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감성을 위한 ━━/젊은이에게

인의예지(仁義禮智) - 현시대의 효 사상

Joyfule 2016. 9. 5. 11:22

인의예지(仁義禮智) - 현시대의 효 사상 1.전통적 효행의 정의 효)에 대한 부모보은의 실천적 요체는 유사이래로 존중되여 왔다고 볼 수 있다. 인간은 동물과 달라서 그 본능만 가지고는 살수가 없고 선천적 부모 천륜의 사랑과 양육을 통하여 생존하며 사회 한 일원으로 성장해온 우리의 역사가 아니던가? 그러니까 부모가 계심으로 인하여 내가 존재한다는 천륜을 생각할 때 자식으로서 부모에 대한 은혜보답의 정성은 지극히 자연스럽게 우러나올 수 있다고 하겠다. 이것이 진정한 자율적 효도가 아니겠는가? 이 효도가 인간적 행실의 근본이라고 하는 것은 농경사회적 배경과 그 맥락을 같이하고 있다고 볼 때, 이 농경사회에서는 그 부모가 자식에 대한 모든 책임을 지고 있었다. 일상적인 생활방식 뿐만 아니라 농업에 대한 전통적인 방법과 그 습관적인 기술을 전수하는 동시에 종말에 가서는 그 가산 전부를 유산으로 전수하여 주게 된다. 그리고 문화가 널리 보급되지 못한 사회에서도 부모가 그 자식으로부터 풍부한 지식과 경험을 소유하고 기억하며 전승하는 고귀한 권위를 가지는 인격자로 존경을 받기도 했다. 그러므로 그 부모를 통하여 한 사람으로서의 인격이 성숙되고,부모은덕으로 사회적 생존이 가능하고 부모의 후광이 이 사회적 지위의 획득이 보장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회적 배경은 모든 부모를 모신 자식들에게 자연스럽게 인식되고 전수되어 왔다고 할 것이다. 2.산업사회의 효도개념 오늘날 산업사회의 특징이라면 모든 생활과 생산분야에서 고도의 전문적 기계화와 그리고 자본의 광범위한 활용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특징들에 의하여 산업에 있어서는 생산성의 향상에 주력하게 되고 생산성이 높은 사회가 되면 기성세대의 노약자는 노동력이 약하기 때문에 그 존재가치가 쇠퇴하게 된다. 특히 기술의 발전과 변화속도가 빠른 산업사회가 되면 지금까지 기성세대가 지켜온 그 지식이나 기술이라 할지라도 그것은 곧바로 낡은 것이 되어 쓸모 없는 것이 되므로 노인은 숙련적 기능이나 전달자로서의 역할은 불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변화는 가정에 있어서 그 부모의 위치를 부지부식간에 약화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 부모의 입장에서 보면 ‘내가 키운 자식인데 그들로 부터 대접을 못받느냐’고 과거의 사랑과 그 노고를 생각하게 되고 자식편에서는 ‘그야 부모로서의 도리를 다한 것 뿐이었고 현재로서는 부모께서 나에게 무엇을 해 주었습니까?’ 라는 입장이므로 과거 봉양에 대한 보은의 실천적 효도를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풍조와 경향이 있음을 본다.



'━━ 감성을 위한 ━━ > 젊은이에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의예지 (仁義禮智) - 현시대의 효 사상  (0) 2016.09.06
다른 사람의 여행담  (0) 2016.09.05
여행의 뜻  (0) 2016.09.03
인의예지 (仁義禮智) - 효의 본질3  (0) 2016.09.03
여행이란  (0) 2016.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