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대학 핸드북 - 제3장 랍비유대교
3.8.1. 유대교에 있는 신비주의
사람들은 랍비들에게 종종 이런 질문을 한다고 한다. “유대인들은 하늘 나라와 지옥을, 천사나 악마를 믿습니까? 죽음 이후 영혼은 어떤 일을 당합니까? 하나님과 이 우주의 본질은 무엇입니까?” 랍비 유대교는 이런 우주론적인 질문에 대해 매우 포괄적인 태도로 대답을 한다. 개인적인 견해를 존중하려 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런 문제는 주로 카발리즘과 유대 신비주의가 다루고 있다. 유대인들은 40세가 되지 않는 사람들에게 카발리즘이나 유대신비주의를 가르치지 않는다. 40세가 되기 전에는 토라나 탈무드에 대한 지식을 쌓아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신비주의와 신비한 경험들은 고대로 부터 유대교의 한 부분이었다. 토라는 천사의 초청에서 부터 예언자들의 꿈과 이상에 이르기 까지 신비한 경험들로 충만한 책이다. 탈무드는 영혼이 육체에 붙을 때 비로소 실체로 나타나게 된다고 한다. 유대교 전통에 따르면 토라가 주어 지는 시내산 바로 그 장소에 모든 과거와 현재와 미래의 모든 유대인들의 영혼들이 있었으며 그 영혼들은 모두 토라에 동의했다고 한다.
유대인들은 신비적인 것을 성숙한 사람들에게 가르치지만 그것을 글로 남기지는 않는다. 탈무드도 매우 애매한 말로 신비주의를 기록하고 있다. 하지만 고대 신비주의 자료들로 부터 ‘마아세흐 베레이쉬트’(창조의 사역)와 ‘마아세흐 메르카바흐’(에스겔의 이상의 마차의 사역)에 이르기 까지 신비주의 자료들은 얼마든지 많이 있다. 중세에는 ‘쪼하르’같은 신비주의적인 책들이 저술되었다. 이것들은 고대의 신비주의적인 기록들을 집대성한 것이었다.
랍비 유대교 신앙의 많은 주제들과 마찬가지로 신비주의도 개인적인 해석을 수용한다. 하시딤에게 있어 신비주의는 아주 중요하다. 예컨데 하시딤의 기도집에는 신비주의자들의 주장이 일정하게 수록되어 있다. 어떤 사람들은 신비주의를 참고할 뿐이라고 하며 또 다른 사람들은 신비주의를 가치 없는 것이라고 매도한다. 신비주의는 ‘카발라’로 알려져 있다. 카발라는 ‘받아들이다’란 의미이다. 히브리어의 이 단어는 결코 어둡거나 악한 의미를 갖지 않는다. 그러나 영어에서 ‘카발’은 음모 또는 비밀 결사로 해석된다.
3.8.2. 카발라: 잘 못 이해된 교리
카발라는 가장 잘못 알려진 유대교의 얼마 안되는 교리들 가운데 하나다. 많은 사람들은 카발라를 유대교의 어두운 면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중세 문예 부흥기에 살았던 기독교의 식자층 사람들에게 카발라는 인기가 있었고 이들은 카발라를 기독교 교리에 맞도록 재해석 하기도 했다.
예컨데 오늘날 뉴에이지 책방에서 발견할 수 있는 ‘카발라 데누다타’는 열개의 세피로트를 말하고 있는데 기독교 지도자들은 이것을 삼위일체를 설명하기 위해 채택 하기도 했다. 이것이 가끔 세 개의 그룹으로 나뉘어지기 때문이다. 세피로트는 세 개의 그룹 뿐만 아니라 더 많은 그룹으로 나뉘어 지기도 한다.
카발라의 가장 비밀스러운 부분은 ‘실천적 카발라’로 알려져 있으며 이것은 ‘마법’이라고 불리워졌을 정도로 세상에 영향력을 나타냈다. 탈무드는 초자연적인 힘을 발휘했던 랍비들에 대하여 말하고 있다. 어떤 랍비들은 하늘에 올라 하나님과 천사들과 함께 토론을 했다고도 한다. 어떤 학자는 하나님의 많은 이름들을 대다가 사람을 창조하기도 했다고 한다. 후세의 한 이야기에 따르면 어떤 랍비는 진흙으로 사람을 만들어서 하나님의 이름이 적힌 종이를 입에다 놓음으로써 생명을 주기도 했다고 한다. 그러나 이런 허무맹랑한 이야기가 카발라의 본질은 아니다. 카발라에서 가장 중요한 메시지는 이런 신비하고 기괴한 일들이 바로 하나님의 힘으로 일어났다고 말하려 했다는 점이다.
3.8.3. 하나의 ‘소프’와 열의 ‘세피로트’
카발라의 본질을 이렇게 설명할 수 있다. 하나님에 대한 개념을 하나의 ‘소프’라 하고, 10 개의 ‘세피로트,’ 그리고 생명의 카발라 나무를 등장시킨다. 창세기 1장 27절을 형상화 했다고 보면 된다.
카발라에 따르면 하나님의 본질은 설명할 수 없는 어떤 초월적인 것이다. 이것이 ‘소프’다. 이것은 ‘끝없음’이란 의미로 시간이나 공간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능력의 한계가 없다. 소프는 우주를 다스리면서 10 개의 세피로트와 관계를 맺는다. 세피로트는 하나님의 본질을 부분적으로 설명하는 것이기도 하다.
세피로트는 케테르(왕관), 호크마흐(지혜), 비나흐(이해), 헤세드(자비) 또는 게둘라흐(위대함), 게부라흐(힘), 티페레트(영광), 네트짜흐(승리), 호드(위엄), 예소드(기반), 말쿠트(주권)를 말한다. 이 가운데 다섯 가지는 역대상 29장 11절에 언급되어 있다. 열의 세피로트는 남성과 여성의 가치를 포괄한다. 카발라는 하나님의 여성적인 면에 많은 관심을 갖는다. 세피로트는 옆의 그림과 같이 표현된다. 이것을 생명의 세피로트 나무, 또는 생명의 카발라 나무라고 한다. 이 나무의 특징은 각 속성이 서로 기여하며 서로 관련한다는 것이다. 세피로트는 그 나름대로 또는 통합하여 우주에서 활동한다. 세피로트는 인간을 포함 삼라만상과 교통한다. 세피로트에 대한 구체적인 공부는 유대학의 신비주의 부분 즉 카발리즘에서 따로 하기 바란다.
'━━ 지성을 위한 ━━ > 이스라엘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대학 핸드북 - 제3장 랍비유대교 (0) | 2013.11.09 |
---|---|
이스라엘 역사 정리 (0) | 2013.11.09 |
이스라엘 역사 정리 (0) | 2013.11.08 |
유대학 핸드북 - 제3장 랍비유대교 (0) | 2013.11.07 |
이스라엘 역사 정리 (0) | 2013.1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