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대학 핸드북 - 제5장 유대인의 글과 상징과 행동
5.11.1. 개요
유대인들은 다가올 세계에서는 모든 족속의 의로운 자들이 처소를 얻는다고 생각한다. 이것은 탈무드 시대 이래로 유대인들이 지녀 온 생각이다. 유대교는 일반적으로 기독교인이나 무슬림이나 그들이 믿는 신은 유대인들이 믿는 신과 같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유대인은 자기 신을 열심히 섬기는 자는 유대인 신의 눈에도 의로운 자라고 여긴다. 탈무드에 따르면, 하나님께서는 이 지구의 모든 백성들에게 토라를 주셨는데 오로지 유대인들이 그것을 받아 들이고 보전했다고 한다. 하나님께서는 모든 유대인들을 모아 시내산에서 그들에게 토라를 주셨다 (출애굽기 19장 17절). 또 다른 전통에 따르면 하나님께서 유대인을 택하신 이유는 그들이 가장 낮은 자리에 처했기 때문이다. 유대인들의 성공은 그들의 찬란한 능력 때문이 아니라 하나님의 전능하심 때문이라는 것이다.
유대인들이 토라를 받아 들였기 때문에 하나님의 눈에 그들이 특별한 존재가 되었다고 한다. 그런데 토라를 포기했을 때 그들은 그런 지위를 잃어 버렸다. 유대인들이 받는 복은 토라와 함께 한다. 이 점에서 유대인들은 다른 족속보다 더 큰 책임을 지닌다.
유대인들은 토라에 언급된 613개의 율법을 지켜야 한다. 하지만, 유대인들은 이방인들은 노아에게 주셨던 7가지 율법만 지키면 된다고 한다. 이런 점에서 이방인에게는 죄가 되지 않는 것이 유대인들에게는 죄가 될 수 있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이를 유대인의 교만함으로 보기 보다는 책임감으로 보는 것이 옳을 것이다. 문제는 그 책임을 제대로 수행하고 있지 않는 것이다. 만약 유대인들이 선지자들의 저들을 위한 꾸중을 제대로 이해한다면 세계의 역사는 달라 질 것이다.
5.11.2. 노아에게 주신 7계명
유대교 전통에 따르면, 하나님은 노아와 그의 가족에게 그들을 홍수로부터 구원하실 때 7가지 계명을 주셨다. 이 계명은 창세기 9장에 있다. 즉, 1) 공의의 재판정을 만들 것, 2) 불경의 죄를 범하지 말 것, 3) 우상숭배를 하지 말 것, 4) 근친 상간의 죄와 간음 죄를 짓지 말 것, 5) 피흘리지 말 것, 6) 강도짓을 하지 말 것, 7) 살아있는 짐승의 살을 떼어 내서 먹지 말 것.
이 계명은 세상의 모든 사람들의 도덕적 원리이다. 어느 누구라도 이 계명을 지키면 오는 세계에서 처소를 얻을 수 있다. 그런데 토라의 613개 계명은 시내산에서 토라를 받은 사람들과 그들의 자손에게만 적용되는 것이라고 랍비 유대교는 주장한다. 노아의 계명은 유대인들의 토라보다 관대한 것이어서 이방인들도 지킬 만 하다. 오늘날 유대인들 가운데도 노아에게 주신 계명만 주목하자는 운동이 있다.
5.11.3. 고임, 쉭크사스, 쉬쿠트찜
비 유대인을 일반적으로 '고이'라 부른다. 고이는 민족이란 의미다. 그리고 고임은 그 복수형이다. 고임은 이스라엘의 자손이 아닌 자들을 일컫는 말이다. 출애굽기 19장 6절을 보면 고이는 이스라엘 백성을 일컫는 말이었다. 그러나 유대인들이 이방인들로부터 너무 심한 박해를 받고 살면서 고이를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 했다. 유대인들은 이방인 여자를 쉭크사, 이방인 남자를 쉬쿠트쯔라고 한다. '지긋지긋한' 또는 '혐오스런'이란 의미다. 쉭크사는 유대인 남자와 사귀고 있거나 혼인 한 이방인 여자다. 쉬쿠트쯔는 반(反) 유대적인 남자를 일컫는 말이다. 오늘날 이 단어들은 그 의미가 그리 심각하지는 않다. 그리고 유대인들은 이런 말을 사용할 때 조심하고 있다.
5.11.4. 비 유대교도와의 혼인
유대 전통은 비 유대교도와의 혼인을 금지한다. 토라는 이런 혼인 상태에서 태어난 아이들이 유대 민족 가운데서 끊어 질 것이라 말한다 (신명기 7장 3-4절). 그리고 실제로 비 유대교도와의 사이에서 태어난 아이들이 유대인으로 자라난 예는 드믈다. 이들은 대개 기독교인이나 무종교인이 되곤 한다. 유대인들 가운데는 비 유대교도와의 혼인을 히틀러의 유대인 말살과 같은 사악한 짓으로 여기는 자들도 있다.
5.11.5. 개종(改宗)
보편적으로 유대인들은 비 유대인들을 유대교로 개종하라고 권면 하지 않는다. 할라카에 따르면 랍비의 중요한 일 세가지 가운데 하나가 비 유대교도가 유대교로 개종하는 일을 말리는 것이다. 그렇게 하는 이유는 이방인은 노아의 7가지 계명만 지키면 되는데 유대인은 613개의 율법을 지켜야 하기 때문이다. 이 많은 율법을 지키기 보다 그저 이방인으로 남아 있으면 더 편하다는 단순하고도 친절한 이유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떤 이방인이 유대인 즉 유대교도가 되려고 한다면, 먼저 유대교와 율법 및 전통을 배우고 그것을 실천해야 한다. 이를 위해 특별한 과정에서 학습해야 하는데 이 기간은 적어도 1년 이상이다. 왜냐하면 유대 절기를 모두 경험해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학습 기간은 사람에 따라 다를 수 있는데 유대인 가정에서 자란 사람은 즉시 유대교도가 될 수도 있고 어떤 사람은 수 년이 걸리기도 한다.학습이 끝나면 개종자는 '베이트 딘'이라 하는 랍비들의 법정에 가서 진정 유대교도가 되려 하는 지를 시험받는다. 구술 시험을 통과하면 유대 전통에 따라 유대교도가 되는 의식을 치룬다. 만약 개종자가 남자라면 할례를 받는다. 그리고 남자와 여자 모두 영적인 정결례인 미크바 욕조에 들어가는 예식을 행한다. 개종자에게는 유대적 이름이 주어지고 유대인 공동체에 소개 된다. 이론적으로는 개종 예식이 끝나면 개종자는 유대인으로 태어난 사람과 같은 대접을 받는다. 하지만 개종 이전의 나쁜 습관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유대인 공동체 안에서 주목을 받고 산다.
'━━ 지성을 위한 ━━ > 이스라엘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마제국과 유대민족의 관계 (0) | 2014.02.18 |
---|---|
이스라엘의 生存秘密6가지 (0) | 2014.01.19 |
유대학 핸드북 - 제5장 유대인의 글과 상징과 행동 (0) | 2013.12.28 |
유대학 핸드북 - 제5장 유대인의 글과 상징과 행동 (0) | 2013.12.27 |
유대학 핸드북 - 제5장 유대인의 글과 상징과 행동 (0) | 2013.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