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의예지(仁義禮智) - 현시대의 효 사상
1.전통적 효행의 정의
효)에 대한 부모보은의 실천적 요체는 유사이래로 존중되여 왔다고 볼 수 있다.
인간은 동물과 달라서 그 본능만 가지고는 살수가 없고
선천적 부모 천륜의 사랑과 양육을 통하여 생존하며
사회 한 일원으로 성장해온 우리의 역사가 아니던가?
그러니까 부모가 계심으로 인하여 내가 존재한다는 천륜을 생각할 때
자식으로서 부모에 대한 은혜보답의 정성은
지극히 자연스럽게 우러나올 수 있다고 하겠다.
이것이 진정한 자율적 효도가 아니겠는가?
이 효도가 인간적 행실의 근본이라고 하는 것은 농경사회적 배경과
그 맥락을 같이하고 있다고 볼 때, 이 농경사회에서는
그 부모가 자식에 대한 모든 책임을 지고 있었다.
일상적인 생활방식 뿐만 아니라 농업에 대한 전통적인 방법과
그 습관적인 기술을 전수하는 동시에
종말에 가서는 그 가산 전부를 유산으로 전수하여 주게 된다.
그리고 문화가 널리 보급되지 못한 사회에서도 부모가 그 자식으로부터
풍부한 지식과 경험을 소유하고 기억하며 전승하는
고귀한 권위를 가지는 인격자로 존경을 받기도 했다.
그러므로 그 부모를 통하여 한 사람으로서의 인격이 성숙되고,부모은덕으로
사회적 생존이 가능하고 부모의 후광이 이 사회적 지위의 획득이 보장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회적 배경은 모든 부모를 모신 자식들에게
자연스럽게 인식되고 전수되어 왔다고 할 것이다.
2.산업사회의 효도개념
오늘날 산업사회의 특징이라면 모든 생활과 생산분야에서
고도의 전문적 기계화와 그리고 자본의 광범위한 활용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특징들에 의하여 산업에 있어서는 생산성의 향상에 주력하게 되고
생산성이 높은 사회가 되면 기성세대의 노약자는 노동력이 약하기 때문에
그 존재가치가 쇠퇴하게 된다.
특히 기술의 발전과 변화속도가 빠른 산업사회가 되면 지금까지 기성세대가 지켜온
그 지식이나 기술이라 할지라도 그것은 곧바로 낡은 것이 되어 쓸모 없는 것이 되므로
노인은 숙련적 기능이나 전달자로서의 역할은 불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변화는 가정에 있어서 그 부모의 위치를 부지부식간에 약화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 부모의 입장에서 보면 ‘내가 키운 자식인데 그들로 부터
대접을 못받느냐’고 과거의 사랑과 그 노고를 생각하게 되고
자식편에서는 ‘그야 부모로서의 도리를 다한 것 뿐이었고 현재로서는
부모께서 나에게 무엇을 해 주었습니까?’ 라는 입장이므로 과거 봉양에 대한
보은의 실천적 효도를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풍조와 경향이 있음을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