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관 자료 ━━/인터넷성경

인터넷 성경 핵심 공부 (창세기에서 계시록까지) (73과)1

Joyfule 2009. 5. 14. 00:00

인터넷 성경 핵심 공부 (창세기에서 계시록까지) (73과)1

역대기(4): 유다의 멸망, 역대기신학


1. 유다 왕국의 종말(대하 36:2-20)

 1-1. 포로로 잡혀간 세 왕(36:2-10)

  불행하게도 요시야의 개혁은 지속적인 효과를 거두지 못했다. 요시야의 개혁은 심지어 자기 가족 안에서도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이어지는 두 왕은 모두 요시야의 아들이었지만 그들은 모두 여호와 보시기에 악을 행하였다. 이제 내리막 길로 치닫는 유다의 몰락을 막을 제동 장치는 남아 있지 않았다. 그리고 이로 인해 유다 왕국의 몰락은 신속하게 전개되고 있었다.

역대기는 유다의 마지막 네 왕에 대한 기사(36:2-10)를 불과 9절로 간단히 처리하고 있다. 역대기 기사의 자료는 열왕기하의 동일 사건들과 유사하면서도, 그 서술 방식에서는 역대기 안에서 그 유례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독특하다.

 

  첫째, 여호아하스, 여호야김, 그리고 여호야긴의 세 왕은 그 자체로서 다루어지지 않고 있다. 그들은 "포로로 잡혀간 왕"이라는 공통점에 의해 한꺼번에 묶여서 다루어지고 있다. 여호아하스는 바로 느고에 의해 애굽으로 잡혀갔으며(36:4), 여호야김은 느부갓네살에 의해 바벨론으로 끌려갔고(36:6), 여호야김 역시 느부갓네살에 의해 포로가 되어 바벨론에 유배되었다(36:10).

 

결국 이 세 왕의 포로됨은 이미 오래 전에 여호아하스로부터 시작된 왕의 포로됨의 결론이 된 셈이다. 물론 이 포로됨의 운동은 일찍이 아하스 왕(대하 28:5,8,11,13), 히스기야 왕(대하 29:9, 30:9), 므낫세 왕(대하 33:11)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그러나 포로됨의 운동은 역대하 36장에 이르면 엄청난 가속도가 붙어서 급격한 내리막 길을 내리 달리는 모습을 보이게 된다. 왕들의 포로됨은 국가의 운명이 어떻게 될 것인지를 알리는 전조인 셈이다.

 

  둘째, 열왕기의 병행 본문(왕하 23:31-25:30)과 비교해 보면 역대기 본문은 여호아하스 기사가 40%, 여호야김 기사가 55%, 그리고 여호야김 기사는 80% 줄었다. 그리고 시드기야의 통치 기사는 세 단락의 열왕기 기사를 한 절씩으로 요약해서 무려 92%나 줄어들었다. 역대하 10-36장에서 열왕기보다 간력하게 다룬 왕의 기사는 이 곳뿐이다.

우리는 이러한 특징을 통해서 역대기 기자가 포로된 세 왕의 기사를 의도적으로 줄였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여호아하스(36:2-4), 여호야김(36:5-8), 여호야긴(36:9-10)의 스토리는 일련의 공식적인 틀에 의해 고정된 패턴으로 처리되고 있다. 여러 상세한 내용들을 생략한 채 네 가지 사항만 고정적으로 반복하고 있다.

 

 

 

여호아하스

여호야김

여호야긴

왕이 된 나이

23세

25세

8세

악행

여호와 앞에 악행

여호와 앞에 악행

여호와 앞에 악행

포로

애굽으로

바벨론으로

바벨론으로

약탈 당함

벌금물어냄

성전 기구 약탈

성전 기구 약탈

 

 

  결국 세 왕의 기사는 등극에서, 여호와 앞에 악을 행하다가, 애굽이나 바벨론으로 포로로 잡혀가고, 그 때에 벌금이나 성전 기구가 약탈되었다는 것이 전부이다. 역대기 기자는 이 왕들에 대해서 할 수 있는 이야기는 이것이 전부인 양 도식적으로 다루고 있다. 역대기 기자는 열왕기 본문과 비교할 때에과감히 상세한 내용을 생략하고 이러한 도식으로 세 왕에 대한 기사를 처리하고 있다. 이는 역대기 기자가 "집단적 해석"(a corporate interpretation)을 시도하고 있다는 증거라고 할 수 있다.

 

역대기 기자는 왕이 포로가 된 사건은 개별적이고 독립적인 사건이 아니라, 동일한 문제의 다양한 현상에 지나지 않는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는 것이다. 역대기 기자는 각 왕들이 구체적으로 어떤 행동을 하고 어떻게 죽었는지와는 관계 없이, 그들이 "여호와 앞에 악을 행함으로", 모두 포로가 되어 잡혀갔다는 점만을 강조하고 있다. 느부갓네살이 성전 기명을 약탈해다가 바벨론 신당에 가져다 두었다는 기록은 매우 상징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다.