는 지방간과 급성 뇌증을 특징으로 하며, 고열, 또는 다른 질환이나 감염증이 있는 소아와 청소년에게 아스피린을 사용할 때 발생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미국 FDA에서는12세 이하의 열이나는 소아에게 아스피린을 금지시켰으며, 영국에서도 의사 지시 없이 16세 이하의 소아에게 아스피린이나 이를 포함한 약물을 금지시켰다.

    아스피린에 의한 알레르기 반응은 드물긴 한데 쇼크를 일으킬 수 있다. D알레르기를 경험한 적이 있다면 아무리 적은 양이어도 복용해선 안 된다.
    또한, 지혈을 지연시키기 때문에 치과 진료나 외과 수술을 받을 때에는 반드시 담당의사에게 아스피린 복용 사실을 알리고 진료나 수술 전 복용을 일주일 정도 중단해야 한다.

    이런 부작용 외에 주의해야 할 몇 가지가 있다. 우선 술을 마시는 경우에는 위장관 출혈의 부작용 빈도가 더 높아지기 때문에, 음주는 피하는 것이 좋다. 고용량의 비타민 C(8-10g)과 병용할 경우에는 아스피린의 배출을 감소시켜 아스피린의 효과가 커질 수 있으며, 소염진통제의 일종인 부루펜(ibuprofen)과 같이 먹는 경우에는 아스피린의 심혈관계 및 뇌졸중 보호 효과가 사라질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스테로이드 계열의 약물을 복용하는 경우에는 아스피린의 혈중 농도가 감소하기도 하는 등 여러 약물과 상호작용을 하기 때문에 복용중인 약물이 많은 경우라면 아스피린 복용 전 반드시 주치의와의 상담이 필요하다.

    그 외에 대장암을 비롯한 일부 암을 예방한다는 연구 결과나 치매 위험을 감소시킨다는 연구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고 언론을 통해 소개되고 있지만 아직은 그 근거가 부족한 상태다. 현재는 관상동맥질환의 위험인자를 갖고 있는 경우에만 저용량의 아스피린이 권고되고 있다.

    아스피린(Baby)을 복용하는 환자는 환자거나 환자가 아니거나 어떤 목적으로 사용하던지 간에 복용하는 것이 훨씬 본인에게 유리하다는 것을 확신하기 바란다. 그리고 일생동안 먹는 것임을 기억하자.


     

    글주소;http://cafe.daum.net/spdprpvuswlfmf/Fm45/95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